임나일본부의 제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나일본부의 제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임나일본부설의 성립
1. 『日本書紀』의 편찬 과정
2. 임나일본부설의 성립

Ⅲ. 한․일 학계의 ‘임나일본부’ 연구 동향
1. 任那支配機關說 (出先機關說)
2. 加耶의 倭說
3. 分國說
4. 百濟軍司令部說
5. 外交使節說

Ⅳ. 종래 연구의 문제점

Ⅴ. 결론

본문내용

적인 거주를 증명할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5) ‘분국론’에는 『일본서기』‘임나일본부’에 관련되는 임나 자체를 한반도가 아닌 일본열도로 비정하였던 점에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任那’라는 용어가 『일본서기』에 주로 보이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일본서기』가 만들어낸 조어는 아니다. 우리나라와 중국사료에서도 ‘임나’의 용어는 확인되기 때문이다.
『翰苑』에 인용된 중국 인문지리지에 의하면 한반도 남부의 가야지역을 총괄하여 ‘임나’라고 하였다. 「광개토왕릉비」에 의하면 400년에 고구려군이 정벌하였던 지역명으로서 ‘任那加羅’가 보이는데 연구자에 따라 고령 혹은 김해로 보는 차이는 있을지언정 가야 지역을 가리키는 것에는 일치된 견해를 보이고 있다. 『삼국사기』열전에 의하면 7세기 중엽의 신라인이었던 강수의 출신내력으로서 ‘任那加良’이 보인다. 강수의 출신지가 충주(中原京)라고 되어 있음을 상기한다면 그가 일본열도 출신이라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고, 고령 대가야의 후예로서 그의 조상대에 신라에 의하여 충주로 斯民되었던 인물로 보지 않으면 안되겠다. 창원의 봉림사에 있었던 「진경대사탑비」(923)에도 신라사람인 진경대사가 ‘임나왕족’의 후예였음을 밝히는 구절이 확인된다. 이 역시 가야지역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임나’는 한반도의 가야지역을 가리키는 것이 분명하며 일본열도의 어디를 가리키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될 것이다. 일본열도에 가야계 분국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없다고는 할 수 없으나, 『일본서기』에 기록된 ‘임나일본부’ 관련 사료는 가야 지역에 전개되었던 역사적 사실이 반영된 것으로 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Ⅴ.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본서기』에서는 신공기가 독립된 권으로 설정,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 사료를 보완하기 위해 『일본서기』가 다시 편찬되었다는 점에서 임나 문제를 중요한 목적으로 삼고 있음은 명백한 일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 기록은 일본의 천황 지배 이데올로기를 위해 조작된 것이라는 점을 짚어보고 넘어가야 한다. 이와 관련된 수업을 듣던 중 백제 귀족이 자신 가문의 부흥과 영광을 위해 일본서기를 편찬하는 데 있어 1차적 사료를 제공해 줄 때 잘못된 자료를 제공해주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는데, 후에 한일 양국의 커다란 분쟁거리를 제공해 주고 식민지배의 정당화를 위해 쓰이는 사료가 되었다니 참으로 안타까웠다.
그러나 임나일본부가 존재했던 것은 사실으로, 임나일본부는 왜의 통치기관이나 백제의 군사령부와 같은 것은 아니었으며 이들 ‘일본부’의 활동이란 가야제국 왕들과 공동보조를 취하여 백제 또는 신라와의 외교교섭에 참가하였던 것이 전부였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일본부’의 외교활동 내용이나 그 주장들을 보면 동부의 신라와 서부의 백제 침략에 대하여 가야제국의 독립을 유지하고자 하였던 것과 일치되는 것들로, 가야제국의 왕들은 자국의 독립유지를 위하여 백제신라왜와의 외교교섭에 ‘일본부’를 전면에 내세우고자 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왜와의 관계를 원활히 함과 동시에 백제와 신라에 대하여는 왜의 세력이 자신의 배우에 있는 것처럼 보임으로써 양국의 침략을 견제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종래 한일학계의 연구에서 왜나 백제를 중심으로 ‘임나일본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던 것은 가야제국의 자체적 발전론이나 이해관계를 전혀 도외시하였던 시각이었으며, 사실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었다기보다는 ‘일본학계의 막연한 선입관과 한국학계의 감정적 반발’의 산물이었다. 우리는 이러한 감정적 반발을 지양하고 올바른 관점을 정립하여 논리적 근거로 반박해 일본의 주장을 뿌리 뽑아야 할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2.12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8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