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역사관과 역사인식
3. 한국사 발전단계론의 구성
4. 사학사적 의의와 한계
5. 나오며
2. 역사관과 역사인식
3. 한국사 발전단계론의 구성
4. 사학사적 의의와 한계
5. 나오며
본문내용
한계까지 살펴보았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백남운은 한국사회경제사 연구의 한 획을 그었으며, 과학적이고 실천적인 역사학을 제창한 인물이었다. 물론 그의 역사관이 민족주의 사학과 마찰을 일으키는 부분이 있기도 했고 그의 역사학 역시 어느 정도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그가 비판한 것은 민족주의 사학자들의 인식방법과 사상적 본질이었을 뿐, 그의 유물론적 역사인식도 민족해방을 위한다는 측면에서 민족주의 사학과 그 맥을 같이 하였다. 또한, 백남운의 역사학이 지닌 한계 역시 일제의 정체성론에 대항하기 위한, 토지국유제론에 기초한 아시아적 생산양식론을 견지하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남북의 이데올로기 때문에 사학사적 의의를 제대로 평가받을 수 없었던 백남운. 그는 역사란 무엇인가를 고민하여 역사의 실천성이란 답을 얻어낸 사학자였으며, 일제 식민주의 사학에 맞서 싸운 민족해방의 기수였다.
<<참고문헌>>
조동걸 외,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창작과 비평사, 1994
방기중,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193040년대 백남운의 학문과 정치경제사상』, 역사비평사, 1992
김용섭, 『일제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문학과 지성사, 1998
남북의 이데올로기 때문에 사학사적 의의를 제대로 평가받을 수 없었던 백남운. 그는 역사란 무엇인가를 고민하여 역사의 실천성이란 답을 얻어낸 사학자였으며, 일제 식민주의 사학에 맞서 싸운 민족해방의 기수였다.
<<참고문헌>>
조동걸 외,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창작과 비평사, 1994
방기중,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193040년대 백남운의 학문과 정치경제사상』, 역사비평사, 1992
김용섭, 『일제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문학과 지성사, 1998
추천자료
한국 교육사-조선후기 실학사상
재일 한국인 조선인 문제
재일 조선인(한국인)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1920년대 조선의 사회주의 운동과 민족 문제
한국사학입문 - 조선 전기 정치
조선후기 사회의 변동
한국역사 - 조선시대 양반의 삶과 평민의 삶
일본역사(일본사)와 고대국가성립, 고대사회, 일본역사(일본사)와 봉건사회, 율령정치, 일본...
화장의 어휘와 화장의 기원 및 세계 화장의 역사와 한국 화장의 역사(고조선, 삼국시대, 고려...
한국 근현대사(조선시대~산업화)의 시대변화에 따른 가치관 분석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제 4판 2권 요약 (중세후기문학 제 1기 고려후기 & 중세후기문학 ...
한국한문학의이해=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17세기 조선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에 대해 ...
한국의 사회복지 역사(한국 사회복지 발달사 한국 사회복지의 발달과정)
한국복식문화)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여 설명 (두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