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반적 정보
Ⅱ. 임신과 관련된 정보
Ⅲ. 간 호 력
1. 건강관리양상
2. 영양-대사 관계
3. 배설 양상
4. 활동과 휴식 양상
5. 역할 관계 양상
6. 인지 지각 양상
Ⅳ. 임상관찰 기록
Ⅴ. 검사결과
Ⅵ. 치료적 처치
A. Medication & Injection
B. information
Ⅶ. 간호
① V/S. FHR. I/O Check.
② Bed Rest..!!
③ 약물 부작용 관찰..
④ 위험임신과 관련된 sign 관찰.
⑤ 심리적 간호중재 & 교육
Ⅷ. 간호과정
Ⅱ. 임신과 관련된 정보
Ⅲ. 간 호 력
1. 건강관리양상
2. 영양-대사 관계
3. 배설 양상
4. 활동과 휴식 양상
5. 역할 관계 양상
6. 인지 지각 양상
Ⅳ. 임상관찰 기록
Ⅴ. 검사결과
Ⅵ. 치료적 처치
A. Medication & Injection
B. information
Ⅶ. 간호
① V/S. FHR. I/O Check.
② Bed Rest..!!
③ 약물 부작용 관찰..
④ 위험임신과 관련된 sign 관찰.
⑤ 심리적 간호중재 & 교육
Ⅷ. 간호과정
본문내용
시기욕이 저하되고 수면을 잘 취하지 못하는 증상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의 치료와 분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여 불안을 줄이도록 한다.
예쁜 아기가 탄생하는 모습을 그려보도록 하고 아기를 안고 있는 행복한 모습을 상상하도록 한다.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체한 것처럼 답답하면서 속이 미식거리기도 해요.”
“어렵게 가진 아긴데.. 또 잘못될까 무서워요. 밥맛도 없고 잠자는 것도 무서워요.”
“제가 예민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예요...”
“입맛이 없어서 많이는 못 먹겠어요. 그러면서도 속이 허해요..”
“기운이 없으니까 먹긴 먹어야 하는데...”
“내가 잘 먹어야 아기도 잘 클텐데... 계속 안 좋은 것만 생각나고 밥도 잘 안 넘어가요.”
피로하고 기운이 없는 모습을 보임
피부에 탄력성이 없고 부워 있음
시트 교환이나 V/S check시 조금만 움직셔도 불편해하시고 많이 힘들어하심
식사 섭취량이 적음(밥 한공기의 3/1정도 남김)
고위험임신(Preterm, IIOC) 임신에 대해 의사와 간호사 선생님께 질문을 자주 하면서 신경이 예민한 모습을 보임
식사시 맛있게 드시지 못하고 음식을 많이 가림
Total Protein : 5.8 g/㎗ <정상 : 6-8.3>
Albumin : 3.4 g/㎗ <정상 : 3.5-5>
RBC : 3.92 10^6㎣ <정상 : 4.2-6.1>
Hgb : 11.9 g/㎗ <정상 : 12-18>
Hct : 35.0 % <정상 : 37-52>
입원 시 체중(11/22) : 65㎏ → 현재(11/23) : 64㎏으로 감소함
Input : RD/1080㏄
Output : 소변(1700-1800㏄)/대변(1x)
간호진단
고위험 임신(Preterm, IIOC)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식욕의 저하와 관련된 영양부족
♡영양부족 - 대사 요구량을 충족시키기에 불충분한 영양섭취를 하는 상태
기대결과
3일 이내에 매끼 식사마다 밥을 남기지 않는다.
간호중재
① 식전후에 구강간호를 제공해서 식욕을 증진시킨다.
② 체중 측정 및 혈청 Protein, Albumin 수치를 확인해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③ 매일 I/O Check를 한다. (식사 후 남긴 양을 확인한다.)
④ 고단백, 저염식이를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권한다.
⑤ 필요시 정맥으로 수분과 영양을 공급한다. (임산부의 하루 영양요구량은 정상성인의 영양요구량에 300Kcal 추가되어야함..!)
⑥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활동을 금하고 침상안정을 하도록 한다.
⑦ 식사시간을 방해하지 않는다. (NST나 V/S은 식사가 시작되기 전이나 끝난 후 한다.) ⑧ 실내에 불쾌한 남새가 나는 자극원은 제거한다.
⑨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드시라고 권한다.
⑩ 마음을 편히 가지셔서 스트레스를 받지 마시고 뭐든지 잘 드시고 휴식을 잘 취하시라고 권한다.
⑪ 하루에 자신이 먹은 음식을 일기처럼 써서 자신이 하루에 먹은 음식을 체크 할 수 있도록 한다.
⑫ 커피나 카페인 인공 감미료의 사용이나 섭취는 되도록 제한하시라고 한다.
간호평가
<부분달성> 3일이내에 매끼 식사마다 밥을 5/1가량 남기심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병원에 오니까 더 잠을 못 자고 힘들어요.?”
“아기를 가지고 나서 잠을 편하게 자본적이 없어요. 잘못될까봐 걱정되요.”
“배가 자주 뭉쳐서 옆으로만 누워 있으니까 자세가 불편해서 잠을 잘 수가 없어요. 잠자는 것이 불편해요.”
“주위에 다 아픈 산모들 뿐이고... 그래서 더 답답하고 그래요. 남 일이 아닌 것 같고 갑자기 무섭더라구요.”
“방을 혼자쓰는 게 아니니까 불편해요.”
“제가 좀 예민해서 한번 잠을 깨면 쉽게 잠들기 어려워요. 기본으로 1-2시간 있다 잠드는데 겨우 잠들어도 시끄러워서 자주 깨요.”
“아기는 잘 있는거죠?”
“낮에라도 자려고 하는데 계속 선생님들이 왔다갔다해서 잘 못자요.”
1일 수면이 평균적으로 3~4시간 정도 되고 깊은 잠을 못 주무시고 자주 깸
어렵게 한 임신이라 아기가 잘못 될까봐 걱정을 많이 하심
배가 자주 뭉쳐 항상 좌측위를 하고 계심
어머님이 딸이 입원 후에 잘 못 먹고 못 자는 것 같다고 걱정을 많이 하심
3인실을 사용해 방문객이 잦고 시끄러움
아침에 rounding때 뵈면 항상 피곤해 보이며 힘없이 누워 계심
첫 임신 3개월에 자연유산을 경험하심
고위험임신(Preterm, IIOC) 임신에 대해 의사와 간호사 선생님께 질문을 자주 하면서 신경이 예민한 모습을 보임
실습 기간 중 낮잠을 주무시는 것을 한번도 보지 못 봄(AM 7:20 ~ PM 4:20)
간호진단
익숙치 않은 수면환경 및 고위험임신(Preterm, IIOC)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수면장애
♡수면장애 - 수면의 양과 질이 손상되어 일상생활에 불편이나 장애를 초래하는 상태
기대결과
3일 이내에 불편감 호소없이 야간수면을 6시간 이상 취한다.
간호중재
① 대상자의 수면양상과 시간을 관찰해 수면장애에 대한 원인과 문제점을 찾는다.
② 가능하면 대상자의 방에 들어갈 때는 조용히 들어가도록 하고 만약 잠을 자고 계시면 조용히 V/S을 측정하거나 가장 나중에 측정하여 잠을 자는 시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③ 앞으로의 치료와 분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여 불안을 줄이도록 한다.
④ 취침전에 따뜻한 음료를 마시도록 권한다.
⑤ 잠이 오지 않으면 억지로 수면을 취하지 말고 책을 읽으면서 잠이 올 때 주무시도록 한다.
⑥ 예쁜 아기가 탄생하는 모습을 그려보도록 하고 아기를 안고 있는 행복한 모습을 상상하도록 한다.
⑦ 대상자에게 처치간호를 할 때는 여러번 걸쳐서 하지 않고 가능하면 한번에 하도록 한다.
⑧ 병실내의 환경적 자극(소음, 조명)은 적절히 제한하거나 차단해서 수면을 취하기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해 드린다.
⑨ 시트와 환의가 젖어있으면 갈아드려서 안위를 증진시킨다.
⑩ 호흡운동, 이완이나 음악요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행하도록 권한다.
⑪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대상자가 관심있는 이야기와 놀이를 즐긴다.
⑫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간호평가
<달성실패>
3일이내에 야간수면 시간이 6시간 이하이며 낮에 피곤하고 기운 없는 모습을 보임
앞으로의 치료와 분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여 불안을 줄이도록 한다.
예쁜 아기가 탄생하는 모습을 그려보도록 하고 아기를 안고 있는 행복한 모습을 상상하도록 한다.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체한 것처럼 답답하면서 속이 미식거리기도 해요.”
“어렵게 가진 아긴데.. 또 잘못될까 무서워요. 밥맛도 없고 잠자는 것도 무서워요.”
“제가 예민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예요...”
“입맛이 없어서 많이는 못 먹겠어요. 그러면서도 속이 허해요..”
“기운이 없으니까 먹긴 먹어야 하는데...”
“내가 잘 먹어야 아기도 잘 클텐데... 계속 안 좋은 것만 생각나고 밥도 잘 안 넘어가요.”
피로하고 기운이 없는 모습을 보임
피부에 탄력성이 없고 부워 있음
시트 교환이나 V/S check시 조금만 움직셔도 불편해하시고 많이 힘들어하심
식사 섭취량이 적음(밥 한공기의 3/1정도 남김)
고위험임신(Preterm, IIOC) 임신에 대해 의사와 간호사 선생님께 질문을 자주 하면서 신경이 예민한 모습을 보임
식사시 맛있게 드시지 못하고 음식을 많이 가림
Total Protein : 5.8 g/㎗ <정상 : 6-8.3>
Albumin : 3.4 g/㎗ <정상 : 3.5-5>
RBC : 3.92 10^6㎣ <정상 : 4.2-6.1>
Hgb : 11.9 g/㎗ <정상 : 12-18>
Hct : 35.0 % <정상 : 37-52>
입원 시 체중(11/22) : 65㎏ → 현재(11/23) : 64㎏으로 감소함
Input : RD/1080㏄
Output : 소변(1700-1800㏄)/대변(1x)
간호진단
고위험 임신(Preterm, IIOC)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식욕의 저하와 관련된 영양부족
♡영양부족 - 대사 요구량을 충족시키기에 불충분한 영양섭취를 하는 상태
기대결과
3일 이내에 매끼 식사마다 밥을 남기지 않는다.
간호중재
① 식전후에 구강간호를 제공해서 식욕을 증진시킨다.
② 체중 측정 및 혈청 Protein, Albumin 수치를 확인해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③ 매일 I/O Check를 한다. (식사 후 남긴 양을 확인한다.)
④ 고단백, 저염식이를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권한다.
⑤ 필요시 정맥으로 수분과 영양을 공급한다. (임산부의 하루 영양요구량은 정상성인의 영양요구량에 300Kcal 추가되어야함..!)
⑥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활동을 금하고 침상안정을 하도록 한다.
⑦ 식사시간을 방해하지 않는다. (NST나 V/S은 식사가 시작되기 전이나 끝난 후 한다.) ⑧ 실내에 불쾌한 남새가 나는 자극원은 제거한다.
⑨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드시라고 권한다.
⑩ 마음을 편히 가지셔서 스트레스를 받지 마시고 뭐든지 잘 드시고 휴식을 잘 취하시라고 권한다.
⑪ 하루에 자신이 먹은 음식을 일기처럼 써서 자신이 하루에 먹은 음식을 체크 할 수 있도록 한다.
⑫ 커피나 카페인 인공 감미료의 사용이나 섭취는 되도록 제한하시라고 한다.
간호평가
<부분달성> 3일이내에 매끼 식사마다 밥을 5/1가량 남기심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병원에 오니까 더 잠을 못 자고 힘들어요.?”
“아기를 가지고 나서 잠을 편하게 자본적이 없어요. 잘못될까봐 걱정되요.”
“배가 자주 뭉쳐서 옆으로만 누워 있으니까 자세가 불편해서 잠을 잘 수가 없어요. 잠자는 것이 불편해요.”
“주위에 다 아픈 산모들 뿐이고... 그래서 더 답답하고 그래요. 남 일이 아닌 것 같고 갑자기 무섭더라구요.”
“방을 혼자쓰는 게 아니니까 불편해요.”
“제가 좀 예민해서 한번 잠을 깨면 쉽게 잠들기 어려워요. 기본으로 1-2시간 있다 잠드는데 겨우 잠들어도 시끄러워서 자주 깨요.”
“아기는 잘 있는거죠?”
“낮에라도 자려고 하는데 계속 선생님들이 왔다갔다해서 잘 못자요.”
1일 수면이 평균적으로 3~4시간 정도 되고 깊은 잠을 못 주무시고 자주 깸
어렵게 한 임신이라 아기가 잘못 될까봐 걱정을 많이 하심
배가 자주 뭉쳐 항상 좌측위를 하고 계심
어머님이 딸이 입원 후에 잘 못 먹고 못 자는 것 같다고 걱정을 많이 하심
3인실을 사용해 방문객이 잦고 시끄러움
아침에 rounding때 뵈면 항상 피곤해 보이며 힘없이 누워 계심
첫 임신 3개월에 자연유산을 경험하심
고위험임신(Preterm, IIOC) 임신에 대해 의사와 간호사 선생님께 질문을 자주 하면서 신경이 예민한 모습을 보임
실습 기간 중 낮잠을 주무시는 것을 한번도 보지 못 봄(AM 7:20 ~ PM 4:20)
간호진단
익숙치 않은 수면환경 및 고위험임신(Preterm, IIOC)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수면장애
♡수면장애 - 수면의 양과 질이 손상되어 일상생활에 불편이나 장애를 초래하는 상태
기대결과
3일 이내에 불편감 호소없이 야간수면을 6시간 이상 취한다.
간호중재
① 대상자의 수면양상과 시간을 관찰해 수면장애에 대한 원인과 문제점을 찾는다.
② 가능하면 대상자의 방에 들어갈 때는 조용히 들어가도록 하고 만약 잠을 자고 계시면 조용히 V/S을 측정하거나 가장 나중에 측정하여 잠을 자는 시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③ 앞으로의 치료와 분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여 불안을 줄이도록 한다.
④ 취침전에 따뜻한 음료를 마시도록 권한다.
⑤ 잠이 오지 않으면 억지로 수면을 취하지 말고 책을 읽으면서 잠이 올 때 주무시도록 한다.
⑥ 예쁜 아기가 탄생하는 모습을 그려보도록 하고 아기를 안고 있는 행복한 모습을 상상하도록 한다.
⑦ 대상자에게 처치간호를 할 때는 여러번 걸쳐서 하지 않고 가능하면 한번에 하도록 한다.
⑧ 병실내의 환경적 자극(소음, 조명)은 적절히 제한하거나 차단해서 수면을 취하기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해 드린다.
⑨ 시트와 환의가 젖어있으면 갈아드려서 안위를 증진시킨다.
⑩ 호흡운동, 이완이나 음악요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행하도록 권한다.
⑪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대상자가 관심있는 이야기와 놀이를 즐긴다.
⑫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간호평가
<달성실패>
3일이내에 야간수면 시간이 6시간 이하이며 낮에 피곤하고 기운 없는 모습을 보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