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내외정세의 변화와 3.1운동의 기본요인.
1) 1910년 후반 국내외 상황.
2) 국내외의 반일의식 고양과 국내의 모순의 격화
Ⅲ. 3.1 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Ⅳ. 3.1운동의 근대사적 의의(意義)
Ⅴ. 맺음말.
Ⅱ. 내외정세의 변화와 3.1운동의 기본요인.
1) 1910년 후반 국내외 상황.
2) 국내외의 반일의식 고양과 국내의 모순의 격화
Ⅲ. 3.1 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Ⅳ. 3.1운동의 근대사적 의의(意義)
Ⅴ. 맺음말.
본문내용
그리하여 한국민족의 3.1운동은 전세계 약소민족의 해방운동사, 전세계 민족 혁명사에서 새로운 시대 신기원을 열어준 것이다.
Ⅴ. 맺음말.
19세기에 들어와서 열강의 제국주의가 출현하여 세계 각 지역에서 약소민족과 약소국가들을 침략해서 식민지, 반식민지로 만들어 약소민족을 압박하고 살육하며 착취한 것은 인류사에 있어서 최대의 불행이었다. 바로 이 제국주의의 침략과 압박과 착취로 말미암아 인류의 3분의 1내지 4분의 3에 달하는 식민지 반(半)식민지 약소민족에 속했던 사람들이 총체적으로 제국주의 열강의 노예적 상태로 떨어져서 완전히 자유를 잃고 무권리(無權利)한 상태에서 신음하면서 민족 해방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시기의 약소민족들의 민족해방운동은 그 자체가 인간답게 살기 위한 인간 해방운동이기도 하다.
인류의 역사가 인간이 좀 더 자유롭고 평등하며 행복하게 살기 위한 인간활동의 기록이라고 한다면, 19세기초부터 20세기 전반까지의 인류사, 세계사의 최대의 주제는 제국주의의 침략과 압박과 착취에 반대하여 인간과 민족의 자유와 해방을 위하여 싸운 인류의 고귀한 투쟁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즉 이시기 세계사의 최대의 주제는 인류의 4분의 3에 달했던 세계 약소민족의 해방투쟁, 독립운동이 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이 시기 전세계의 약소민족의 해방투쟁, 독립운동이 1945년 이후의 독립과 건국에 직결된 것은 제 1차 세계 대전 종결 후 1919년부터의 약소민족 독립운동이 직접적으로 발전하여 성취된 것이었다. 그리고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이 제1차 세계 대전 종결후 1919년부터의 전세계 약소민족 독립운동의 분출로 최초의 거대한 봉화를 올리고 이를 세계적으로 고양시킨 것이 바로 한국민족의 3.1운동이었다는 사실이다,
또한 우리는 3.1운동이 전세계약소민족독립운동사에서 이러한 새로운 전환을 만든 것은 그 이전의 독립운동가 중심의 민족해방운동투쟁에서 민중중심의 민족해방투쟁으로 주체세력을 바꾸어 민중에 의한 최저 변으로부터의 투쟁을 가능케 새로운 시대를 연 사실과도 관련되어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국민족의 3.1운동은 전체적으로 이 시기의 전세계약소민족독립운동사와 그 세계 혁명사에 신기원을 열전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의 세계사 서술의 관점은 우리가 배우며 가르치고 있는 19세기 20세기의 세계사는 인류의 4분의 3에 달했던 식민지 반식민지 약소민족의 역사를 전반적으로 무시하고 강대국 중심으로만 쓰여진 세계사인 것이다. 이러한 낡은 세계사는 인류의 대부분을 포용하고 있지 않으며, 아울러 과거의 제국주의 열강중심으로 쓰여진 일방적이고 객관성이 없는 세계사이다. 이 시기의 세계사의 실제에서는 약소민족의 해방투쟁이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세계사는 약소민족의 독립운동을 비롯하여 온 인류가 포함된 객관적 세계사가 새로이 쓰여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객관적 세계사에서는 한국민족이 3.1운동은 제 1차 세계대전 종전직후, 강대한 승전 제국주의 열강에 대한 전세계 약소민족 해방운동의 첫 봉화와 광명으로서 세계사의 한 장으로 쓰여지고, 그 민족사적 의의뿐만 아니라 세계사적 의의가 새로이 인식되어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3.1 운동과 민족통일’ 동아일보사, 1989.
‘항일민족선언’, 김삼웅 엮음, 겨레 1989.
‘이야기 독립운동사; 국내편’, 이현희, 청아출판사, 1994.
※목 차
Ⅰ. 서 론
Ⅱ. 내외정세의 변화와 3.1운동의 기본요인.
1) 1910년 후반 국내외 상황.
2) 국내외의 반일의식 고양과 국내의 모순의 격화
Ⅲ. 3.1 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Ⅳ. 3.1운동의 근대사적 의의(意義)
Ⅴ. 맺음말.
Ⅴ. 맺음말.
19세기에 들어와서 열강의 제국주의가 출현하여 세계 각 지역에서 약소민족과 약소국가들을 침략해서 식민지, 반식민지로 만들어 약소민족을 압박하고 살육하며 착취한 것은 인류사에 있어서 최대의 불행이었다. 바로 이 제국주의의 침략과 압박과 착취로 말미암아 인류의 3분의 1내지 4분의 3에 달하는 식민지 반(半)식민지 약소민족에 속했던 사람들이 총체적으로 제국주의 열강의 노예적 상태로 떨어져서 완전히 자유를 잃고 무권리(無權利)한 상태에서 신음하면서 민족 해방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시기의 약소민족들의 민족해방운동은 그 자체가 인간답게 살기 위한 인간 해방운동이기도 하다.
인류의 역사가 인간이 좀 더 자유롭고 평등하며 행복하게 살기 위한 인간활동의 기록이라고 한다면, 19세기초부터 20세기 전반까지의 인류사, 세계사의 최대의 주제는 제국주의의 침략과 압박과 착취에 반대하여 인간과 민족의 자유와 해방을 위하여 싸운 인류의 고귀한 투쟁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즉 이시기 세계사의 최대의 주제는 인류의 4분의 3에 달했던 세계 약소민족의 해방투쟁, 독립운동이 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이 시기 전세계의 약소민족의 해방투쟁, 독립운동이 1945년 이후의 독립과 건국에 직결된 것은 제 1차 세계 대전 종결 후 1919년부터의 약소민족 독립운동이 직접적으로 발전하여 성취된 것이었다. 그리고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이 제1차 세계 대전 종결후 1919년부터의 전세계 약소민족 독립운동의 분출로 최초의 거대한 봉화를 올리고 이를 세계적으로 고양시킨 것이 바로 한국민족의 3.1운동이었다는 사실이다,
또한 우리는 3.1운동이 전세계약소민족독립운동사에서 이러한 새로운 전환을 만든 것은 그 이전의 독립운동가 중심의 민족해방운동투쟁에서 민중중심의 민족해방투쟁으로 주체세력을 바꾸어 민중에 의한 최저 변으로부터의 투쟁을 가능케 새로운 시대를 연 사실과도 관련되어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국민족의 3.1운동은 전체적으로 이 시기의 전세계약소민족독립운동사와 그 세계 혁명사에 신기원을 열전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의 세계사 서술의 관점은 우리가 배우며 가르치고 있는 19세기 20세기의 세계사는 인류의 4분의 3에 달했던 식민지 반식민지 약소민족의 역사를 전반적으로 무시하고 강대국 중심으로만 쓰여진 세계사인 것이다. 이러한 낡은 세계사는 인류의 대부분을 포용하고 있지 않으며, 아울러 과거의 제국주의 열강중심으로 쓰여진 일방적이고 객관성이 없는 세계사이다. 이 시기의 세계사의 실제에서는 약소민족의 해방투쟁이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세계사는 약소민족의 독립운동을 비롯하여 온 인류가 포함된 객관적 세계사가 새로이 쓰여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객관적 세계사에서는 한국민족이 3.1운동은 제 1차 세계대전 종전직후, 강대한 승전 제국주의 열강에 대한 전세계 약소민족 해방운동의 첫 봉화와 광명으로서 세계사의 한 장으로 쓰여지고, 그 민족사적 의의뿐만 아니라 세계사적 의의가 새로이 인식되어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3.1 운동과 민족통일’ 동아일보사, 1989.
‘항일민족선언’, 김삼웅 엮음, 겨레 1989.
‘이야기 독립운동사; 국내편’, 이현희, 청아출판사, 1994.
※목 차
Ⅰ. 서 론
Ⅱ. 내외정세의 변화와 3.1운동의 기본요인.
1) 1910년 후반 국내외 상황.
2) 국내외의 반일의식 고양과 국내의 모순의 격화
Ⅲ. 3.1 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Ⅳ. 3.1운동의 근대사적 의의(意義)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