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나라 전통 대체요법의 예
1)딸꾹질
2)빈혈
3)감기
4)다래끼
5)피로, 권태감
레포트를 마치며
1)딸꾹질
2)빈혈
3)감기
4)다래끼
5)피로, 권태감
레포트를 마치며
본문내용
는 뇌의 피로를 풀고 혈액이 진해진 어혈 상태로 전신 혈행장애가 오는 전신성 피로에 좋다. 당귀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없앤 후 당귀의 1.5배 디는 소주를 붓고 설탕을 적당량 넣어 밀봉한다. 이것을 2~3개월 숙성시켰다가 여과하여 1회 20~30㎖씩 하루 2회 벙도 공복에 마신다.
7. 생강술 ; 혈액순환 촉진작용과 보온작용이 있어 수족냉증 및 피로회복에 좋다. 또한 생강은 진정작용과 발한작용, 해열, 소염작용이 있으므로 생강술을 한 잔 마시고 이불을 덮고 한잠 자고 나면 땀이 촉촉히 나면서 열이 떨어지고 몸이 가쁜해질 뿐 아니라 피로 회복에 큰 도움이 된다. 생강 600g에 소주 1.8리터를붓고 숙성시켜 1회에 20cc씩 취침 전에 마신다.
8. 솔잎술 ; 풍을 몰아내고 내장기 기능을 안정시키며 노화방지와 비만 해소, 성인병 예방 및 피로회복에 뛰어난 효험이있는 이른 바 신선주라 하겠다. 또한 솔잎에는 각종 영양분이 들어 있으며, 솔잎의 테레핀향은 호르몬 분비를 높이기도 한다. 이 술은 솔잎 200g을 씻어 물기를 없앤 후 1.5배의 소주와 꿀 소량으로 담근다.
◆레포트를 마치며...◆
이 과제를 수행하면서 어떤 병에 관해서 할까 생각을 하다가 나에게 있어서 필요한 것을 해봄으로 해서 실생활에서 사용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고른 것이 ‘딸꾹질, 빈혈, 감기, 다래끼, 피로권태감’ 이 다섯 가지 이다. 빈혈과 다래끼의 경우는 나의 경우이기보다는 주변 사람 중에서 빈혈이 있는 친구와 다래끼가 자주 나는 친구가 있기에 그 친구들에게 조언을 해주고자 선택을 한 것이고 딸꾹질이나 감기 그리고 피로 권태감은 나에게 있어서 알아두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에 선택을 하였다. 조사하는 가운데 느낀 것은 사람의 생활은 바르고 곧게 생활하는 것이 물론 중요하겠거니와 식습관, 즉 먹거리에 대해서 쉽게 생각해서는 안되겠다는 하는 점이다. 배를 채우기 위한, 입을 즐겁게 하기 위한 것만의 먹거리가 아닌 나의 건강과 직결되는 것이 바로 먹거리란 생각이 들었다. 장수하는 마을에서의 식문화와 그렇지 않은 마을에서의 식문화에는 차이가 있다고 들은적이 있다. 그처럼 식의 중요성은 우리나라의 전통 대체요법에서도 보여지고 있는 것이다.
참고 : 인터넷 : http://nanum.pe.kr/nh4fr/fr0200.htm
거뜬히 치료되는 가나다라 민간요법 (홍문화 박사 감수)
TV민간요법 262가지 (노승현 교수 감수)
7. 생강술 ; 혈액순환 촉진작용과 보온작용이 있어 수족냉증 및 피로회복에 좋다. 또한 생강은 진정작용과 발한작용, 해열, 소염작용이 있으므로 생강술을 한 잔 마시고 이불을 덮고 한잠 자고 나면 땀이 촉촉히 나면서 열이 떨어지고 몸이 가쁜해질 뿐 아니라 피로 회복에 큰 도움이 된다. 생강 600g에 소주 1.8리터를붓고 숙성시켜 1회에 20cc씩 취침 전에 마신다.
8. 솔잎술 ; 풍을 몰아내고 내장기 기능을 안정시키며 노화방지와 비만 해소, 성인병 예방 및 피로회복에 뛰어난 효험이있는 이른 바 신선주라 하겠다. 또한 솔잎에는 각종 영양분이 들어 있으며, 솔잎의 테레핀향은 호르몬 분비를 높이기도 한다. 이 술은 솔잎 200g을 씻어 물기를 없앤 후 1.5배의 소주와 꿀 소량으로 담근다.
◆레포트를 마치며...◆
이 과제를 수행하면서 어떤 병에 관해서 할까 생각을 하다가 나에게 있어서 필요한 것을 해봄으로 해서 실생활에서 사용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고른 것이 ‘딸꾹질, 빈혈, 감기, 다래끼, 피로권태감’ 이 다섯 가지 이다. 빈혈과 다래끼의 경우는 나의 경우이기보다는 주변 사람 중에서 빈혈이 있는 친구와 다래끼가 자주 나는 친구가 있기에 그 친구들에게 조언을 해주고자 선택을 한 것이고 딸꾹질이나 감기 그리고 피로 권태감은 나에게 있어서 알아두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에 선택을 하였다. 조사하는 가운데 느낀 것은 사람의 생활은 바르고 곧게 생활하는 것이 물론 중요하겠거니와 식습관, 즉 먹거리에 대해서 쉽게 생각해서는 안되겠다는 하는 점이다. 배를 채우기 위한, 입을 즐겁게 하기 위한 것만의 먹거리가 아닌 나의 건강과 직결되는 것이 바로 먹거리란 생각이 들었다. 장수하는 마을에서의 식문화와 그렇지 않은 마을에서의 식문화에는 차이가 있다고 들은적이 있다. 그처럼 식의 중요성은 우리나라의 전통 대체요법에서도 보여지고 있는 것이다.
참고 : 인터넷 : http://nanum.pe.kr/nh4fr/fr0200.htm
거뜬히 치료되는 가나다라 민간요법 (홍문화 박사 감수)
TV민간요법 262가지 (노승현 교수 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