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음의 특성과 기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음의 특성과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여음의 의미

2. 기존 연구 검토

3. 여음의 종류

4. 여음의 특성

5. 여음의 기능

<참고문헌>

본문내용

호미의 날처럼 무디고 무뚝뚝한 데 비하여 어머니의 사랑은 낫의 알처럼 매우 섬세하고 자상함을 노래했다. 여기에서 '위 덩더둥셩' 과 '아소 님하' 의 여음의 기능을 살펴보자. 이에 대하여 다음의 분석을 보자. 이때 만일 '위 덩더둥셩'의 여음이 없으면 어떻게 될까? 곧 제사행이 연결되어 아버님도 어버이기는 하지만 어머니 보다는 사랑이 적다는 말을 하게 된다. 이렇게 된다면 우선 아버님에게 너무나 당돌하게 그 사랑의 부족함을 나타내는 것이 되고 노래 자체가 직설적이다. 그러나 '위 덩더둥셩'의 여음이 삽입됨으로 인하여 노래의 흐름을 한번 눙치는 효과를 가져오며 시의 화자가 아버님에게 대한 당돌한 표현에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적당한 위치에서 적절하게 표현하여 효과를 보는 예이다. 다음에 이어지는 '아소 님하'도 어머니의 사랑을 종결의 기능을 가진 여음을 이요하여 다시 한번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시적 율조를 강조하여 효과를 내는 여음의 기능을 들 수 있다.
1)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다
2) 빛리고 가시리잇고 나다
3) 날러는 엇디 살라힝고
4) 빛리고 가시리잇고 나다
5) 잡싶와 두어리 마다다
6) 선힝면 아니올셰라
7) 셜온님 보내옵나니 나다
8) 가시다 듯 도셔오쇼셔 나다 <가시리>
우선 '나다'의 박병채의 설명을 찾아보자.
악율에 맞추기 위한 무의미한 조흥구
'나다'은 '아으, 어와, 위'등 감탄사와 더불어 고려가요에 흔히 나오는 탄성으로 악율에 맞추기 위한 소리이다.
삭삭기 셰몰래 별혜 나다
므쇠로 텼릭을 밑아 나다 <鄭石歌>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다
빛리고 가시리잇고 나다 <가시리>
'나다'은 악율에 맞추기 위한 소리다. 이를 삽입하므로 시적 율조를 맞추고 뜻을 강조했다. <가시리>에서 '나다'이 들어있지 않은 행은 3), 3), 6) 행이다. 그 중 3), 5) 행은 9음절로 다른 행보다 1음절 많다. '나다'을 삽입함으로 인하여 각 행의 비중을 같이 했고 5), 6) 행에서는 앞 행과 약간의 차이를 위해서 한 번 빼어서 더욱 효과를 내지 않았나 생각된다. 작자는 아름다운 운율을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는 것은 아름다운 운율이 있어야 詩情을 감동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려속요에서는 아름다운 율조의 형성을 위하여 여음을 활용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남구(1982). 고려속요의 여음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정경의(1997). 고려속가의 여음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키워드

고려속요,   특성,   기능,   여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2.26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