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리][고려가요]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원문,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특성,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시구해석,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작품감상,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작품해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시리][고려가요]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원문,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특성,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시구해석,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작품감상,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작품해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원문

Ⅲ.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특성
1. 형식적 특성
1) 연과 음보
2) 여음과 후렴구
2. 내용적 특성과 미학적 검토

Ⅳ.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시구해석
1. 가시리 가시리잇고
2. 리고
3. 날러는
4. 엇디
5. 잡와
6. 두어리마
7. 선면
8. 아니 올셰라
9. 셜온 님
10. 보내노니
11. 가시
12. 도셔 오쇼셔
13. 나
1) 앙주동
2) 정병욱
14. 위 증즐가 태평성대

Ⅴ.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작품감상
1. 이해와 감상
2.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구성
5) 주제
6) 별칭
7) 출전

Ⅵ.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작품해설
1. 1연(기)
2. 2연(승)
3. 3연(전)
4. 4연(결)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는 정제된 태도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황진이의 시조나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과도 그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가더라도 다시 올 것을 믿고 싶어하는 <가시리>의 마지막 구절은 삼국시대에 전래된 이래 고려시대 국교(國敎)였던 불교의 윤회사상이 반영된 표현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Ⅳ.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시구해석
1. 가시리 가시리잇고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2. 리고
버리고
3. 날러는
날더러는
4. 엇디
어찌
5. 잡와
잡아, 붙잡아
6. 두어리마
두겠습니다마는, 둘 일이지마는
7. 선면
서운하면, 그악스러우면, 까딱 잘못하면
8. 아니 올셰라
아니 올까 두렵습니다, 오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9. 셜온 님
서러운 임을, 괴로운 임을
10. 보내노니
보내옵나니, 보내드리오니
11. 가시
가시는 것처럼
12. 도셔 오쇼셔
돌아오소서
13. 나
1) 앙주동
간단하게 여흥구로 설명
2) 정병욱
여음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한 후, 처음에 ‘나니나’ 같은 피리의 구음이 문헌상에 정착되면서 ‘나’으로 표기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14. 위 증즐가 태평성대
‘위’는 감탄사로 보고 ‘증즐가’는 악기의 구음, ‘태평성대’는 흥을 위한 것으로 본다. 그러나 견해는 다양하다.
Ⅴ.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작품감상
1. 이해와 감상
전 4연의 민요풍의 노래로, ‘아리랑’을 연상하게 한다. 이 이별의 노래는 황진이의 시조를 거쳐 김소월의 ‘진달래꽃’에 까지 맥이 닿는다. 같은 고려 가요인 ‘서경별곡’과 비견(比肩)되기도 한다.
이 노래는 간결, 소박하면서도 가슴을 에는 듯한 감동의 이별가로서 ‘서경별곡’과는 또 다른 정조를 보여 준다. 즉 아프고 쓰라린 이별의 심정이 절묘하게 그려져 다른 고려 가요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풍미를 느끼게 한다. 그것은 이 노래의 빈틈없는 짜임과 사려(思慮) 깊은 작자의 마음이 우리에게 깊은 감동을 주기 때문이다. 결구의 ‘셜온 님 보내노니 가시 도셔 오쇼셔’에는 두 가지 뜻이 있다. 노래하는 자기 자신을 서럽게 만드는 임에게 간절히 하소연하는 말이기도 하고, 무언가 드러나 있지 않은 곡절 때문에 서럽게 떠나는 임이기에 붙잡지 못하고 당부하는 도리밖에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아무튼 이 노래는 짧은 형식에서 별한(別恨)을 여지없이 노래한 훌륭한 작품이다.
2. 작품 정리
1) 연대
고려 시대
2) 작자
미상
3) 형식
고려 가요
4) 구성
‘기-승-전-결’의 4단 구성. 전 4연(매 연 2구). 3.3.2 조의 3음보
5) 주제
이별의 정한(情恨)
6) 별칭
귀호곡(歸乎曲)
7) 출전
악장가사
Ⅵ.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의 작품해설
이 노래는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것으로 소박하고 꾸밈없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별의 애절한 정한을 한없이 느끼게 하는 점에서 어떠한 이별 노래보다 가장 뛰어난 노래라 할 수 있다.
1. 1연(기)
원사로 시작된다. 아직 사랑이 식지 않은, 서로 나누어야 할 많은 사연을 남긴 채, 임은 나를 버리고 떠나려고 한다. 지극히 사랑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임을 떠나 보내야하는 슬픔, 이 간곡한 슬픔을 간결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 연에서는 정조가 원사에 그치지 않고 한 가닥의 희망, 즉 기적을 바라는 애절한 기대마저 느끼게 하고 있다.
2. 2연(승)
원망과 기대가 한꺼번에 쏟아져 나온 1연에 이어 참담한 자신의 모습을 내려다보고 앞으로 닥쳐올 외롭고 쓸쓸한 생활을 애소하고 있다.
3. 3연(전)
님이 나를 버리고 떠난다만 내가 붙잡고 놓지 않으면 차마 뿌리치겠느냐만 그러다가 임의 마음을 상하게 할 것이 두려워 그럴 수도 없다는 지극한 동양의 여심이 체념으로 나타난다.
4. 4연(결)
임이 떠나는 것도, 떠나는 임을 막을 수 없다는 것도 이젠 기정사실, 다시 임의 마음을 돌이킬 수 없는 바에야 조용히 앉아 돌아오시기만 빌겠다는 극히 소박한 염원이 가득히 나타난다. 떠날 때 홀연히 떠나듯이 다시 오실 때도 떠날 때처럼 홀연히 오시라는 염원은 애처롭게 호소해 보는 것이다.
참고문헌
강대구(1995), 가시리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이정선(2010), 가시리의 편사와 문학적 해석, 한국언어문화학회
이돈균(1981), 고려가요의 형태연구, 조선대학교 국어교육학회
임주탁(2001), 가시리의 독법과 해석의 방향, 국어교과교육학회
윤재근(1972), 가시리 표현의 재고, 아하학회
주근옥(2000), 가시리와 진달내꽃의 구조분석, 대전대학교국어국문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