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화의 구조:
Gilgamesh 이야기
신화 비평(신화의 이데올로기적 심층구조의 파악)
Gilgamesh 이야기
신화 비평(신화의 이데올로기적 심층구조의 파악)
본문내용
하고, 사적인 공간에서 역할을 더 잘하는’ 여성이라는 식의 이미지 덩어리를 어릴 적부터 동화나 이야기 속에서 반복하여 말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신화가 목표로 삼는 것은 주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체가 형성되는 것을 목표로 삼는데 여기서 말하는 주체는 신화나 이데올로기를 만드는 주체가 아니라 이들에 복종하는 주체를 말한다. 즉 신화가 재생산되는 데는 그것을 실천해주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 반복되어 신화를 자신의 것인 것처럼 받아들이게 하며 더 나아가 사회 속에서 실천하게 하는 신화의 재생산의 사이클을 끊임없이 수행하는 주체가 필요한 것이다. 궁극적으로 신화가 겨냥하는 것은 신화 속에 등장하는 신들이나 영웅, 또는 요정들이 아니라 신화를 듣는 사람들이다.
여기서 주체는 영어로 subject로, 주제, 주어, 주관, 자아 등의 의미와 함께 백성, 신하, 피지배자 등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구조주의에서 말하는 주체는 사람 또는 인간을 말하는데 ‘지배를 받는, 복종하는, 영향을 받기 쉬운’ 존재로서, 신화 또는 지배 이데올로기의 대상이란 뜻으로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신화나 이데올로기는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할 주체를 필요로 하며 부르는 것이다. 사회 안에서 존재하는 신화나 지배 이데올로기의 부름에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거나 부르는 것조차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는 사회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사회 내에서 왕따가 되기 십상이다. 이 신화나 이데올로기에 즐겁게 대답해야만 사회의 주체가 되고 다시 말해 사회 속에서 헤게모니를 쥐는 자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신화나 지배 이데올로기를 받아들여 주체가 되면 이제 해야 할 일은 스스로가 그 신화나 지배 이데올로기를 실천하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마르크스가 말하는 허위의식(false consciousness)에 지나지 않는다. 즉 경험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은 의식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신화나 지배 이데올로기에 빠진 자들은 그것들이 마치 나의 것인 것처럼, 나의 심사숙고 끝에 나온 결정체인 것처럼 간주한다. 신화나 이데올로기는 관념화의 작용과 함께 실천을 하도록 충동한다. 여성이나, 노동자, 자본가, 국가 권력 등에 대해 자연스러운 태도를 갖게 하고 자연스럽게 그 태도를 생활에서 온몸으로 실천하는 것이다. 이 전도된 주체, 또는 허구적 주체들은 실질적인 주체, 즉 사회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자들의 이익을 위해 허구적으로 자신들을 신화와 이데올로기로 굳게 무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화가 목표로 삼는 것은 주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체가 형성되는 것을 목표로 삼는데 여기서 말하는 주체는 신화나 이데올로기를 만드는 주체가 아니라 이들에 복종하는 주체를 말한다. 즉 신화가 재생산되는 데는 그것을 실천해주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 반복되어 신화를 자신의 것인 것처럼 받아들이게 하며 더 나아가 사회 속에서 실천하게 하는 신화의 재생산의 사이클을 끊임없이 수행하는 주체가 필요한 것이다. 궁극적으로 신화가 겨냥하는 것은 신화 속에 등장하는 신들이나 영웅, 또는 요정들이 아니라 신화를 듣는 사람들이다.
여기서 주체는 영어로 subject로, 주제, 주어, 주관, 자아 등의 의미와 함께 백성, 신하, 피지배자 등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구조주의에서 말하는 주체는 사람 또는 인간을 말하는데 ‘지배를 받는, 복종하는, 영향을 받기 쉬운’ 존재로서, 신화 또는 지배 이데올로기의 대상이란 뜻으로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신화나 이데올로기는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할 주체를 필요로 하며 부르는 것이다. 사회 안에서 존재하는 신화나 지배 이데올로기의 부름에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거나 부르는 것조차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는 사회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사회 내에서 왕따가 되기 십상이다. 이 신화나 이데올로기에 즐겁게 대답해야만 사회의 주체가 되고 다시 말해 사회 속에서 헤게모니를 쥐는 자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신화나 지배 이데올로기를 받아들여 주체가 되면 이제 해야 할 일은 스스로가 그 신화나 지배 이데올로기를 실천하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마르크스가 말하는 허위의식(false consciousness)에 지나지 않는다. 즉 경험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은 의식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신화나 지배 이데올로기에 빠진 자들은 그것들이 마치 나의 것인 것처럼, 나의 심사숙고 끝에 나온 결정체인 것처럼 간주한다. 신화나 이데올로기는 관념화의 작용과 함께 실천을 하도록 충동한다. 여성이나, 노동자, 자본가, 국가 권력 등에 대해 자연스러운 태도를 갖게 하고 자연스럽게 그 태도를 생활에서 온몸으로 실천하는 것이다. 이 전도된 주체, 또는 허구적 주체들은 실질적인 주체, 즉 사회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자들의 이익을 위해 허구적으로 자신들을 신화와 이데올로기로 굳게 무장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설화의 정신분석학적 해석 및 신화 원형 비평
고조선의 단군신화, 고구려의 주몽신화, 무속신화인 당금애기 신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한국신화의 이해
롤랑 바르트의 신화론과 텍스터 분석
[셀레늄][셀레늄 발견][셀레늄 화학적 구조][셀레늄 함유식품][셀레늄 결핍][셀레늄 과다]셀...
[노동통제][노동자통제][근로자][노동자]노동통제(노동자통제)와 노동과정, 노동통제(노동자...
[일본 천황][일본 천황제][일본 상징천황제][천황대제]일본 천황(천황제) 관련 신화, 일본 천...
[소설][소설 요소][소설 특징][소설 외형구조][소설 표현방법][헤겔과 루카치 소설론]소설의 ...
[교육학A+] 고등학교 기간제 교사 정의와 증가원인 및 기간제교사와 조직구조,정규직 교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