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팀티칭(Team Teaching)의 정의 및 개념
2. 역사적 배경
3. 열린교육과 팀티칭
4. 팀티칭의 준비
5. 팀티칭의 전개
1) 팀티칭의 구성
2) 팀 구성원의 할 일
3) 팀티칭의 적용 환경
6. 팀티칭의 유형과 적용과정
1) 팀티칭의 형태
2) 팀티칭의 적용 과정
3) 팀티칭 적용의 다양한 모형
4) 팀티칭의 평가
7. 발전적인 팀티칭 방안
8. 팀티칭 지도안 사례와 지도안 방안
9. 팀티칭 발표에 대한 소감
10. 참고문헌
2. 역사적 배경
3. 열린교육과 팀티칭
4. 팀티칭의 준비
5. 팀티칭의 전개
1) 팀티칭의 구성
2) 팀 구성원의 할 일
3) 팀티칭의 적용 환경
6. 팀티칭의 유형과 적용과정
1) 팀티칭의 형태
2) 팀티칭의 적용 과정
3) 팀티칭 적용의 다양한 모형
4) 팀티칭의 평가
7. 발전적인 팀티칭 방안
8. 팀티칭 지도안 사례와 지도안 방안
9. 팀티칭 발표에 대한 소감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자 할 때 주위의 선배교사나 환경이 걸림돌이 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도 살짝 되었다.
유민지 : 처음에 '팀티칭'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에는 협동학습처럼 아이들을 몇몇씩 팀을 이루게 하여 어떤 과제를 해결해나가도록 하는 학습방법인 줄 알았다. 그러나 처음 팀티칭의 개념을 보고 매우 놀랐다. '두 학급 교사가 합동으로 수업을 한다고?? 교사가 팀을 이룬다고??' 학생이 아닌 교사들이 팀을 짜서 같이 혹은 분담하여 수업을 한다는 것이 매우 생소했다. 그러나 여러 논문을 보고, 관련 문헌들을 읽고 난 지금은 왜 진작 교사들의 상호간 협동은 생각하지 못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팀티칭이 갖는 장점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내가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장점은 개별학습의 기회가 증대된다는 것이다. 지금 현 교실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일률적인 대집단 학습으로는 소외되는 아이가 너무 많다. 소외될 수밖에 없는 것이 아이들의 수준이 다 다르고 흥미나 관심있는 것들이 천차만별인데 수업은 특정 아동의 수준에(예-중간단계) 맞춰 진행되고 있으니 말이다. 이것은 공부 잘하는 아이에게도 수업에 대한 흥미면에서 손해지만, 특히 학습부진아들의 손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수업내용을 따라가지 못해서 오는 스트레스나 그에 따라 점차 참여에 소극적여지고 자신감이나 나아가 자존감까지 잃어가는 것이 매우 안타깝다. 팀티칭을 통해서 아동들은 여러 교사로부터 지도를 받을 수 있어 자신의 수준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고, 더욱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다는 점은 정말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요즘 논란인 '교사평가제'도 자신의 수업을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하기 꺼려하는 것 때문에 반대하는 이유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바깥과의 상호작용 혹은 발전 없이 자신만의 틀 속에서 안일한 모습을 보인다면 그것은 바로 우리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초등학교 교사라고 만능일 수 없다. 당연히 인간이기 때문에 부족한 점이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을 동료교사와 협동한다면 아이들에게 더욱 질 좋은 수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동뿐만 아니라 교사에게 있어서도 자신만의 특기를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짐으로써 더욱 자신감 있는 수업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따라서 팀티칭의 수업적용이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최인영 : 처음에는 팀 티칭(Team teaching)을 들었을때는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서로간에 교수를 해주는 학습 방식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협동학습이나 상보적 교수법과의 비교, 대조를 통해 조사를 해보면 되겠다고 생각했는 데, 팀 티칭은 학생이 아닌 교사가 팀이 되어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초등학교의 경우 학생들의 전인적·통합적 발달을 위해 '학급 담임제'를 근간으로 하면서도, 일부 교과만 '교과 전담제'를 시행하고 있다. 한 명의 교사가 모든 과목을 가르치다 보니 전문성이 떨어지는 분야에서는 아이들의 효과적인 수업이 진행될 수 없었다. 그러나 중학교 처럼 교과전담제를 시행한다면, 아이들의 발달상황에 대한 전문성 부족등 으로 인해 초등학생들(특히 저학년)에게는 전인적 발달이 일어 날 수 없기 때문에 예체능 과목이나 영어 에 한해서 시행 할 수 밖에 없었다.
팀티칭을 조사 하면서 이 교수 방법이 바로 학급 담임제와 교과 담임제의 장점 만을 취하고 있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 팀이 된 교사 들이 서로의 전문성이 높은 분야를 가르치기 때문에 아이들은 효과적인 수업이 가능하며 학급 담임도 존재하기 때문에 아이들의 전인적 발달에도 문제가 없다. 오히려 통합적인 수업이 진행되기가 쉬우므로 통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이 발달될 것이다.
게다가 7차 교육과정에서는 수준별 교육과정과 교육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를 강조하고 있다. 학급 담임제와 마찬가지로 한 명의 교사가 다수준의 대집단 아이들을 상대로 모두에게 동일한 교수방법을 시행하므로 효과적인 수준별 교육과정을 시행할 수 없다. 그러나 팀 티칭을 이용한다면 각 집단 별로 교사를 배정하여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학생들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면, 보다 적절한 내용과 적절한 수준의 수업으로 집중력과 학습 의욕이 높아져 상대적으로 학습 효과가 클 것이다. 그리고 교사는 팀 티칭을 통해 다른 교수들에게 의견을 들음으로써 자신의 수업에 대에 좀 더 객관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다른 조들의 발표에서 나왔던 다양한 교수법들 중 에서는 이미 사라진 풍토의 교수 방법도 있었고, 우리나라에 적용하기에는 너무나도 힘든 교수법도 있었다. 팀 티칭 역시 지금 현재 많은 학교에서 이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단지 옆 반과의 통합 수업 정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이 역시도 팀 티칭의 한 방법이지만, 더 적극적인 팀 티칭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역시 적용하기에는 교육적 여건이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지만, 중요한 것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좀 더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서는 언제나 교사의 연구가 필수 적이라는 것이다.
10. 참고문헌
「열린 수업 모형」 / 권낙원 (敎育發展論叢(忠南大學校), Vol.19 No.1, [1998])
「팀티칭 實踐을 위한 一硏究 (A Study on Giving Effect to Team Teaching)」 / 南在壽 (論文集, Vol.1 No.-, [1965])
「팀티칭(Team Teaching)을 통한 敎育效果의 向上을 위한 事例硏究」 / 李揆勳 (大學發展세미나資料集, Vol.1993 No.-, [1993])
유치원의 팀티칭 현황과 교사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 경은정
조성일 외(2002).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서울: 동문사.
김광자(2000). 교수학습방법의 이해. 서울:집문당.
홍미리 외, 열린교육과 팀티칭, 서울 : 동문사, 1998
http://mudeung.kwangju-e.ac.kr/~jslee/3--9.htm : 열린교육
210.217.250.199/bbs/zboard.php?id=leftm08&no=7 : 전남여상 엑셀+국사 교과의 팀티칭 시범수업
※ 참고문헌들과 기타참고들도 같이 CD로 원본을 묶어서 제출하도록 하겠습니다.
유민지 : 처음에 '팀티칭'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에는 협동학습처럼 아이들을 몇몇씩 팀을 이루게 하여 어떤 과제를 해결해나가도록 하는 학습방법인 줄 알았다. 그러나 처음 팀티칭의 개념을 보고 매우 놀랐다. '두 학급 교사가 합동으로 수업을 한다고?? 교사가 팀을 이룬다고??' 학생이 아닌 교사들이 팀을 짜서 같이 혹은 분담하여 수업을 한다는 것이 매우 생소했다. 그러나 여러 논문을 보고, 관련 문헌들을 읽고 난 지금은 왜 진작 교사들의 상호간 협동은 생각하지 못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팀티칭이 갖는 장점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내가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장점은 개별학습의 기회가 증대된다는 것이다. 지금 현 교실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일률적인 대집단 학습으로는 소외되는 아이가 너무 많다. 소외될 수밖에 없는 것이 아이들의 수준이 다 다르고 흥미나 관심있는 것들이 천차만별인데 수업은 특정 아동의 수준에(예-중간단계) 맞춰 진행되고 있으니 말이다. 이것은 공부 잘하는 아이에게도 수업에 대한 흥미면에서 손해지만, 특히 학습부진아들의 손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수업내용을 따라가지 못해서 오는 스트레스나 그에 따라 점차 참여에 소극적여지고 자신감이나 나아가 자존감까지 잃어가는 것이 매우 안타깝다. 팀티칭을 통해서 아동들은 여러 교사로부터 지도를 받을 수 있어 자신의 수준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고, 더욱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다는 점은 정말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요즘 논란인 '교사평가제'도 자신의 수업을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하기 꺼려하는 것 때문에 반대하는 이유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바깥과의 상호작용 혹은 발전 없이 자신만의 틀 속에서 안일한 모습을 보인다면 그것은 바로 우리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초등학교 교사라고 만능일 수 없다. 당연히 인간이기 때문에 부족한 점이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을 동료교사와 협동한다면 아이들에게 더욱 질 좋은 수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동뿐만 아니라 교사에게 있어서도 자신만의 특기를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짐으로써 더욱 자신감 있는 수업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따라서 팀티칭의 수업적용이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최인영 : 처음에는 팀 티칭(Team teaching)을 들었을때는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서로간에 교수를 해주는 학습 방식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협동학습이나 상보적 교수법과의 비교, 대조를 통해 조사를 해보면 되겠다고 생각했는 데, 팀 티칭은 학생이 아닌 교사가 팀이 되어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초등학교의 경우 학생들의 전인적·통합적 발달을 위해 '학급 담임제'를 근간으로 하면서도, 일부 교과만 '교과 전담제'를 시행하고 있다. 한 명의 교사가 모든 과목을 가르치다 보니 전문성이 떨어지는 분야에서는 아이들의 효과적인 수업이 진행될 수 없었다. 그러나 중학교 처럼 교과전담제를 시행한다면, 아이들의 발달상황에 대한 전문성 부족등 으로 인해 초등학생들(특히 저학년)에게는 전인적 발달이 일어 날 수 없기 때문에 예체능 과목이나 영어 에 한해서 시행 할 수 밖에 없었다.
팀티칭을 조사 하면서 이 교수 방법이 바로 학급 담임제와 교과 담임제의 장점 만을 취하고 있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 팀이 된 교사 들이 서로의 전문성이 높은 분야를 가르치기 때문에 아이들은 효과적인 수업이 가능하며 학급 담임도 존재하기 때문에 아이들의 전인적 발달에도 문제가 없다. 오히려 통합적인 수업이 진행되기가 쉬우므로 통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이 발달될 것이다.
게다가 7차 교육과정에서는 수준별 교육과정과 교육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를 강조하고 있다. 학급 담임제와 마찬가지로 한 명의 교사가 다수준의 대집단 아이들을 상대로 모두에게 동일한 교수방법을 시행하므로 효과적인 수준별 교육과정을 시행할 수 없다. 그러나 팀 티칭을 이용한다면 각 집단 별로 교사를 배정하여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학생들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면, 보다 적절한 내용과 적절한 수준의 수업으로 집중력과 학습 의욕이 높아져 상대적으로 학습 효과가 클 것이다. 그리고 교사는 팀 티칭을 통해 다른 교수들에게 의견을 들음으로써 자신의 수업에 대에 좀 더 객관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다른 조들의 발표에서 나왔던 다양한 교수법들 중 에서는 이미 사라진 풍토의 교수 방법도 있었고, 우리나라에 적용하기에는 너무나도 힘든 교수법도 있었다. 팀 티칭 역시 지금 현재 많은 학교에서 이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단지 옆 반과의 통합 수업 정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이 역시도 팀 티칭의 한 방법이지만, 더 적극적인 팀 티칭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역시 적용하기에는 교육적 여건이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지만, 중요한 것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좀 더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서는 언제나 교사의 연구가 필수 적이라는 것이다.
10. 참고문헌
「열린 수업 모형」 / 권낙원 (敎育發展論叢(忠南大學校), Vol.19 No.1, [1998])
「팀티칭 實踐을 위한 一硏究 (A Study on Giving Effect to Team Teaching)」 / 南在壽 (論文集, Vol.1 No.-, [1965])
「팀티칭(Team Teaching)을 통한 敎育效果의 向上을 위한 事例硏究」 / 李揆勳 (大學發展세미나資料集, Vol.1993 No.-, [1993])
유치원의 팀티칭 현황과 교사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 경은정
조성일 외(2002).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서울: 동문사.
김광자(2000). 교수학습방법의 이해. 서울:집문당.
홍미리 외, 열린교육과 팀티칭, 서울 : 동문사, 1998
http://mudeung.kwangju-e.ac.kr/~jslee/3--9.htm : 열린교육
210.217.250.199/bbs/zboard.php?id=leftm08&no=7 : 전남여상 엑셀+국사 교과의 팀티칭 시범수업
※ 참고문헌들과 기타참고들도 같이 CD로 원본을 묶어서 제출하도록 하겠습니다.
추천자료
기술가정과교육과정(기술가정교육과정)의 성격과 목적, 기술가정과교육과정(기술가정교육과정...
영어과교육과정(영어교육과정)의 목적, 영어과교육과정(영어교육과정)의 중점, 영어과교육과...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정의,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임의규정,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운영준비, 선택...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 수업)의 분류와 필요성,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 수업)의 교...
미술과교육과정(미술교육과정)의 개정중점, 미술과교육과정(미술교육과정)의 내용선정, 미술...
사회과교육과정(사회교육과정)의 성격과 특징, 사회과교육과정(사회교육과정)의 목표, 사회과...
수학과교육과정(수학교육과정)의 개관, 수학과교육과정(수학교육과정)의 목표와 개정배경, 수...
영어교육과정(영어과교육과정)의 성격과 기본 방향, 영어교육과정(영어과교육과정)의 개정 중...
제7차교육과정의 특성, 제7차교육과정의 중요성, 제7차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제7차교육과정...
제7차교육과정의 성격, 제7차교육과정의 특성, 제7차교육과정의 개정 이유, 제7차교육과정의 ...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목적과 성격,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기본방향, 국...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개념,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운영지침, 선택중심교육과정의 현황, 선택중심...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수업, 학습)의 유형과 취지,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수업, 학습)의 수준...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인성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하여 (1.경험주의 교육과정 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