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철학교육의 필요성과 그 교육 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1. 전인적 인간형성을 위해서
2. 통일적 인식을 위해서
3. 철학교육의 방법

본문내용

있어서, 두개의 다른 사상의 물줄기가 만나는 그러한 지점에서 가장 풍요한 발전이 자주 이루어진다는 것은 아마도거의 전적으로 타당한 말일 것이다. 이러한 물줄기들은 인ㄹㅍ문화의 전혀 다른 분야에 상이한 시대와 문화환경과 상이한 종교적 전통에 그 근원을 두고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그들 둘이 실제로 만나는 일이 이루어진다면, 행여 그처럼 긴밀히 서로 연결을 맺어 하나의 진정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만 있다면 우리는 그곳에서 새롭고도 흥미진진한 발전이 곧 뒤따라 전개될 것이라고 기대해도 좋을 것이다."
) F. 카푸라 著, 金鎔貞외 1인 譯, 現代物理學과 東洋思想. P. 4
위의 하이젠베르크의 진술은 한마디로 동양과 서양의 두 물줄기의 만남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 있어서 앞으로 고교의 철학교육은 다른 인접학문 예를들면 심리학, 물리학, 생물학과 같은 과학분야의 학문들을 참고하여 문제중심으로 그것들을 원용해 나가는 방법을 택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우리는 동양과 서양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현대가 당면하고 있는 국제적인 차원에서 보다 세계적인 전인적 인간이 되도록 교육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K. 레윈은 "아동의 생활공간에 있어서의 시간적 전망은 현재는 협소하게 한정되어 있지만 이제 성장함에 따라서 그 현재에 있어서의 시간적 전망의 차원은 점차로 확대되어 먼 과거의 기억과 미래의 추리가 동시적으로 포함되어 나타난다"고 하였다.
) K. Lewin, Field Theory in Social Science. 1951. p. 75
이것은 생도에게 있어서 현재의 생활 동간의 상황과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알려주는 말이다.
듀이는 과거의 시간적 전망의 확대에 있어서 <관습>을 매우 중요시 하였다.
) Dewey, The School and Society, p. 104참조
관습은 말할 것도 없이 과거에 이미 한 사회에서 형성된 생활양식, 가치규범, 일상적 규율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람은 관습을 떠나서는 그 사회의 성원이나 동료로서의 공동생활에 참가할 수 없는 것이다. 관습은 역사적으로 그 사회의 정신문화가 오랫동안 토착화됨으로써 형성되기도 하고 지리, 풍토의 자연적 조건에 따라서 형성되기도 한다.
아무튼 관습이나 전통문화는 한 사회의 정신 문화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관습은 그 사회의 전통적인 정신문화의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으로 과거의 관습의 수용은 단지 과거에로 흡수되거나 역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있어서 과거의 것을 능동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전통적인 가치이념을 유지, 발전시키고 다시 현재로부터 미래로 연결되는 역사적 시간계열에 있어서의 전통문화의 연속적 발전을 기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교 철학교육은 동양철학은 물론 우리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현대의 새로운 인식론 내지 가치론을 넓게 활용하여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은 하이제베르크가 시사했듯이 현재 東西의 두 물줄기가 만나는 것 이상 인류에게 그리고 우리에게 더 바람직한 것은 없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3.04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8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