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 제기
1) 게임 언어 교육
2) 서사 교육
2. 이론적 배경
1) 서사현상
2) 교육과정
3) 교수,학습 방법
4) 교육의 평가
3. 교수.학습 내용의 설계
4. 교재의 실제
5. 의의 및 한계
1) 게임 언어 교육
2) 서사 교육
2. 이론적 배경
1) 서사현상
2) 교육과정
3) 교수,학습 방법
4) 교육의 평가
3. 교수.학습 내용의 설계
4. 교재의 실제
5. 의의 및 한계
본문내용
실제
두드리기
게임 서사가 갖는 문학적 요소를 찾아본다.
서사는 문학작품뿐만 아니라 아닌 일상생활 다양한 부분에서 발견할 수 있다.
발견하기
서사의 종류를 알아본다
서술주체-경험주체에 따른 분류, 매체에 따른 분류 수준에서 서사를 구분할 수 있게 한다.
게임 내에서 서사적 요소를 찾아본다.
해 보기
게임 서사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지어본다.
상대방과 교환하여 한 편의 완성된 글을 써 본다. (심화과정)
점검하기
게임 중독 일어난 이유를 토의한다.
(서사성과 관련지을 수 있도록 유도)
토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게임 습관을 반성한다.
되짚어 보기
교육 과정의 의의 및 학습 목표와 수업내용의 연관성 요약 제시
학습 목표 달성 여부의 자기 점검 과정
의의 및 한계
의 의
게임 자체에 대한 교육이 아닌 게임 내 서사 구조에 대한 수업
매체언어와 국어교육의 시각에서 게임이 국어교육의 한 분야를 교육하는데 적절한 소재 될 수 있음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창작'을 게임이라는 익숙한 분위기 조성을 통해 능동적이고 적극적 학습 유도
한 계
서사 교육의 어려움 : 서사구조 및 현상의 대략적 종류만을 짚어 보았을 뿐, 정작 서사 그 자체에 대한 논의는 난이도(대학 교육과정) 문제가 있음.
게임의 서사 외적인 면, 즉 상업적 측면 등에 대한 논의와 올바른 게임 선택·소비의 문제는 다루지 못함
게임의 교재화 -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게임 서사 선택의 어려움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작품 선택
짧은 시간(수업 차시)내 경험 가능한 게임 서사
교육용 게임 제작의 문제
교사의 게임 서사 이해 능력에 따라 학습활동을 통한 학습 목표 달성에 큰 영향을 미침
게임이 갖는 복합적 요소 중 '서사'부분만을 교육 - 게임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 차단(
게임 매체의 전 요소를 교육하고 있지 않음
게임의 긍정적인 면을 토대로 수업을 진행하게 되어 자칫 학생이 게임에 빠지는 정당성의 근거로 삼을 수 있음
▩ 참고문헌 ▩
⊙ 로버트 숄즈 外 저, 임병권 역 「서사의 본질」 예임기획 (2001)
⊙ 마이클 J. 툴란 저, 김병욱外 역 「서사론-비평언어학적 서설」 형설출판사 (1993)
⊙ 오탁번·이남호 「서사문학의 이해」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 우한용 外 8인 「서사교육론」 동아시아 (2001)
⊙ 임경순 「서사표현교육론 연구」 역락 (2003)
⊙ 제랄드 프랭스 저 최상규 역 「서사학이란 무엇인가-서사물의 형식과 기능」 예림기획 (1999)
두드리기
게임 서사가 갖는 문학적 요소를 찾아본다.
서사는 문학작품뿐만 아니라 아닌 일상생활 다양한 부분에서 발견할 수 있다.
발견하기
서사의 종류를 알아본다
서술주체-경험주체에 따른 분류, 매체에 따른 분류 수준에서 서사를 구분할 수 있게 한다.
게임 내에서 서사적 요소를 찾아본다.
해 보기
게임 서사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지어본다.
상대방과 교환하여 한 편의 완성된 글을 써 본다. (심화과정)
점검하기
게임 중독 일어난 이유를 토의한다.
(서사성과 관련지을 수 있도록 유도)
토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게임 습관을 반성한다.
되짚어 보기
교육 과정의 의의 및 학습 목표와 수업내용의 연관성 요약 제시
학습 목표 달성 여부의 자기 점검 과정
의의 및 한계
의 의
게임 자체에 대한 교육이 아닌 게임 내 서사 구조에 대한 수업
매체언어와 국어교육의 시각에서 게임이 국어교육의 한 분야를 교육하는데 적절한 소재 될 수 있음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창작'을 게임이라는 익숙한 분위기 조성을 통해 능동적이고 적극적 학습 유도
한 계
서사 교육의 어려움 : 서사구조 및 현상의 대략적 종류만을 짚어 보았을 뿐, 정작 서사 그 자체에 대한 논의는 난이도(대학 교육과정) 문제가 있음.
게임의 서사 외적인 면, 즉 상업적 측면 등에 대한 논의와 올바른 게임 선택·소비의 문제는 다루지 못함
게임의 교재화 -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게임 서사 선택의 어려움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작품 선택
짧은 시간(수업 차시)내 경험 가능한 게임 서사
교육용 게임 제작의 문제
교사의 게임 서사 이해 능력에 따라 학습활동을 통한 학습 목표 달성에 큰 영향을 미침
게임이 갖는 복합적 요소 중 '서사'부분만을 교육 - 게임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 차단(
게임 매체의 전 요소를 교육하고 있지 않음
게임의 긍정적인 면을 토대로 수업을 진행하게 되어 자칫 학생이 게임에 빠지는 정당성의 근거로 삼을 수 있음
▩ 참고문헌 ▩
⊙ 로버트 숄즈 外 저, 임병권 역 「서사의 본질」 예임기획 (2001)
⊙ 마이클 J. 툴란 저, 김병욱外 역 「서사론-비평언어학적 서설」 형설출판사 (1993)
⊙ 오탁번·이남호 「서사문학의 이해」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 우한용 外 8인 「서사교육론」 동아시아 (2001)
⊙ 임경순 「서사표현교육론 연구」 역락 (2003)
⊙ 제랄드 프랭스 저 최상규 역 「서사학이란 무엇인가-서사물의 형식과 기능」 예림기획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