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선비란 누구인가
3. 선비의 본분과 의의
4. 선비가 현대에 주는 시사점
2. 선비란 누구인가
3. 선비의 본분과 의의
4. 선비가 현대에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이다. 또한 지조를 가지고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정신의 기초도 다져야 할 것이다. 이럴 때만이 우리는 가치관의 혼란을 막고 가장 인간다운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 출 처 -
김충렬. 유가윤리강의. 예문서원
김태길. 유교적 전통과 현대한국
http://linux.korea.ms.kr/%7Epuchoe/technote/read.cgi?board=k_jung322&y_number=12&nnew=1
* 마지막 소견서 *
이상으로 지금까지 12번의 소견서와 교육과정이론 정리 레포트까지 모두 마쳤다. 정말 힘든 여정이었다. 처음에 교육과정을 만만히 생각하고 덤벼든 것이 참 철없던 생각이라고 느껴진다. 아마 이번 수업을 통해 교사와 교육에 대해 가장 깊이 있게 생각하게 되지 않았나 싶다. 12번의 강의와 소견서를 쓰는 동안에는 인생과 철학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고 교육과정 이론 책을 요약하면서 교사와 교육관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전통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 모든 것이 낯설고 힘들게 느껴졌지만 결코 교사가 만만하고 안일한 직업이 아니라는 것을 확실히 깨달았다. 교사는 항상 노력하며 수업의 주체가 되어 학생들이 바르고 생의 목적이 될 수 있는 지성을 깨닫게 하여야 한다. 어찌보면 교사가 곧 선비가 되어야 할지 모르겠다. 때문에 가치관의 혼란 속에서 우리는 지조를 잃지 말고 학생들에게 확실한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교사는 심성훈련을 게을리 하지 말고 평생을 학업의 정진과 함께 이를 사회를 위해 환원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출 처 -
김충렬. 유가윤리강의. 예문서원
김태길. 유교적 전통과 현대한국
http://linux.korea.ms.kr/%7Epuchoe/technote/read.cgi?board=k_jung322&y_number=12&nnew=1
* 마지막 소견서 *
이상으로 지금까지 12번의 소견서와 교육과정이론 정리 레포트까지 모두 마쳤다. 정말 힘든 여정이었다. 처음에 교육과정을 만만히 생각하고 덤벼든 것이 참 철없던 생각이라고 느껴진다. 아마 이번 수업을 통해 교사와 교육에 대해 가장 깊이 있게 생각하게 되지 않았나 싶다. 12번의 강의와 소견서를 쓰는 동안에는 인생과 철학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고 교육과정 이론 책을 요약하면서 교사와 교육관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전통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 모든 것이 낯설고 힘들게 느껴졌지만 결코 교사가 만만하고 안일한 직업이 아니라는 것을 확실히 깨달았다. 교사는 항상 노력하며 수업의 주체가 되어 학생들이 바르고 생의 목적이 될 수 있는 지성을 깨닫게 하여야 한다. 어찌보면 교사가 곧 선비가 되어야 할지 모르겠다. 때문에 가치관의 혼란 속에서 우리는 지조를 잃지 말고 학생들에게 확실한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교사는 심성훈련을 게을리 하지 말고 평생을 학업의 정진과 함께 이를 사회를 위해 환원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