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비만의 정의
2. 비만의 원인
3. 비만의 분류
4. 비만의 진단
5. 비만의 합병증
6. 비만의 치료
2. 비만의 원인
3. 비만의 분류
4. 비만의 진단
5. 비만의 합병증
6. 비만의 치료
본문내용
단독으로만 평가하지 말고 체지방량을 측정하여 평가해야 한다.
- 올바른 운동요법-
① 준비운동은 반드시 한다.
② 장기적인 목표를 가진다.
③ 1주일에 3회 이상 참여, 낮은 강도로 처음 30분부터 시작하여 운동시간 1시간이 될 때 까지 서서히 증가시켜 나간다.
④ 바쁜 일과로 운동을 하지 못할 경우에는 일상생활에서 신체 활동량을 증가 시킨다.
⑤ 싫증이 나지 않도록 운동종목을 바꾸어 가면서 실시한다.
⑥ 운동 할 때 이상이 있거나 심장질환이나 당뇨병 등의 질환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 와 상담을 한 후에 운동을 지속한다.
⑦ 전신 근육을 사용하는 유산소 운동인 걷기, 자전거 타기, 계단 오르기, 에어로빅, 수영, 조깅, 줄넘기, 등산 등이 좋다.
<운동프로그램 순서>
준비운동(5~10분) ▶ 근력운동(20분) ▶ 유산소운동(30분) ▶ 정리운동(5분)
체조와 스트레칭 걷기, 자전거, 수영 등 제자리 걷기 또는 체조
3) 약물요법
약물치료는 사람마다 효과가 틀릴 수가 있으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엄격한 검사와 진찰을 통하여 개개인에게 맞도록 안전하게 처방되는 것이 중요하다.
체질량 지수가 25이상이고 비만 치료를 위해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의 비약물 요법을
3개월을 한 후에도 기존체중의 10%가 감량되지 않았을 때 약물치료를 시작하고, 체질량 지수가 23이상이고 비약물 요법이 효과가 없으면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수면 무호흡증후군, 관절염 등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약물요법을 시작한다.
※ 약물의 종류
1) 제니칼(Orlistat)
위장관에서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인 리파아제를 억제하여 지방을 흡수하지 않고 배설되 게 한다.
2) 리덕틸(Sibutramine)
중추신경계의 신경말단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식욕억제와 체중감소 효과를 보인다.
3) 프로작(Fluoxetine)
원래 우울증에 쓰이는 항우울 치료제이나 중추신경계의 신경 말단에서 세로토닌의 흡수를 억제하여 식욕을 억제하고 기초체온을 올림으로써 열 발생을 유도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참고문헌>
* 현대인의 식생활과 비만
- 효일 출판사, 송창근
* 비만 다스리기
- 서림 미디어, 김영호
* 비만과 운동
- 계명대학교 출판부, 김지진
* http://dir.naver.com/Lifestyle/Health/Weight_Issues/Obesity
* naver 검색: 대한 비만학회
- 올바른 운동요법-
① 준비운동은 반드시 한다.
② 장기적인 목표를 가진다.
③ 1주일에 3회 이상 참여, 낮은 강도로 처음 30분부터 시작하여 운동시간 1시간이 될 때 까지 서서히 증가시켜 나간다.
④ 바쁜 일과로 운동을 하지 못할 경우에는 일상생활에서 신체 활동량을 증가 시킨다.
⑤ 싫증이 나지 않도록 운동종목을 바꾸어 가면서 실시한다.
⑥ 운동 할 때 이상이 있거나 심장질환이나 당뇨병 등의 질환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 와 상담을 한 후에 운동을 지속한다.
⑦ 전신 근육을 사용하는 유산소 운동인 걷기, 자전거 타기, 계단 오르기, 에어로빅, 수영, 조깅, 줄넘기, 등산 등이 좋다.
<운동프로그램 순서>
준비운동(5~10분) ▶ 근력운동(20분) ▶ 유산소운동(30분) ▶ 정리운동(5분)
체조와 스트레칭 걷기, 자전거, 수영 등 제자리 걷기 또는 체조
3) 약물요법
약물치료는 사람마다 효과가 틀릴 수가 있으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엄격한 검사와 진찰을 통하여 개개인에게 맞도록 안전하게 처방되는 것이 중요하다.
체질량 지수가 25이상이고 비만 치료를 위해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의 비약물 요법을
3개월을 한 후에도 기존체중의 10%가 감량되지 않았을 때 약물치료를 시작하고, 체질량 지수가 23이상이고 비약물 요법이 효과가 없으면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수면 무호흡증후군, 관절염 등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약물요법을 시작한다.
※ 약물의 종류
1) 제니칼(Orlistat)
위장관에서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인 리파아제를 억제하여 지방을 흡수하지 않고 배설되 게 한다.
2) 리덕틸(Sibutramine)
중추신경계의 신경말단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식욕억제와 체중감소 효과를 보인다.
3) 프로작(Fluoxetine)
원래 우울증에 쓰이는 항우울 치료제이나 중추신경계의 신경 말단에서 세로토닌의 흡수를 억제하여 식욕을 억제하고 기초체온을 올림으로써 열 발생을 유도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참고문헌>
* 현대인의 식생활과 비만
- 효일 출판사, 송창근
* 비만 다스리기
- 서림 미디어, 김영호
* 비만과 운동
- 계명대학교 출판부, 김지진
* http://dir.naver.com/Lifestyle/Health/Weight_Issues/Obesity
* naver 검색: 대한 비만학회
추천자료
백세현 교수 강의를 통한 비만(Obesity)의 이해
비만에관하여
비만남성의 유산소 운동이 bmi, whi, 체지방률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비만원인조사와 해결을 위한 방법 중 식이요법의 비율조사 및 방향제시
운동과 비만
레포트_체육(비만측정법과판정기준)
[다이어트][음식조절 다이어트][생활조절 다이어트][체지방을 줄이는 20가지 방법]다이어트의...
비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살을 찌우는 원푸드 다이어트의 진실 - 물 다이어트와 녹차 다이어트
다이어트의 특징과 문제점 분석 및 효과적인 다이어트 방법 조사
D도시 간호학과 여대생들의 비만지수와 신체상에 관한 연구
[아동건강] 소아비만의 원인과 문제점 및 치료방법과 예방법
[다이어트] [다이어트의 문제점] [잘못된 다이어트] [다이어트의 종류]
다이어트 성공의 열쇠 6시그마 - 생활속의 식스시그마(6 Sigma), 성공적인 다이어트를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