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산업과 그의 역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은행산업
1. 은행이란?
2. 은행의 발달 우리나라의 은행
3. 은행의 역할 앞으로의 은행 은행의 발달

Ⅱ. 금융시장과 금융기관
1. 금융제도(financial system)란?
2. 금융시장(financial market)
3.금융거래가 금융중개기관을 통해 이루어지는 여부에 따른 구분 금융기관의 기능

Ⅲ. 최근 금융제도의 변화
1. 금리자유화
2.금융기관의 업무영역 확대
3.금융산업 구조조정

본문내용

금융중개기관이 예금증서나 수익증권과 같은 간접증권(indirect 또는 secondary security)을 발행하여 조달한 자금으로 자금의 최종수요자가 발행하는 직접증권을 매입하여 자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금융이 이루어짐
시장중개기관(market intermediary) : 간접증권을 발행하지 않고 직접증권의 매매를 알선하는 증권회사와 같은 기관
⇒ 직접금융시장이나 간접금융시장에서 금융거래를 성립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관을 모두 합해 금융기관(financial institution)이라고 부름
금융시장을 금융거래 당사자의 거주성(居住性) 및 거래발생 장소에 따라 국내금융시장과 국제금융시장으로, 금융상품의 표시통화에 따라 원화금융시장과 외화금융시장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금융기관의 기능
거래비용 절감 :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보다 적은 비용으로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해 줌
만기 및 금액 변환 : 다양한 만기와 금액의 자금을 모아 자금 수요자에게 필요한 자금을 일정기간 안정적으로 공급
⇒ 소액 단기자금을 모아 거액 장기자금을 공급하거나 거액 장기자금을 모아 소액 단기자금으로 공급
채무불이행위험 축소 : 다수의 자금 공급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이를 분산하여 공급하므로 채무불이행이 일어나더라도 그 손실을 다수의 자금 공급자들이 나누어서 부담하게 되어 개개인의 손실을 줄임
지급결제수단 제공 : 다양한 지급결제수단을 제공하여 금융기관과 고객간, 금융기관간, 고객과 고객간 대차관계를 금융거래에 의해 종결시킴으로써 경제활동을 촉진
Ⅲ. 최근 금융제도의 변화
1. 금리자유화 : 금융자유화의 핵심인 금리자유화는 1988년 12월부터 시작되었다.
<표 Ⅰ-1> 단계별 금리자유화 추진내용
단 계
여 신 금 리
수 신 금 리
채 권 금 리
제1단계
(1991.11)
단기여신금리
3년이상 장기수신금리,
단기거액 시장성 수신상품 금리(CD, RP 등)
2년 이상 회사채 금리
제2단계
(1993.11)
재정지원 및 한국은행
재할인대상 대출을 제외한 모든 여신금리
2년 이상 수신상품 금리
2년 미만 회사채, 금융채및 국공채 금리
제3단계
(1994.7~95.11)
한국은행 총액한도대출관련
자금의 여신금리
요구불예금 및 3개월 미만
저축성예금을 제외한 수신상품 금리
-
제4단계 일부
(1997. 7)
-
7일 이상 3개월 미만
저축성예금 금리
-
현행 규제대상
금리
재정지원 자금의 여신금리
요구불예금 및 7일 미만
저축성예금 금리
-
금융기관의 업무영역 확대
: 금융기관 업무영역에 대해서는 은행업증권업보험업을 3대 축으로 유지하면서 핵심업무 이외의 주변업무를 중심으로 직접 겸영의 폭을 점차 확대하였다.
금융산업 구조조정
: 금융산업 구조조정은 금융기관 부실이 표면화된 1997년부터 본격화되었다. 정부는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예금자보호법, 금융기관 부실자산 등의 효율적 처리 및 성업공사의 설립에 관한 법률을 제정 또는 개정하여 금융산업 구조조정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 출처 : 한국은행 ( www.bok.or.kr )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3.09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