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두 땀이 많으니 양성 학질은 인삼 백출 황기로써 수렴하고 음성 학질은 당귀 지황 지모 황백 작약으로써 수렴한다.
大抵 有汗이면 要止汗하야, 以補其虛요, 無汗이면 要發汗하야, 以散其邪요.
대개 땀이 있는 학질은 땀을 그치게 하여 허증을 보함이 중요하고, 땀이 없으면 발한하여 사기를 발산하게 해야 한다.
稍久者면, 一補一發也요.
조금 오래된 학질은 한번 보하고 한번 발한한다.
久虛면, 補中益氣湯에, 加山査, 麥芽하야, 扶脾면 自止하니, 極忌吐截니라.
오래된 허증 학질에는 보중익기탕에 산사 맥아를 가미하여 비장을 도와주면 스스로 멎으니 가장 토하게 하고 학질을 끊음을 금기한다.
利水消瘀 母이라.
학질에는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어혈을 소멸케 하고 학모를 맑게 한다.
凡이 經年不를, 謂之老이니, 必有痰水와 瘀血이, 結成塊하고, 藏於腹脅하야, 作脹且痛하리니, 乃母也라,
학질이 오랜해동안 낫지 않음을 일컬어 노학이라고 하니 반드시 담수와 어혈이 결성하여 속 답답한 덩어리를 생성하고 복부 옆구리에 숨어서 창만과 통증을 생성하니 이것이 학모이다.
雖內虛者라도, 非常山, 檳이면 決不能除니라,
비록 내부가 허약한 학질이라도 상상과 빈랑이 아니면 결단코 제거할 수 없다.
但須製熟, 則不損胃니, 老丸이 是也라.
다만 반드시 법제하여 익혀야 위를 손상하지 않으니 노학환이 이것이다.
血虛者면, 鱉甲丸이오.
혈허증 학질은 별갑환이다.
體盛하고, 有水癖者면, 暫用花丸하대, 仍須以補脾化痰의 湯藥으로 輔之요.
학질에 몸이 성대하고 수벽이 있으면 잠시 완화환을 사용하되 반드시 비를 보하고 담을 변화케 하는 탕약으로 보조한다.
老飮을, 宜量氣血虛實하야 加減이니라.
학질에 노학음을 의당 기혈 허실을 헤아려 가감한다.
有時後 痢相兼이니라,
때로 학질 뒤에 이질과 서로 겸하여 있다.
或後에 痢하고, 痢後에 이나, 或痢倂作하니, 俱以柴芩湯, 六和湯, 淸脾飮을 加減하야 分利하라.
혹은 학질 뒤에 이질이 있고, 이질 뒤에 학질이 있거나, 혹은 학질과 이질이 함께 생기니 모두 시령탕, 육화탕, 청비음으로써 가감하여 구분하여 이롭게 한다.
虛者면, 補脾 和血이니, 三白湯에 加黃連, 木香, 當歸, 砂仁이나, 或四獸飮, 補中益氣湯이니라.
허약자면 비를 보하고 혈을 조화롭게 하니 삼백탕에 황련 목향 당귀 사인을 가미하거나 혹은 사수음 보중익기탕이다.
總要祛邪 與扶正이라.
학질은 모두 사기를 제거하고 정기를 도움에 있다.
外感이면 汗, 吐, 下, 解, 祛邪로 爲主하고, 內傷이면 斂補養正으로 爲主하라,
외감학질이면 발한, 구토, 사하, 화해, 사기를 제거함을 위주로 하고 내상이면 수렴, 보하고 정기를 배양함을 위주로 한다.
內外相兼이면, 又當 參酌이니라.
내상 외감이 서로 겸한 학질이면 또한 참고해 짐작한다.
抑論하면 經에 曰:夏傷於暑면, 秋必發이라 하다.
다시 논의하면 경전에 여름에 서사에 손상하면 가을에 반드시 학질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又曰: 諸은 皆生於風이라 하다.
또한 말하길 모든 학질은 모두 풍사에서 발생한다고 했다.
≪局方≫은, 主於傷食하고, 丹溪는 主於痰하니라,
화제국방은 학질은 음식손상이 주되고, 주단계는 담이 주된다고 하였다.
其實은 因夏傷暑하고, 秋感風濕하고, 遇七情 飮食하야 鬱痰而後에 發이니라.
학질의 실제는 여름철의 더위 손상에 기인하고 가을철에 풍습에 감촉하며, 7감정과 음식을 만나서 울체한 담 발생 이후에 발생한다.
雖 三因이 雜至하야, 錯亂氣血이나, 然始於暑하야, 成於痰이라,
비록 학질의 3원인이 잡다하게 이르러 기혈을 착란케 하나, 서사에서 시작하고 담에서 생성한다.
故로 捷徑에 以祛暑, 消痰으로, 爲要라 하니라.
그래서 첩경에 학질은 서사를 제거하고 담을 소멸케 함이 중요하게 된다.
○通用엔 二陳湯이니, 外感無汗이면, 去茯하고, 加柴胡梢, 川芎, 葛根, 蒼朮이오,
학질 통치는 이진탕을 사용하니 외감에 땀이 없으면 복령을 제거하고 시호가지 천궁 갈근 창출을 가미한다.
太陽이면, 加羌活, 防風, 藁本하고, 陽明이면, 加葛根, 升麻, 白芷하고, 少陽이면, 加柴胡, 黃芩, 靑皮하고, 少陰이면, 加芎, 歸, 黃連, 黃柏하고, 太陰이면, 加二朮, 柴胡니라,
태양경 학질이면 강활, 방풍, 고본을 가미하고, 양명경학질은 갈근, 승마, 백지를 가미하고, 소양경 학질은 시호, 황금, 청피를 가미하고, 소음경학질은 천궁, 당귀, 황련, 황백을 가미하고, 태음경은 백출 창출 시호를 가미한다.
此三味는, 家必用이오,
이 3약미는 학질환자에 반드시 사용한다.
厥陰이면, 加桂枝, 姜[薑], 附니라,
궐음경학질은 계지 생강 부자를 가미한다.
渴加知母, 麥門冬하고, 大便閉면, 加大黃, 桃仁하고, 小便赤이면, 加澤瀉, 山梔하라,
학질에 갈증이 있으면 지모, 맥문동을 가미하고, 대변이 막히면 대황과 도인을 가미하고, 소변이 붉으면 택사 산치자를 가미한다.
이면, 加檳하고, 截이면, 加常山, 檳, 貝母니라.
장기학질이면 빈랑을 가미하고 학질을 끊으면 상산, 빈랑, 패모를 가미한다.
內傷無汗이면, 加柴胡, 川芎이오,
내상 땀이 없는 학질이면 시호 천궁을 가미한다.
氣虛면, 合四君子湯하고, 血虛면, 合四物湯하고, 汗多면, 加黃하라,
기허증 학질은 사군자탕을 합방하고 혈허 학질이면 사물탕을 합방하고 땀이 많으면 황기를 가미한다.
食少면, 加山査, 麥芽하고, 勞이면, 加地骨皮, 鱉甲하고, 七情이면, 加紫蘇, 香附하라,
음식을 적게 먹으면 산사 맥아를 가미하고, 노학이면 지골피 별갑을 가미하고, 7정학질은 자소엽 향부자를 가미한다.
痰加南星, 姜[薑]汁이오, 食積이면, 加莪朮하고, 久이면, 倍參, 朮하라,
담 학질은 남성 생강즙을 가미하고, 식적 학질은 아출을 가미하고, 오래된 학질은 인삼과 백출을 배로 한다.
寒甚이면, 加桂, 附, 草菓하고, 夜이면, 加升麻, 柴胡하야, 以提之요,
한기가 심한 학질이면 육계 부자 초과를 가미하고 야간 학질에는 승마 시호를 가미하여 승제한다.
停水면, 倍半夏하고, 瘀血이면, 加桃仁, 紅花니라.
수기가 정체한 학질은 반하를 배로 하고 어혈 학질은 도인 홍화를 가미한다.
○吐瀉, 不食, 腫脹者는, 不治니라.
구토 설사 음식을 먹지 못하고 종창하는 학질은 치료할 수 없다.
大抵 有汗이면 要止汗하야, 以補其虛요, 無汗이면 要發汗하야, 以散其邪요.
대개 땀이 있는 학질은 땀을 그치게 하여 허증을 보함이 중요하고, 땀이 없으면 발한하여 사기를 발산하게 해야 한다.
稍久者면, 一補一發也요.
조금 오래된 학질은 한번 보하고 한번 발한한다.
久虛면, 補中益氣湯에, 加山査, 麥芽하야, 扶脾면 自止하니, 極忌吐截니라.
오래된 허증 학질에는 보중익기탕에 산사 맥아를 가미하여 비장을 도와주면 스스로 멎으니 가장 토하게 하고 학질을 끊음을 금기한다.
利水消瘀 母이라.
학질에는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어혈을 소멸케 하고 학모를 맑게 한다.
凡이 經年不를, 謂之老이니, 必有痰水와 瘀血이, 結成塊하고, 藏於腹脅하야, 作脹且痛하리니, 乃母也라,
학질이 오랜해동안 낫지 않음을 일컬어 노학이라고 하니 반드시 담수와 어혈이 결성하여 속 답답한 덩어리를 생성하고 복부 옆구리에 숨어서 창만과 통증을 생성하니 이것이 학모이다.
雖內虛者라도, 非常山, 檳이면 決不能除니라,
비록 내부가 허약한 학질이라도 상상과 빈랑이 아니면 결단코 제거할 수 없다.
但須製熟, 則不損胃니, 老丸이 是也라.
다만 반드시 법제하여 익혀야 위를 손상하지 않으니 노학환이 이것이다.
血虛者면, 鱉甲丸이오.
혈허증 학질은 별갑환이다.
體盛하고, 有水癖者면, 暫用花丸하대, 仍須以補脾化痰의 湯藥으로 輔之요.
학질에 몸이 성대하고 수벽이 있으면 잠시 완화환을 사용하되 반드시 비를 보하고 담을 변화케 하는 탕약으로 보조한다.
老飮을, 宜量氣血虛實하야 加減이니라.
학질에 노학음을 의당 기혈 허실을 헤아려 가감한다.
有時後 痢相兼이니라,
때로 학질 뒤에 이질과 서로 겸하여 있다.
或後에 痢하고, 痢後에 이나, 或痢倂作하니, 俱以柴芩湯, 六和湯, 淸脾飮을 加減하야 分利하라.
혹은 학질 뒤에 이질이 있고, 이질 뒤에 학질이 있거나, 혹은 학질과 이질이 함께 생기니 모두 시령탕, 육화탕, 청비음으로써 가감하여 구분하여 이롭게 한다.
虛者면, 補脾 和血이니, 三白湯에 加黃連, 木香, 當歸, 砂仁이나, 或四獸飮, 補中益氣湯이니라.
허약자면 비를 보하고 혈을 조화롭게 하니 삼백탕에 황련 목향 당귀 사인을 가미하거나 혹은 사수음 보중익기탕이다.
總要祛邪 與扶正이라.
학질은 모두 사기를 제거하고 정기를 도움에 있다.
外感이면 汗, 吐, 下, 解, 祛邪로 爲主하고, 內傷이면 斂補養正으로 爲主하라,
외감학질이면 발한, 구토, 사하, 화해, 사기를 제거함을 위주로 하고 내상이면 수렴, 보하고 정기를 배양함을 위주로 한다.
內外相兼이면, 又當 參酌이니라.
내상 외감이 서로 겸한 학질이면 또한 참고해 짐작한다.
抑論하면 經에 曰:夏傷於暑면, 秋必發이라 하다.
다시 논의하면 경전에 여름에 서사에 손상하면 가을에 반드시 학질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又曰: 諸은 皆生於風이라 하다.
또한 말하길 모든 학질은 모두 풍사에서 발생한다고 했다.
≪局方≫은, 主於傷食하고, 丹溪는 主於痰하니라,
화제국방은 학질은 음식손상이 주되고, 주단계는 담이 주된다고 하였다.
其實은 因夏傷暑하고, 秋感風濕하고, 遇七情 飮食하야 鬱痰而後에 發이니라.
학질의 실제는 여름철의 더위 손상에 기인하고 가을철에 풍습에 감촉하며, 7감정과 음식을 만나서 울체한 담 발생 이후에 발생한다.
雖 三因이 雜至하야, 錯亂氣血이나, 然始於暑하야, 成於痰이라,
비록 학질의 3원인이 잡다하게 이르러 기혈을 착란케 하나, 서사에서 시작하고 담에서 생성한다.
故로 捷徑에 以祛暑, 消痰으로, 爲要라 하니라.
그래서 첩경에 학질은 서사를 제거하고 담을 소멸케 함이 중요하게 된다.
○通用엔 二陳湯이니, 外感無汗이면, 去茯하고, 加柴胡梢, 川芎, 葛根, 蒼朮이오,
학질 통치는 이진탕을 사용하니 외감에 땀이 없으면 복령을 제거하고 시호가지 천궁 갈근 창출을 가미한다.
太陽이면, 加羌活, 防風, 藁本하고, 陽明이면, 加葛根, 升麻, 白芷하고, 少陽이면, 加柴胡, 黃芩, 靑皮하고, 少陰이면, 加芎, 歸, 黃連, 黃柏하고, 太陰이면, 加二朮, 柴胡니라,
태양경 학질이면 강활, 방풍, 고본을 가미하고, 양명경학질은 갈근, 승마, 백지를 가미하고, 소양경 학질은 시호, 황금, 청피를 가미하고, 소음경학질은 천궁, 당귀, 황련, 황백을 가미하고, 태음경은 백출 창출 시호를 가미한다.
此三味는, 家必用이오,
이 3약미는 학질환자에 반드시 사용한다.
厥陰이면, 加桂枝, 姜[薑], 附니라,
궐음경학질은 계지 생강 부자를 가미한다.
渴加知母, 麥門冬하고, 大便閉면, 加大黃, 桃仁하고, 小便赤이면, 加澤瀉, 山梔하라,
학질에 갈증이 있으면 지모, 맥문동을 가미하고, 대변이 막히면 대황과 도인을 가미하고, 소변이 붉으면 택사 산치자를 가미한다.
이면, 加檳하고, 截이면, 加常山, 檳, 貝母니라.
장기학질이면 빈랑을 가미하고 학질을 끊으면 상산, 빈랑, 패모를 가미한다.
內傷無汗이면, 加柴胡, 川芎이오,
내상 땀이 없는 학질이면 시호 천궁을 가미한다.
氣虛면, 合四君子湯하고, 血虛면, 合四物湯하고, 汗多면, 加黃하라,
기허증 학질은 사군자탕을 합방하고 혈허 학질이면 사물탕을 합방하고 땀이 많으면 황기를 가미한다.
食少면, 加山査, 麥芽하고, 勞이면, 加地骨皮, 鱉甲하고, 七情이면, 加紫蘇, 香附하라,
음식을 적게 먹으면 산사 맥아를 가미하고, 노학이면 지골피 별갑을 가미하고, 7정학질은 자소엽 향부자를 가미한다.
痰加南星, 姜[薑]汁이오, 食積이면, 加莪朮하고, 久이면, 倍參, 朮하라,
담 학질은 남성 생강즙을 가미하고, 식적 학질은 아출을 가미하고, 오래된 학질은 인삼과 백출을 배로 한다.
寒甚이면, 加桂, 附, 草菓하고, 夜이면, 加升麻, 柴胡하야, 以提之요,
한기가 심한 학질이면 육계 부자 초과를 가미하고 야간 학질에는 승마 시호를 가미하여 승제한다.
停水면, 倍半夏하고, 瘀血이면, 加桃仁, 紅花니라.
수기가 정체한 학질은 반하를 배로 하고 어혈 학질은 도인 홍화를 가미한다.
○吐瀉, 不食, 腫脹者는, 不治니라.
구토 설사 음식을 먹지 못하고 종창하는 학질은 치료할 수 없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