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I. 본론
1. 건강사정
-정의
-구성요소
-목적
2. 신체검진에서 사용되는 방법(시진,촉진,타진,청진)
3. 머리와 목의 해부학적 위치
4. 머리와 목의 사정순서
5. 머리와 목의 검진방법
1. 건강사정
-정의
-구성요소
-목적
2. 신체검진에서 사용되는 방법(시진,촉진,타진,청진)
3. 머리와 목의 해부학적 위치
4. 머리와 목의 사정순서
5. 머리와 목의 검진방법
본문내용
전두동과 상악동.
급성 부비동염 시 압통
(5) 구강과 인두
검진방법
비정상의 예
① 구강의 시진과 촉진
입술 : 색깔, 습기, 덩어리, 궤양, 균열
구강점막 : 색깔, 착색, 궤양, 결절
- 대상자에게 입을 벌리도록 하고, 빛을 비추고 압설자를 사용함.
치육과 치아 : 치육의 염증, 종창, 출혈, 퇴축, 변색, 흔들리는 치 아, 충치
입천장 : 경구개의 색깔, 구조
혀 : 색깔, 유두, 크기, 하얗게 된 부분, 결절 ,궤양, 경결
창백, 청색증의 비정상 색깔
② 인두
구개수, 편도선, 후인두의 색깔, 대칭, 삼 출, 부종, 궤양, 편도선이 커져 있나 보고 경결, 통증이 의심되면 그 부분을 만져봄.
편도선은 감염이 없이 커져 있음. 편도선의 크기 자체가 병의 표시가 되는 것은 아님.
(6) 목
검진방법
비정상의 예
① 시진 : 목의 양쪽의 대칭, 혹, 반흔
목의 통증과 경직은 외상, 경부고나절염과 골다골증을 포함하는 많은 병변으로부터 나타남.
목덜미의 경직은 뇌막염의 특징적 증상.
② 촉진 : 림프절의 크기, 모양, 둘레, 이동성, 경도, 압통
둘째와 가운데 손가락을 가지고 각 부위에 있는 림프절 위 피부를 따라서 촉진.
다음 순서대로 림프절을 만짐.
- 전이개,후이개,후두,편두선,하악,아하,경부 표면,후경쇄,심부경쇄,쇄골상림프절
압통이 있는 림프절은 염증, 단단하고 고정된 임파절은 악성.
좌측 쇄골상 림프절 비대는 복부나 흉부암이 전이된 악성 암일 가능성이 있음.
(7) 기관과 갑상선
검진방법
비정상의 예
① 기관이 편위되었는지 시진과 촉진.
흉골절흔 부위 내에 있는 기관 위에 손 가락을 놓음.
손가락을 양쪽으로 미끄러뜨려서 중앙선 으로부터 편위 되었는지 알아봄.
목, 종격동 내에 혹이 있거나 늑막과 폐 에 이상이 있을 시 기관이 편위됨.
② 갑상선
시진 : 갑상선의 크기, 모양, 대칭, 결절
- 대상자에게 목을 가볍게 펴고 삼켜 보라고 함. 삼킬 때 갑상선이 대칭 으로 놓여져 있는지, 윤곽을 살핌.
=> 후두, 기관, 갑상선은 삼킬 때 부풀어 오르고 림프절과 다른 구조들은 부풀어 오르지 않음.
촉진 : 갑상선의 크기, 모양 , 대칭, 압통,
* 결절 앞에서 촉진하기
- 대상자의 앞에서 검진자의 둘째, 셋 째 손가락으로 대상자가 삼키는 동 안 갑상선 협부를 촉진.
- 갑상선 우측엽을 촉진하기 위해 대 상자의 목을 약간 앞쪽, 오른쪽으로 구부리게 함.
- 검진자의 오른손을 갑상선의 상부에 놓고, 엄지 손가락으로 천천히 대상 자의 오른쪽으로 밀어줌.
- 흉쇄유돌근 뒤쪽에 갈고리 모양으로 들어간 검진자의 왼족 손가락으로 갑 상선의 우측엽을 촉진.
- 다른쪽에 그 과정을 거꾸로 해봄.
* 뒤에서 촉진하기
- 대상자의 뒤에서 검진자의 둘째, 셋째 손 가락으로 협부를 만져봄.
- 대상자에게 목을 앞쪽, 오른쪽으로 구부 리게 함.
- 검지자의 왼쪽 손가락들로 갑상연골을 오 른쪽으로 밂.
- 오른쪽 엄지손가락은 흉쇄유돌근 뒤쪽 깊 숙히 놓고, 둘째와 셋째 손가락은 흉쇄 유돌근 앞에 놓아 우측엽을 촉진.
=> 정상적인 측엽들도 때때로 촉진되 긴 하지만 흔히 촉진되지 않음.
- 다른쪽에 그 과정을 거꾸로 해 봄.
=> 마른 사람의 협부는 대개 만져짐.
갑상선 조직은 무엇인가 삼킬 때 부풀어 오름.
후두,기관, 갑상선은 삼킬 때 부풀어 오르고 임파절과 같은 다른 구조들은 부풀어 오르지 않음.
※ 참 고 문 헌 ※
김명자 외 (2001) 최신 기본간호학上. 현문사
손영희 외 (2003) 기본간호학上. 현문사
최연순 외(1999) 개정증보 신체검진. 수문사
김영경 외(1998) 건강사정. 현문사
손영희 외(2000) 기본간호수기. 현문사
급성 부비동염 시 압통
(5) 구강과 인두
검진방법
비정상의 예
① 구강의 시진과 촉진
입술 : 색깔, 습기, 덩어리, 궤양, 균열
구강점막 : 색깔, 착색, 궤양, 결절
- 대상자에게 입을 벌리도록 하고, 빛을 비추고 압설자를 사용함.
치육과 치아 : 치육의 염증, 종창, 출혈, 퇴축, 변색, 흔들리는 치 아, 충치
입천장 : 경구개의 색깔, 구조
혀 : 색깔, 유두, 크기, 하얗게 된 부분, 결절 ,궤양, 경결
창백, 청색증의 비정상 색깔
② 인두
구개수, 편도선, 후인두의 색깔, 대칭, 삼 출, 부종, 궤양, 편도선이 커져 있나 보고 경결, 통증이 의심되면 그 부분을 만져봄.
편도선은 감염이 없이 커져 있음. 편도선의 크기 자체가 병의 표시가 되는 것은 아님.
(6) 목
검진방법
비정상의 예
① 시진 : 목의 양쪽의 대칭, 혹, 반흔
목의 통증과 경직은 외상, 경부고나절염과 골다골증을 포함하는 많은 병변으로부터 나타남.
목덜미의 경직은 뇌막염의 특징적 증상.
② 촉진 : 림프절의 크기, 모양, 둘레, 이동성, 경도, 압통
둘째와 가운데 손가락을 가지고 각 부위에 있는 림프절 위 피부를 따라서 촉진.
다음 순서대로 림프절을 만짐.
- 전이개,후이개,후두,편두선,하악,아하,경부 표면,후경쇄,심부경쇄,쇄골상림프절
압통이 있는 림프절은 염증, 단단하고 고정된 임파절은 악성.
좌측 쇄골상 림프절 비대는 복부나 흉부암이 전이된 악성 암일 가능성이 있음.
(7) 기관과 갑상선
검진방법
비정상의 예
① 기관이 편위되었는지 시진과 촉진.
흉골절흔 부위 내에 있는 기관 위에 손 가락을 놓음.
손가락을 양쪽으로 미끄러뜨려서 중앙선 으로부터 편위 되었는지 알아봄.
목, 종격동 내에 혹이 있거나 늑막과 폐 에 이상이 있을 시 기관이 편위됨.
② 갑상선
시진 : 갑상선의 크기, 모양, 대칭, 결절
- 대상자에게 목을 가볍게 펴고 삼켜 보라고 함. 삼킬 때 갑상선이 대칭 으로 놓여져 있는지, 윤곽을 살핌.
=> 후두, 기관, 갑상선은 삼킬 때 부풀어 오르고 림프절과 다른 구조들은 부풀어 오르지 않음.
촉진 : 갑상선의 크기, 모양 , 대칭, 압통,
* 결절 앞에서 촉진하기
- 대상자의 앞에서 검진자의 둘째, 셋 째 손가락으로 대상자가 삼키는 동 안 갑상선 협부를 촉진.
- 갑상선 우측엽을 촉진하기 위해 대 상자의 목을 약간 앞쪽, 오른쪽으로 구부리게 함.
- 검진자의 오른손을 갑상선의 상부에 놓고, 엄지 손가락으로 천천히 대상 자의 오른쪽으로 밀어줌.
- 흉쇄유돌근 뒤쪽에 갈고리 모양으로 들어간 검진자의 왼족 손가락으로 갑 상선의 우측엽을 촉진.
- 다른쪽에 그 과정을 거꾸로 해봄.
* 뒤에서 촉진하기
- 대상자의 뒤에서 검진자의 둘째, 셋째 손 가락으로 협부를 만져봄.
- 대상자에게 목을 앞쪽, 오른쪽으로 구부 리게 함.
- 검지자의 왼쪽 손가락들로 갑상연골을 오 른쪽으로 밂.
- 오른쪽 엄지손가락은 흉쇄유돌근 뒤쪽 깊 숙히 놓고, 둘째와 셋째 손가락은 흉쇄 유돌근 앞에 놓아 우측엽을 촉진.
=> 정상적인 측엽들도 때때로 촉진되 긴 하지만 흔히 촉진되지 않음.
- 다른쪽에 그 과정을 거꾸로 해 봄.
=> 마른 사람의 협부는 대개 만져짐.
갑상선 조직은 무엇인가 삼킬 때 부풀어 오름.
후두,기관, 갑상선은 삼킬 때 부풀어 오르고 임파절과 같은 다른 구조들은 부풀어 오르지 않음.
※ 참 고 문 헌 ※
김명자 외 (2001) 최신 기본간호학上. 현문사
손영희 외 (2003) 기본간호학上. 현문사
최연순 외(1999) 개정증보 신체검진. 수문사
김영경 외(1998) 건강사정. 현문사
손영희 외(2000) 기본간호수기.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