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경비구역 JSA -반영론적 관점에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동경비구역 JSA -반영론적 관점에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반영론적 관점
2. 「공동경비 구역JSA」의 현실반영
3. 한국의 통일 정책 변천사
4. 북한에 대한 인식 변화

Ⅲ. 결 론

본문내용

들이 보이면서 사람들의 의식에는 큰 변화가 나타났던 것이다. 남한과 북한의 이질화를 우려해 왔던 목소리보다 민족의 동질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더욱 크게 들리게 되었고, 북한을 평화 위협적인 존재로만 보던 많은 사람들 가운데 전쟁위협이 크게 줄었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늘게 되었다. 통일은 원하거나 불가능하다는 남북관계에 대한 비관적 전망 대신에 평화 정착과 통일을 향한 점진적 변화를 기대하는 낙관적 전망이 늘어났다. 이러한 급속한 변화를 반공 이데올로기의 쇠퇴라는 측면에서 반기는 사람들이 많다.
1) 북한에 대한 인식의 변화 (여론조사)
2000년 6월에 실시된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 국민들은 회담 이후 자신들의 대북관에 변화가 나타났고 특히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한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고 대답하였다.〈조선일보〉(한국갤럽)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한 사람들의 88.1%가 “북한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한 시각이 과거에 비해 좋아졌다”고 했다.〈대한매일신문〉의 7월 조사에서는 “회담 이후 북한의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78.1%로 나타나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도 76.2%로 높게 나타난다.
2) 정상회담 이후 남북관계의 진전
북한 사회에 대해서는 북한 주민과 집권층을 분리시켜 사고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으며, 북한 사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증가는 주로 회담 이후 북한이 변화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북한을 동반자로서 보는 경향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동반자로서 북한에 대한 신뢰도는 정상 회담 이후로 계속 감소하고 있다. 통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열망은 정상회담을 계기로 국민들 사이에서 높아졌다.
3) 이데올로기의 허상
영화의 소재는 지극히 무겁고 경직된 것이었다. 아무리 남북이 화해무드를 타고 있다고 해도, 아직은 쉽게 접근하기 힘든 부분임에 틀림없다. 단적인 예로 이 영화에 대한 군 당국의 시선이 그리 곱지 않다고 한다. 가까이하기엔 너무 먼 남과 북……. 그것을 표현하기에 공동경비구역은 정말 좋은 소재였다. 이데올로기라는 허상의 선을 그어놓고 남과 북은 마주 서 있다. 그 선에는 전기감지기나 철조망이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그 선 앞에서는 어느 누구도 조심스러워지지 않을 수 없다. 내국인이든 외국인이든…….누구든 그 선을 무시할 수 없다. 그 선은 비록 보잘 것 없이 그어져 있지만 그 선이 가지는 의미인 이데올로기의 벽은 너무나 높기 때문이다. “휴전선은 넘어도 이데올로기는 넘기 힘들다”는 말이 생각난다. 남과 북의 병사들이 보이는 선은 넘어 서로에게 친밀감을 느끼고 형제애를 느꼈지만, 결국 그들은 어쩔 수 없이 상대를 의심하기도 하면서 마지막엔 서로에게 총구를 겨누게 된다. 그것은 서로 대립되는 이데올로기의 한계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그런 한계점에서 서로를 감싸 안는 남과 북의 병사들은 이데올로기는 결국 허상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Ⅲ. 결 론
이런 현실을 반영한 영화의 의의는, 이 땅의 대중들이 갖고 있는 집단적 욕망과 무의식을 잘 드러내주었다는 점에 있다. 게다가 이 영화가 개봉하던 당시의 분위기는 주인공들과 같은 세대의 젊은 층들이 갖고 있는 북한에 대한 느낌과 반공에 대한 생각이 강하였다. 그것이 환상이든 오해든 이 영화는 대중들을 사로잡고 있었던 반공에 대한 생각의 공포를 선명하게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대중에게 호소력을 가져다주었고, 그러한 점이 이 영화를 성공으로 이끌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공동경비구역 JSA」은 남북분단 현실을 밀접하게 반영하고, 북한을 같은 핏줄이라는 형제애를 우리들에게 일깨워준 영화라 할 수 있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3.21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