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 이러한 연출을 한 연출가의 의도는 무엇이었을까? 이 연극에서는 나를 비롯하여 보통 사람들에게 ‘그리스 식’으로 박혀진 고정 관념적인 시대도 공간이라는 좌표가 필요하지 않다. 이를 통해 연출가는 그리스 적 외적요소가 관객에게 씌우는 ‘고정관념’이라는 부담을 벗겨주고 대신에 동시대적이고 동문화권적인 체험을 통한 동질감의 효과를 안겨 주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우리가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서양 연극에 대한 거리감과 열등의식이 가져오는 상실감을 한국적이고 동양적인 요소의 접목을 통해 상쇄시키려는 시도로써 보여진다. 그러나 동양과 서양의 접목이라는 시도는 이러한 단순한 의도에만 그치지 않는다. 이는 다음에 언급하는 내용을 통해 좀더 구체화되고 그 효과가 명확히 드러난다.
이 극의 전반적인 진행 상황에 있어서는 그리스 적인 요소에서 탈피하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구체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극의 내용에 우리 나라 혹은 동양의 전통적인 굿 형식을 접목시킨 모습이 보인다. 이 과정에서 텍스트를 독서하면서 상상해낸 연극의 모습과는 전혀 색다른, 한판의 굿이 연극 속에서 재현되는 것 같았다. 내가 여기서 이 연극을 ‘굿’거리로 판단할 수 있었던 근거는, 동양적인 무대 요소들과 더불어서 이러한 굿거리를 창출해 내기 위해 연출가 창조한 코러스가 연극을 이끄는 방식과 배우들의 몸짓, 무대 장치와 음악이 어우러진 시청각적 효과 등에 기인한다. 이러한 요소들이 종합되어 이 연극은 단순한 희랍적 비극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동양적 굿풀이로 재해석되어 재창조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연극은 시작부터 하나의 굿거리의 시작이었다. 코러스들이 굿의 시작을 알리는 종을 치고 노래를 부르면서 관객들 사이에서 등장한다. 그리고 연극의 시작부터 행위예술로 착각할 정도로 다양한 안무를 사용하여 코러스들이 굿거리를 진행한다. 그리고 아폴론 신께 제물을 바치는 의식을 펼치는 상황에서는 마치 제의의식을 펼치듯이 횃불에 초를 키고 이오네스크가 무당처럼 꽃을 들고 춤을 추어 신의 구원을 얻으려는 시도를 한다. 그리고 마침내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고 운명의 족쇄에 매이는 순간, 굿거리는 공포스럽고 빠르며 긴박한 음악, 그리고 어두운 조명 아래서 모든 등장인물과 코러스들이 절규하며 흐느끼는 상황으로 치닫는다. 그리고 마침내 목자가 오이디푸스의 출생의 비밀을 박히는 순간에는, 무대 위에 제의의식에 쓰이는 큰 대야 속의 물을 뿌림으로써 악귀를
이 극의 전반적인 진행 상황에 있어서는 그리스 적인 요소에서 탈피하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구체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극의 내용에 우리 나라 혹은 동양의 전통적인 굿 형식을 접목시킨 모습이 보인다. 이 과정에서 텍스트를 독서하면서 상상해낸 연극의 모습과는 전혀 색다른, 한판의 굿이 연극 속에서 재현되는 것 같았다. 내가 여기서 이 연극을 ‘굿’거리로 판단할 수 있었던 근거는, 동양적인 무대 요소들과 더불어서 이러한 굿거리를 창출해 내기 위해 연출가 창조한 코러스가 연극을 이끄는 방식과 배우들의 몸짓, 무대 장치와 음악이 어우러진 시청각적 효과 등에 기인한다. 이러한 요소들이 종합되어 이 연극은 단순한 희랍적 비극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동양적 굿풀이로 재해석되어 재창조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연극은 시작부터 하나의 굿거리의 시작이었다. 코러스들이 굿의 시작을 알리는 종을 치고 노래를 부르면서 관객들 사이에서 등장한다. 그리고 연극의 시작부터 행위예술로 착각할 정도로 다양한 안무를 사용하여 코러스들이 굿거리를 진행한다. 그리고 아폴론 신께 제물을 바치는 의식을 펼치는 상황에서는 마치 제의의식을 펼치듯이 횃불에 초를 키고 이오네스크가 무당처럼 꽃을 들고 춤을 추어 신의 구원을 얻으려는 시도를 한다. 그리고 마침내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고 운명의 족쇄에 매이는 순간, 굿거리는 공포스럽고 빠르며 긴박한 음악, 그리고 어두운 조명 아래서 모든 등장인물과 코러스들이 절규하며 흐느끼는 상황으로 치닫는다. 그리고 마침내 목자가 오이디푸스의 출생의 비밀을 박히는 순간에는, 무대 위에 제의의식에 쓰이는 큰 대야 속의 물을 뿌림으로써 악귀를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 미국 희극] Sarita의 거울 - 작품분석 감상문
연극 ‘관객모독’을 보고
사실주의연극, 유치진의 희곡 소 분석
이윤택의 연극 '오구' 분석
[연극][연극의 기원][연극의 특징][18세기의 연극][19세기의 연극][희곡][희극]연극의 기원과...
[스타니슬라브스키][연극][신체연기론]연극의 정의 고찰과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생애, 스타니...
연극에서 극중극의 구조와 역할
이윤택 오구, 죽음의 형식 연극 분석
연극의요소에관해서
[연출가][연출][연출가 의의][연출가 의무][연출가 고용현황][연출가 과제][연출가 조건][연...
극장주의 이론 대표연출가들
영화 '트로이' 작품 감상문
서양 미술사 - 표현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