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극의 기원
Ⅱ. 연극의 특징
Ⅲ. 18세기의 연극
1. 정부와 극장
2. 영국의 극장 법규
3. 프랑스의 극장 법규
4. 독일의 정부와 극장
5. 유럽의 극장들
6. 미국의 극장들
Ⅳ. 19세기의 연극
참고문헌
Ⅱ. 연극의 특징
Ⅲ. 18세기의 연극
1. 정부와 극장
2. 영국의 극장 법규
3. 프랑스의 극장 법규
4. 독일의 정부와 극장
5. 유럽의 극장들
6. 미국의 극장들
Ⅳ. 19세기의 연극
참고문헌
본문내용
766년-1839년)이 그의 뒤를 이었다. 그리고 1789년에는 존 스트리트 극장을 대신하는 파크 극장이 문을 열었다.
Ⅳ. 19세기의 연극
1853년 7월 18일, 우리가 있는 이 곳 뉴욕 국립 극장에서는 관객들이 해리엣 비쳐 스토우(Harriet Beecher Stowe)의 작품인 『톰 아저씨의 오두막』(Uncle Tom\'s Cabin)을 새롭게 연극으로 각색한 무대 공연을 열렬하게 기다리고 있었다. 인기 소설을 채택하여 연극으로 각색하는 일은 19세기 중반에 유행한 방식 중 하나였는데 스토우가 쓴 노예 폐지론(반노예주의) 소설은 그 당시 일대 파란을 불러일으켰던 베스트셀러였다. 그 당시에 인기가 높았던 수 많은 멜로드라마들과 마찬가지로, 『톰 아저씨의 오두막』도 중요한 사회적 이슈를 반영한 작품으로, 노예 감독자인 사이먼 리그리(Simon Legree)에게 잔혹한 학대를 당한 한 노예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이다. 엉클 톰은 백인 주인의 딸인 어린 에바(Little Eva)에게 헌신을 다 했으나 그녀는 이야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죽고 만다. 이 작품의 또 다른 주요 인물인 엘리자(Eliza)는 노예 신분으로부터의 탈출을 시도했던 흑백 혼열아(mulatto)이다. 이 소설을 연극으로 각색하려는 시도는 두 번이나 있었으나 모두 실패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올바니(Albany)와 트로이(Troy), 뉴욕 주 내의 두 도시에서 공연 허가를 받는 등 성공의 조짐이 보인다.
이 작품이 대중적 관행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측면은 극단의 경영주인 조지 하워드(George C. Howard)가 극작가 에이킨(L. Aiken)에게 특별하게 한 연기자어린 에바 역을 맡은 하워드의 딸, 코델리아(Cordelia)를 위해 소설의 각색을 맡겼다는 사실이다. 지금 우리가 자리잡고 앉은 이 극장은 벽면의 갤러리나 박스석 뿐 아니라 바닥에까지 벤치가 놓여있는 전통적인 1800년대의 극장이다. 무대 배경은 무대 바닥과 윗쪽에 파진 홈을 이용해 배경 장면이 그려진 배경장치들을 바꿈으로써 전환된다. 삽화적 구성을 취하고 있는『톰 아저씨의 오두막』의 경우에도 장면은 자주 전환된다.
막이 오르면 관객들은 이내 일련의 스펙터클과 서스펜스가 넘치는 장면들에 매혹되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노예인 에바가 뒤쫓아 오는 사람들의 손에서 벗어나기 위해 얼어붙은 오하이오 강 위를 건너 도망치는 장면이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더욱이 이극은 천사같은 에바가 죽는 모습과 톰 아저씨가 악마같은 사이먼 리그리의 손에 의해 처형되는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관객들의 감정에 호소한다. 흑인 등장인물들의 역할은 백인 배우들이 맡아 연기하는데 그 인물들은 정형화된 모습으로 진부하게 묘사된다.
물론 지금의 공연이 초연인 관계로 관객들은 에이킨이 각색한 『톰 아저씨의 오두막』이 놀랄만한 기록을 세우리라는 사실을 알 수가 없다. 이 작품은 국립 극장에서 300회나 공연되는데 더러 하루에 세 번씩 공연되기도 할 것이다. 1879년에는 49개에 달하는 극단들이 이 작품으로 순회 공연을 다니게 되며, 1899년이 되면 이런 극단의 수는 500개로 늘어날 것이다. 사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불경기가 닥쳐 공연의 수익성이 감소하게 되는 1930년대까지 꾸준히 인기를 누리게 되는 작품으로 기록된다.
참고문헌
고승길, 현대연극이론, 대광문학사, 1988
에드윈 윌슨, 김동욱 역, 세계 연극사, 한신문화사, 2000
오스카 브로케트 저, 연극개론, 한신문화사
장한기, 새로 쓴 세계연극사
허영, 연극론, 서울: 한신문화사, 1990
Milly S.Barranger, 우수진 역, 서양연극사 이야기, 평민사, 2001
Ⅳ. 19세기의 연극
1853년 7월 18일, 우리가 있는 이 곳 뉴욕 국립 극장에서는 관객들이 해리엣 비쳐 스토우(Harriet Beecher Stowe)의 작품인 『톰 아저씨의 오두막』(Uncle Tom\'s Cabin)을 새롭게 연극으로 각색한 무대 공연을 열렬하게 기다리고 있었다. 인기 소설을 채택하여 연극으로 각색하는 일은 19세기 중반에 유행한 방식 중 하나였는데 스토우가 쓴 노예 폐지론(반노예주의) 소설은 그 당시 일대 파란을 불러일으켰던 베스트셀러였다. 그 당시에 인기가 높았던 수 많은 멜로드라마들과 마찬가지로, 『톰 아저씨의 오두막』도 중요한 사회적 이슈를 반영한 작품으로, 노예 감독자인 사이먼 리그리(Simon Legree)에게 잔혹한 학대를 당한 한 노예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이다. 엉클 톰은 백인 주인의 딸인 어린 에바(Little Eva)에게 헌신을 다 했으나 그녀는 이야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죽고 만다. 이 작품의 또 다른 주요 인물인 엘리자(Eliza)는 노예 신분으로부터의 탈출을 시도했던 흑백 혼열아(mulatto)이다. 이 소설을 연극으로 각색하려는 시도는 두 번이나 있었으나 모두 실패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올바니(Albany)와 트로이(Troy), 뉴욕 주 내의 두 도시에서 공연 허가를 받는 등 성공의 조짐이 보인다.
이 작품이 대중적 관행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측면은 극단의 경영주인 조지 하워드(George C. Howard)가 극작가 에이킨(L. Aiken)에게 특별하게 한 연기자어린 에바 역을 맡은 하워드의 딸, 코델리아(Cordelia)를 위해 소설의 각색을 맡겼다는 사실이다. 지금 우리가 자리잡고 앉은 이 극장은 벽면의 갤러리나 박스석 뿐 아니라 바닥에까지 벤치가 놓여있는 전통적인 1800년대의 극장이다. 무대 배경은 무대 바닥과 윗쪽에 파진 홈을 이용해 배경 장면이 그려진 배경장치들을 바꿈으로써 전환된다. 삽화적 구성을 취하고 있는『톰 아저씨의 오두막』의 경우에도 장면은 자주 전환된다.
막이 오르면 관객들은 이내 일련의 스펙터클과 서스펜스가 넘치는 장면들에 매혹되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노예인 에바가 뒤쫓아 오는 사람들의 손에서 벗어나기 위해 얼어붙은 오하이오 강 위를 건너 도망치는 장면이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더욱이 이극은 천사같은 에바가 죽는 모습과 톰 아저씨가 악마같은 사이먼 리그리의 손에 의해 처형되는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관객들의 감정에 호소한다. 흑인 등장인물들의 역할은 백인 배우들이 맡아 연기하는데 그 인물들은 정형화된 모습으로 진부하게 묘사된다.
물론 지금의 공연이 초연인 관계로 관객들은 에이킨이 각색한 『톰 아저씨의 오두막』이 놀랄만한 기록을 세우리라는 사실을 알 수가 없다. 이 작품은 국립 극장에서 300회나 공연되는데 더러 하루에 세 번씩 공연되기도 할 것이다. 1879년에는 49개에 달하는 극단들이 이 작품으로 순회 공연을 다니게 되며, 1899년이 되면 이런 극단의 수는 500개로 늘어날 것이다. 사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불경기가 닥쳐 공연의 수익성이 감소하게 되는 1930년대까지 꾸준히 인기를 누리게 되는 작품으로 기록된다.
참고문헌
고승길, 현대연극이론, 대광문학사, 1988
에드윈 윌슨, 김동욱 역, 세계 연극사, 한신문화사, 2000
오스카 브로케트 저, 연극개론, 한신문화사
장한기, 새로 쓴 세계연극사
허영, 연극론, 서울: 한신문화사, 1990
Milly S.Barranger, 우수진 역, 서양연극사 이야기, 평민사, 2001
추천자료
1960년대 차범석 희곡 연구
[현대희곡개론]The Glass Menagerie에 나타나는 인간에 대한 희망
[현대희곡개론] The Seagull에 나타난 삶과 예술
[희곡론]오태석의 자전거 - 거꾸로 흐른 시간, 진실을 찾아서
[희곡론] 이강백의 "통 뛰어넘기" - 행동 없는 생각 깨부수기
[희곡론 작품분석 감상] 그것은 목탁 구멍 속의 작은 어둠이었습니다
[영미희곡 페이퍼] Artist Descending a Staircase 에 나타난 전위 사조의 평가에 대한 고찰
[영미희곡] The Power of Darkness - 어둠의 세력에서 빛으로의 탈출
유치진 <소> 희곡분석자료
2009년 2학기 한국희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9년 2학기 한국희곡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동승에 나타난 희곡의 갈등구조
동승속에 나타난 희곡의 갈등구조
함세덕의 동승 희곡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