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 대 한국관계-경제. 문화협력의 강화
3. 결론
2. 본론 : 대 한국관계-경제. 문화협력의 강화
3. 결론
본문내용
정 만이 아니라 향후 상호인증협정, 통화협력, 기술교류 등 다양한 협력방법이 논의되어 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월드컵의 공동개최를 계기로 하여 한일간에는 다양한 문화적 교류채널을 가동시킬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하면 현재 한일간에는 경제적 문화적 교류의 확대라는 지금의 기조는 더욱 탄력을 받아가면서 협력의 강화가 추진되어 갈 것으로 예상된다.
북일관계에 있어서 최대 이슈는 역시 북일수교와 관련된 것이다. 북일간 경제협력이 거의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지금의 상황에서 일본의 안전보장 상의 이유 때문에 북한을 어떻게 자신의 구미에 맞는 형태로 연착륙 시키는가가 최대의 관건이 된다. 현재 북일수교를 위해서는 일본의 경제적 보상의 방법과 액수조정, 일본인 납치문제 및 미사일 문제의 해결 등 해결해야할 난제가 많으나, 적어도 난제들이 현재 일본을 둘러싼 국내, 국제 정치적 상황 속에서는 급속히 해결될 가능성이 적어 보인다. 북한이 개방개혁에 연착륙에 실패하여 지금과 같은 강성대국을 유지시켜 간다면 동북아에 있어서 정치 군사적 긴장은 고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북한과 바다를 건너 국경을 면하고 있는 일본 입장에서는 안보 상 커다란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북한의 연착륙을 도와줄 경제력을 가진 나라는 일본밖에 없는 것도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향후 한반도의 평화체제 확립을 위해서는 일본의 역할이 중요해 지며 또한 한반도 프로세스 속에 일본을 소외시켜 가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4자회담에서 일본과 러시아를 포함시킨 6자회담 체계로 이행되어야만 하며, 그 속에서 미국의 대북 강경책을 일정 정도 견제할 있는 교섭자로서의 일본의 역할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일본의 조기 대북 수교를 한국정부만이 아니라 중국, 러시아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설득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조기 수교를 위한 조건으로서 일본의 유엔 안보리 진입을 지지해 나가는 것도 조심스럽게 논의해야 할 단계에 와 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및 WEB SITE>
김성철(2000), 『일본의 외교정책』, 세종연구소
김종걸(2000), 「일본적 기업시스템의 변화전망」, 한국동북아경제학회『동북아경제연구』
이숙종(2000), 『한일경제교류 활성화를 위한 문화전략』한국국제통상학회.
www.naver.com -> 지식검색
www.empass.co.kr -> 지식검색
www.yahoo.co.kr -> 지식검색
북일관계에 있어서 최대 이슈는 역시 북일수교와 관련된 것이다. 북일간 경제협력이 거의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지금의 상황에서 일본의 안전보장 상의 이유 때문에 북한을 어떻게 자신의 구미에 맞는 형태로 연착륙 시키는가가 최대의 관건이 된다. 현재 북일수교를 위해서는 일본의 경제적 보상의 방법과 액수조정, 일본인 납치문제 및 미사일 문제의 해결 등 해결해야할 난제가 많으나, 적어도 난제들이 현재 일본을 둘러싼 국내, 국제 정치적 상황 속에서는 급속히 해결될 가능성이 적어 보인다. 북한이 개방개혁에 연착륙에 실패하여 지금과 같은 강성대국을 유지시켜 간다면 동북아에 있어서 정치 군사적 긴장은 고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북한과 바다를 건너 국경을 면하고 있는 일본 입장에서는 안보 상 커다란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북한의 연착륙을 도와줄 경제력을 가진 나라는 일본밖에 없는 것도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향후 한반도의 평화체제 확립을 위해서는 일본의 역할이 중요해 지며 또한 한반도 프로세스 속에 일본을 소외시켜 가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4자회담에서 일본과 러시아를 포함시킨 6자회담 체계로 이행되어야만 하며, 그 속에서 미국의 대북 강경책을 일정 정도 견제할 있는 교섭자로서의 일본의 역할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일본의 조기 대북 수교를 한국정부만이 아니라 중국, 러시아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설득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조기 수교를 위한 조건으로서 일본의 유엔 안보리 진입을 지지해 나가는 것도 조심스럽게 논의해야 할 단계에 와 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및 WEB SITE>
김성철(2000), 『일본의 외교정책』, 세종연구소
김종걸(2000), 「일본적 기업시스템의 변화전망」, 한국동북아경제학회『동북아경제연구』
이숙종(2000), 『한일경제교류 활성화를 위한 문화전략』한국국제통상학회.
www.naver.com -> 지식검색
www.empass.co.kr -> 지식검색
www.yahoo.co.kr -> 지식검색
키워드
추천자료
아시아 4개국 및 러시아 여론주도층의 한국에 대한 인식조사
푸틴 러시아 신정부의 대한반도 정책
등소평 이후 시대의 대외정책과 한반도
후진타오 체제의 등장과 대 한반도 정책
캄보디아 사례를 통해 바라본 인간안보에 대한 국제적 대응
미국의 對 이라크 무력행사가 한반도 평화에 미치는 영향-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하여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대한반도 정책
미얀마(버마)에 대한 이해와 시장 진출 전략
탈 냉전기 일본 외교와 한반도 정책 - 한일 군사문화학회, 한일 군사문화연구
한,중 수교 이전과 이후에 한반도 국제정치 조사분석
김정일의 죽음과 중국의 대 한반도 정책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대한반도 정책
[미국의 중동정책] 미국의 시대별 중동국가에 대한 정책 분석 및 문제점과 제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