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외이(out ear)
1. 구조
1) 이개(auricle)
2) 외이도(external auditory canal)
2. 기능
1) 이개(auricle)
2) 외이도(external auditory canal)
Ⅱ. 중이(middle ear)
1. 구조
1) 고막(tympanic membrane)
2) 고실(tympanic cavity: middle ear cavity)
3) 이소골(auditory ossicle)
4) 유양돌기
2. 기능
1) 중이의 반사기전
2) 증폭기전
Ⅲ. 내이 및 청신경(inner ear & auditory nerve)
1. 구조
1) 와우부(cochlea)
2) 전정부(vestibule)
2. 기능
1) 청각기능
2) 평형기능
3. 청신경
4. 청각전도로
1. 구조
1) 이개(auricle)
2) 외이도(external auditory canal)
2. 기능
1) 이개(auricle)
2) 외이도(external auditory canal)
Ⅱ. 중이(middle ear)
1. 구조
1) 고막(tympanic membrane)
2) 고실(tympanic cavity: middle ear cavity)
3) 이소골(auditory ossicle)
4) 유양돌기
2. 기능
1) 중이의 반사기전
2) 증폭기전
Ⅲ. 내이 및 청신경(inner ear & auditory nerve)
1. 구조
1) 와우부(cochlea)
2) 전정부(vestibule)
2. 기능
1) 청각기능
2) 평형기능
3. 청신경
4. 청각전도로
본문내용
뇌간의 운동핵 및 망양제와 연결되어 머리의 위치 및 직선운동을 감지한다. 난형반은 전후 좌우 운동을 구형반은 상하운동에 대한 감수체를 가지고 있다.
반규관에서는 머리의 운도 방향과 회전운동 및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하며, 수평반규관은 수평회전, 수직 반규관은 상하, 전반규관은 전후 회전운동을 감지한다. 팽대부능에 있는 섬모가 기울면 모세포에서 흥분이 발생하여 자극은 전정신경을 거쳐 중추에 도달한다.
- 전정 기관에 연결된 3개의 반원형 관
3. 청신경
와우축 내에 있는 나선 신경절에서 시발한 와우의 구심성 신경섬유는 내모세포와 외모세포에 분포한다. 내외 세포에 대한 신경섬유의 분포비율은 내모세포에 있어서는 1 : 1로 1개의 섬유가 1개의 모세포로 가고, 외모 세포에 있어서는 1 : 3~4로 1개의 섬유가 3~4개의 모세포로 간다. 구심성 와우신경섬유의 1차 뉴런은 외간에 있는 배측핵과 복측핵으로 들어가며, 일부 뉴런은 같은 쪽으로, 다른 일부 뉴런은 반대쪽으로 교차한다. 이어서 2차뉴런, 3차뉴런에 중계되어 중뇌에 있는 내측슬상체를 향해 상행한다. 하구와 내측 슬상체의 핵에서 중계된 4차, 5차 뉴런은 청방사를 형성하여 대뇌 청각 피질에 도달한다. 대뇌 청각피질에서 와우를 향하는 원심성 신경섬유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청각전도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의 진동수는 약 16~20,000㎐ 사이이며, 이것을 가청음역이라 하며, 이들 중 회화음역은 250~4,000㎐ 사이이다. 이와 같은 음이 전달되는 통로는 전음성 전도와 감음성 전도로 구분한다.
음파가 내이에 전달되는 통로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외이도를 통해 들어간 음파는 고막과 이소골 연쇄를 거쳐서 난원창으로 들어가는 것을 기도전도라 하고, 고막을 거치지 않고 두개골을 통해서 음파가 내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골도전도라 한다.
기도전도로는 이개-외이도-고막-추골-침골-등골-난원창-전정계의 외림프진동-중간계의 내림프진동-코르티기 유모세포에서 음파는 전기적 자극으로 전환-와우신경섬유-나선신경절-내되의 청각피질에 이르는 통로이다. 반면에 골도전도로는 두개골에서 바로 중간계의 내림프를 진동시켜서 대뇌의 청각피질에 이르는 통로이다.
< 퀴즈 >
1. 외이도의 기능은??
고막에 소리를 전달하는 통합된 기관으로 작용
귀지샘이 있어 귀지 분비하여 귀를 보호기능
2. 고막의 기능은?
외부소리를 진동시켜 중이 및 내이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3. 중이의 이소골의 기능은?
고막으로부터 온 음파에 의해 움직이며 음파를 증폭시켜 내이로 전달한다.
4. 내이의 전정 미로는 (평형)에 관계하며 달팽이 관은(청력)에 관계한다.
5. 평소에 닫혀 있으며 하품, 연하, 재채기를 하는 중에 열려 고막의 내부·외부 기압의 평형을 유지하는 중이의 기관 이름은? 이관
< 참고 문헌 >
최명애 외(2002), 인체구조와 기능, 계축문화사
서문자 외(2002), 성인간호학, 수문사
청각학, 이규식석동일 공저, 대구대학교출판부
장진혁 사이버 이비인후과 http://www.ent119.com
반규관에서는 머리의 운도 방향과 회전운동 및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하며, 수평반규관은 수평회전, 수직 반규관은 상하, 전반규관은 전후 회전운동을 감지한다. 팽대부능에 있는 섬모가 기울면 모세포에서 흥분이 발생하여 자극은 전정신경을 거쳐 중추에 도달한다.
- 전정 기관에 연결된 3개의 반원형 관
3. 청신경
와우축 내에 있는 나선 신경절에서 시발한 와우의 구심성 신경섬유는 내모세포와 외모세포에 분포한다. 내외 세포에 대한 신경섬유의 분포비율은 내모세포에 있어서는 1 : 1로 1개의 섬유가 1개의 모세포로 가고, 외모 세포에 있어서는 1 : 3~4로 1개의 섬유가 3~4개의 모세포로 간다. 구심성 와우신경섬유의 1차 뉴런은 외간에 있는 배측핵과 복측핵으로 들어가며, 일부 뉴런은 같은 쪽으로, 다른 일부 뉴런은 반대쪽으로 교차한다. 이어서 2차뉴런, 3차뉴런에 중계되어 중뇌에 있는 내측슬상체를 향해 상행한다. 하구와 내측 슬상체의 핵에서 중계된 4차, 5차 뉴런은 청방사를 형성하여 대뇌 청각 피질에 도달한다. 대뇌 청각피질에서 와우를 향하는 원심성 신경섬유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청각전도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의 진동수는 약 16~20,000㎐ 사이이며, 이것을 가청음역이라 하며, 이들 중 회화음역은 250~4,000㎐ 사이이다. 이와 같은 음이 전달되는 통로는 전음성 전도와 감음성 전도로 구분한다.
음파가 내이에 전달되는 통로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외이도를 통해 들어간 음파는 고막과 이소골 연쇄를 거쳐서 난원창으로 들어가는 것을 기도전도라 하고, 고막을 거치지 않고 두개골을 통해서 음파가 내이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골도전도라 한다.
기도전도로는 이개-외이도-고막-추골-침골-등골-난원창-전정계의 외림프진동-중간계의 내림프진동-코르티기 유모세포에서 음파는 전기적 자극으로 전환-와우신경섬유-나선신경절-내되의 청각피질에 이르는 통로이다. 반면에 골도전도로는 두개골에서 바로 중간계의 내림프를 진동시켜서 대뇌의 청각피질에 이르는 통로이다.
< 퀴즈 >
1. 외이도의 기능은??
고막에 소리를 전달하는 통합된 기관으로 작용
귀지샘이 있어 귀지 분비하여 귀를 보호기능
2. 고막의 기능은?
외부소리를 진동시켜 중이 및 내이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3. 중이의 이소골의 기능은?
고막으로부터 온 음파에 의해 움직이며 음파를 증폭시켜 내이로 전달한다.
4. 내이의 전정 미로는 (평형)에 관계하며 달팽이 관은(청력)에 관계한다.
5. 평소에 닫혀 있으며 하품, 연하, 재채기를 하는 중에 열려 고막의 내부·외부 기압의 평형을 유지하는 중이의 기관 이름은? 이관
< 참고 문헌 >
최명애 외(2002), 인체구조와 기능, 계축문화사
서문자 외(2002), 성인간호학, 수문사
청각학, 이규식석동일 공저, 대구대학교출판부
장진혁 사이버 이비인후과 http://www.ent119.com
추천자료
유아의 청각 발달을 위한 음향 연구
청각장애에 대한 이론적 개관 (정의, 원인, 특성, 교육)
A+레포트 고전소설
중이염 케이스
스피커 제작
여성장애인의 현황, 실태, 복지정책 문제점과 개선방안
장애아동 입양의 실태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장애인 복지의 의의, 이념과 복지정책의 문제점 개선방안
만성중이염 문헌고찰 (수술과정포함)
[청각장애][청각장애인 직업재활]청각장애의 정의, 분류, 유형, 진단, 청각장애의 판별, 현황...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과 언어교육, 청각장애아동의 구화법과 수화법 교육, 청각장애아동의...
발관리 < 생식기계, 감각계 >
의사소통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에 대해서
언어의 이해 - 언어의 소리: 음성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