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청각 발달을 위한 음향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아와 청각발달

Ⅲ. 유아의 음향현상에 대한 청각 경험활동의 실제

Ⅳ. 결론

본문내용

지의 다른 소리들을 만들어 보도록 한다.
b. 각자가 골라잡았던 물체들을 막 뒤에 숨겨 놓는다.
c. 교사가 하나를 골라 소리를 내면, 유아들은 이 물체가 무엇인지 알아 맞춘다.
d. 유아의 대답을 들은 뒤에, 교사는 이 물체를 유아에게 보여주고, 어떻게 소리를 냈는지도 보여준다.
[활 동]⑤
두 명이 짝을 이루어 서로 등을 대고 선다. 한 명이 물체의 소리를 내면, 다른 한 명은 소리낸 물체가 무엇인지 알아 맞춘다.
[활 동]⑥
상자(투명한 것은 안됨)에 콩이나 쌀, 못, 돌 등을 넣어 두 그룹으로 준비한다. 똑 같은 소리를 내는 상자를 구별하여 찾아내도록 한다. 이 놀이는 개별적으로 진행한다.
[활 동]⑦
복사 용지, 셀로판지, 은박지, 신문, 엽서, 카드, 공책 종이, 플라스틱 종이, 빵종이 등, 다양한 종류의 종이를 준비한다.
유아 그룹은 교사가 찢거나 둘둘 말은 종이가 어느 것인지 알아 맞춘다.
[활 동]⑧
녹음기를 가지고도 유아와 함께 주변(거리, 농촌, 도시, 기차역, 교실, 음식점)에서 나는 다양한 소리들을 녹음한다. 녹음한 것을 다시 듣고 어떤 소리인지 구별하여 보도록 한다.
[활 동]⑨
명확한 소리들을 유아 스스로 만들어 내 보고, 이것을 녹음하여 다시 들어본 후, 구별해 보도록 한다.
Ⅳ. 결론
음악을 듣는다는 일은 소리를 인식하고 형성하는 근원적 활동으로서, 가창, 창작, 악기연주, 표현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유아들로 하여금 다양한 음악활동을 체험하게 하여 음악곡목별 내용과 표현형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조직적으로 체계적인 다양한 음악 듣기지도가 요구된다.
유아를 위한 가장 기초가 되는 듣기 경험중의 하나는 소리의 탐색으로, 소리가 어디서 나는지,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에 대한 탐색이다. 소리의 근원을 통하여 소리를 만들 수 있게 도와주며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유아의 자발적인 듣기와 표현의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듣기는 많은 경험이 하루 중 자주 일어나야 하는데 일반적인 경험으로는 주위의 서로 다른 종류의 소리를 많이 탐색하여 들으며, 사람의 다양한 신체소리와 목소리를 들으며, 광범위하고 다양한 음반과 생음악을 듣게 한다. 또한 경험한 음과 음악에 반응하여 표현하도록 한다.
이러한 유아기의 청각발달을 위한 듣기 교육방법이 각 유아교육기관 및 시설 현장에서 실제 적용되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과 준비 및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유아의 발달수준이나 심리적·정서적 특징을 감안하여 유아용으로 제작한 듣기용 테잎이나 음악 듣기 자료가 다양하게 개발·보급되어야 한다.
둘째, 듣기 활동을 방해하는 외부의 소음들은 실제 교육 현장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즉 듣고 있는 음악 곡의 볼륨을 높이거나, 교사의 목소리를 높이게 하는 주변의 불필요한 소음들을 없애야 한다. 유아들은 음강도가 아주 높은 소리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소리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감지력과 귀의 감지력이 떨어지게 된다.
셋째, 효과적인 듣기 교육을 위해서는 유아에게 적절한 음향-음악적 환경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유아는 거대한 양의 음향-음악 현상들로부터 끊임없는 자극을 받고 있으며, 특히 아름다운 소리와 음악은 유아의 음악 능력 형성과 균형잡힌 발달에 도움을 주지만, 불쾌한 소리와 소음은 이와 반대되는 작용으로 나타내게 됨으로 적절한 음향환경의 제공이 중요하다.
넷째, 교사는 유아의 청각 발달단계에 알맞는 교육을 함으로써 유아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유아의 발달단계를 유의하지 않는 듣기활동은 유아에게 피곤함과 지루함을 느끼게 하며, 흥미를 잃게 한다. 그러므로 유아의 자발적 참여를 통하여 청각의 균형있는 발달을 가져오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현직 유아교육 교사 자신이 음악을 선호하고 즐기려는 노력과 함께 자유롭게 표현하고 다양한 음악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사로서의 의식 변화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교육대사전 편찬위원회(1973), 「음악대사전」, p.49
김영연(1996), 「유아음악 교육론」, 서울:학지사, pp.95-100
김정화(1992), 「유아음악교육」, 서울:형성출판사.
김혜경(1996), 「유치원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창지사.
성경희(1999), 「음악과 교육」, 서울:갑을 출판사.
유덕희(1973), 「음악교육학개론」, 대구:학문사, p.97
Bently, Arnold(1992), L'abilita Musicale nei Bambini e la sua Valutazione, Milano: G. Ricardi & C.
Carriere, Patrizia & Lerardi, Aurora(1992), Insegnar Musica Giocando, Milano: Ariberto S.r.l.
Greenberg, M.(1979), Your Children Need Music,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pp.3-40.
Kassner, Scott C.(1992), Research 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R. colwell Ed.), New York: Schirmer Books. pp.633-650.
Miller, R.f.(1992) Affective Response, In Handbook of Reasearch in Music Learning and Teaching,(R. colwell Ed.), New york : Schirmer Books.
Talmelli, Andrea & Tre-Sei, Anni(1990) : L'esperienza Musicale, Milano:, Ricordi & C, p.153-154.
Vianello, Gino(1983), Pedagogia e Didattica Della Educazione Musicale, Padova: G. Zanibon, p.214-221.
Willems Edgar(1975), L'orecchio Musicale, Vol. 1, Padova: G. Zanibon, p.59-68.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2.03.25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3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