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골격계
1) 뼈의 모양 분류
(1) 장골(long bones)
(2) 단골(short bones)
(3) 편평골(flat bones)
(4) 불규칙 골(irregular bones)

2) 뼈의 구조
(1) 육안적 구조
(2) 현미경적 구조

3) 뼈의 구성

4) 골격계의 기능

2. 관절과 인대
1) 관절의 종류
(1) 섬유성 관절
(2) 연골성 관절
(3) 활막 관절(synovial joints): 인체에 있는 대부분의 관절
(4) 점액낭(bursae)과 건초(tendon sheath)
(5) 인대(ligaments)

3. 골격근
1) 육안적 구조
2) 현미경적 구조
3) 골격근의 기능
(1) 움직임
(2) 열생산
(3) 연골
(4) 항상성 유지
(5) 뼈의 재형성
(6) 근골격계의 노화영향
(7) 근골격계의 질환

본문내용

콜린이라는 화학물직이 나오며 이때 활동전압이 발생 함
이는 근세포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근세포로 칼슘이온을 유입시킴
칼슘이온은 가늘고 굵은 근미사가 서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하는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수축이 일어나게 하고, ATP분해효소에 의하여 APT가 ADP로 분해되면서 발생산하는 에 너지를 사용
근육의 이완은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요소인 cholinesterase가 근육을 휴식상태(rest s tate)로 되돌아가게 하는 작용으로 일어남
근육의 수축이 시작될 때 ATP는 근육내에 저장 된 creatine phosphate로부터 형성 creatine phosphate의 공급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가벼운 근육활동에서 조차 ATP는 부가 적으로 ADP로부터 형성
부가적인 ATP형성을 위하여 많은 양의 산소와 포도당이 필요
근육은 충분한 혈관공급을 받아야 하며 호흡에 의해 조절.
호흡은 당분해작용(glycolysis) 또는 무기성 호흡(anaerobic respiration)에 의해 더욱 잘 분해되고 산소 공급이 필요
호기성 호흡의 최종산물: 이산화탄소, 물 그리고 다량의 ATP.
지속적으로 격렬한 운동 시 당분해작용 → 보조를 맞출 만큼 충분한 산소공급 할 수 ×
→젖산 근에 축적 → 산소부재
당분해작용에 의해 생산된 소량의 ATP의 요구가 그 공급을 초과하게 되어 근육이 피로하 게 됨 -> 수축의 강도가 감소하고 결국은 수축이 멈추게 됨
근육 피로& 통증= 젖산의 축적과 관련 -> 산소 부재 보충 위해 깊게 숨을 쉼
무산소성 운동
유산소성 운동(aerobic exercise)
(2) 열생산
골격근의 활동은 열을 생산
운동시: 과도한 열은 땀과 혈관이완 등으로 방출
신체가 차가워지면 근육이 작고 빠르게 수축하여 열을 생성
(3) 연골
: 근골격계 전체에 널리 퍼져 있는 밀집된 결체조직
강한 탄성으로 긴장과 압력의 힘에 저항 가능
반투명색이며 신경과 혈액공급이 한정적
태아 골격의 대부분을 형성-> 점차 골화를 통하여 뼈로 변함
연골의 종류
-초자질 연골: 호흡기, 발육하는 뼈, 교합하는 뼈
-섬유성연골: 특정한 인대와 추간판
-탄성연골: 코와 귀
(4) 항상성 유지
: 뼈는 광물질 균형의 중대한 역할
칼슘, 인, 염분 그리고 다른 광물질들이 뼈 속에 저장-> 신체기관이 필요로 할 때 움직 이고 분포
뼈는 세포대사를 위해 저장 및 방출
혈중 칼슘농도 감소-> 부갑상선은 감지->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oid hormone:PTH) 방 출-> 파골세포(osteoclasts) 자극-> 칼슘 증가
신장의 칼슘배설을 감소-> 인의 배설 증가
장의 칼슘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칼슘의 능동적인 흡수 형태인 Vit. D로 대사 변환을 증가시킴
(5) 뼈의 재형성
: 혈종 형성-> 혈종의 섬유소는 그물망을 형성-> 치유 위해 초기 틀을 형성-> 육아조직이 생산되는 전가골 (procallus)-> 골아세포는 골기질 덩어리에 침착되는 가골(callus)-> 골 소주, 하버시안계가 형성-> 재형성
(6) 근골격계의 노화영향
뼈, 근육 그리고 건에 영향-> 골조직을 잃음-> 치밀골에 있는 하버시안계 부식
골소강은 커지고 외측면은 얇아지고 구멍 남-> 손상율이 성장률보다 빠름
연골을 더욱더 경직되고 부서지기 쉽게 되며, 근육은 커지고 힘은 대신 감소
골격근이 지방으로 대치되고 근육의 무게는 감소
힘이 20세와 50에 사이에 50%정도 감소
(7) 근골격계의 질환
: 골절은 뼈가 부러지는 것으로 장력이나 압축력을 능가한 힘이 뼈에 작용된 결과
골다공증(osteoporosis): 뼈에서 칼슘이 감소되어 뼈가 약하고 부서지기 쉬운 상태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연골이 퇴화되어 통증을 유발하고 움직임을 제한
근육질환은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으로 근육 자체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근육에 아세틸콜린 수용기가 없어져 근력이 심각할 정도로 약해진 질환
★★ 퀴즈 ★★
★★ Reference ★★
서문자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04
최명애 외, 인체구조와 기능, 계축문화사, 2003
네이버 백과사전
http://imagebingo.naver.com/album/image_view.htm?uid=bioscientist&bno=35565&nid=5993&page=1
http://blog.naver.com/irta/20003615408
광명인병원 홈페이지 : http://www.inhospital.com/

키워드

근골격계,   ,   근육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4.05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8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