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영양 프로그램
1. 영양관리
2. 식습관 지도
3. 영양관리 체크리스트
+ 위생 프로그램
1. 식품, 시설에 관한 위생.
2. 아동에 관한 위생.
3. 교직원 및 방문객 위생 관리
4. 환경에 관한 위생.
+ 참고 문헌
1. 영양관리
2. 식습관 지도
3. 영양관리 체크리스트
+ 위생 프로그램
1. 식품, 시설에 관한 위생.
2. 아동에 관한 위생.
3. 교직원 및 방문객 위생 관리
4. 환경에 관한 위생.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에서 보관해야 한다. 녹슨 칼, 이빨 빠진 칼, 무쇠칼은 아예 사용하면 안된다. 수세미는 중성, 알칼이성 세제용액에 담근 후 40℃정도의 음용수로 헹군 후 전용용기에 열탕소독 (100℃ 5분 이상)한 후 충분히 탈수한 후 건조시킨다.
2. 아동에 관한 위생.
(1)손씻기
손을 씻어야 할때는 다음과 같다.
① 기관에 도착하자마자
② 음식물을 먹기 전이나 먹은 직후
③ 화장실에 다녀온 후
④ 놀이터에서 놀다 들어온 후
⑤ 강아지나 고양이 등 애완동물을 만지고 난 후
⑥ 집에 돌아왔을 때
(2)가정으로부터 지참한 음식이나 도시락의 관리
① 유아가 지참한 도시락은 이름을 붙이도록 하고 어떤 음식을 지참했는가를 파악한다.
② 유아들이 각자 집에서 가져온 음식물을 함부로 서로 나누어 먹지 않도록 한다.
③ 가정에서 단체로 준비한 음식을 모든 유아들에게 급식할 경우 준비된 음식은 영양적인 측면에서 적절하고, 식품위생에 문제가 없도록 사전에 관리한다. 특히 유아의 생일 음식 이나 학부모가 당번으로 돌아가며 간식이나 급식 반찬을 준비해 올 경우 주의해야 하며, 이때에는 교사의 적절한 지도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④ 유아 개인이 지참하는 도시락이나 간식의 내용물이 너무 빈약하거나 과다하여 영양적인 결함이 있거나 식습관 형성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거나, 식품 구성과 위생에 문제가 있는 음식을 간식이나 도시락으로 계속하여 지참할 경우 교사는 부모에게 적절한 안내를 보내도록 한다.
(3) 영아 급식시 주의해야 할 사항
① 각 어린이의 가정에서 모유나 조제분유를 담아 보낼 경우 병에 반드시 영아의 이름과 날짜를 기입하도록 한다. 병이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모유의 경우 유즙을 통해서 병에 HIV 바이러스의 감염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② 부모의 특별한 요구 사항이 없을 때는 일반적인 급유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얼린 형태의 유즙은 냉동 보관하거나 냉수에 담궈 보관한다.
③ 유즙을 데워서 먹일 경우 되도록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의 사용은 피하고 중탕으로 가열 수 잘 흔들어 온도를 확인하고 먹이도록 한다. 방심하면 유즙으로 인한 화상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④ 사용한 우유병과 기타 부속 기구는 깨끗이 씻은 후, 5분 이상 끓는 물에서 열탕 소독하도록 한다.
3. 교직원 및 방문객 위생 관리
(1) 손씻기
손씻기는 음식을 먹기전 유아들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교사들이나 급식업무를 담당하는 모두에게 해당하는 것이다.
(2) 용모, 복장 등의 준수사항
*복장
① 위생복(위생모)의 색상은 더러움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흰색으로 한다. 위생 복을 입은 채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
② 앞치마는 조리용, 배식용, 세척용으로 구분하여 착용한다.
③ 위생모는 머리카락이 모자 바깥으로 나오지 않도록 머리를 뒤로 넘겨 확실하게 착용하 고 긴머리의 경우는 반드시 묶는다,
④ 음식의 배식 시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한 세균오염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위생 마스크를 착용한다.
⑤ 장갑은 생식품 취급용과 조리된 식품 취급용으로 구분하고, 매일 전용 소독조 에 담궈 소독한 후 사용토록 한다.
⑥ 위생화는 신고 벗기에 편리하고 발이 물에 젖지 않으며 바닥이 미끄러지지 않 는 모양과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⑦ 위생화를 신고 외부로 나가거나, 화장실 출입을 금한다.
(3) 일일 건강상태 확인
① 매일 아침조회 시 등 조리작업 전에 영양사는 조리사의 건강상태를 확인한다.
② 설사 발열 복통 구토 증상이 있는 자와 손, 얼굴에 상처나 종기가 있는 자는 식중독 이 우려되므로 조리작업에 직접 참여시키지 않으며, 오염구역에서의 청 소작업을 실시하는 등 가급적 조리업무를 담당하지 않도록 업무를 조 정한다.(비상구 급함 비치할 것)
③ 일일 건강상태를 확인한 결과는 일일위생점검일지에 기록한다.
(4) 건강검진 실시
① 조리사는 년 2회이상 건강검진을 받아야 한다.
② 원장은 건강검진결과표를 주방 입구 벽면에 게시한다.
③ 일시 고용자는 특히 근무시작 전 건강상태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5) 방문객 관리
① 조리실 입구에 방문객 전용 위생복, 위생모, 위생화를 비치하고 청결하게 관리한다.
② 이를 착용하지 아니한 자를 조리실에 출입하게 하여서는 안된다.
③ 조리실 외부와의 출입구에 신발소독조를 둔다.
④ 신발 소독조의 소독액은 락스희석액이나 역성비누를 사용한다.
⑤ 소독액의 적정농도 유지를 위해 매일 오전 소독액을 재충전한다.
4. 환경에 관한 위생.
(1) 잔반관리(음식물 쓰레기)
*잔반 발생량 및 처리현황을 알 수 있도록 일지를 작성하여 관리해야 한다.
(2) 세제류 관리
① 식품과 동일장소에 보관금지 및 식품과 접척되지 않도록 별도 관리하고 위험 표지판 을 부착하여야 한다.
② 위험 독성 세제류의 보관, 사용에 대한 조리원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약품화상 및 식품의 약품오염 사례교육)
(3) 폐 식용유 관리
별도 관리일지를 작성하여 처리현황 및 처리근거를 비치하고 있어야 한다.
(4) 쓰레기 관리
① 쓰레기는 종류별 분리수거를 실시한다.
② 해충, 동물(개,고양이 등)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청결하고 견고하게 관리한다.
+참고 문헌
<유아 건강 교육>. 정미라. 양서원. 1999.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임미혜. 동문사. 2000
<직장 보육 시설의 유아 영양 위생 관리>. 사하 삼성 어린이집
<유아 영양과 건강). 정연강. 양서원. 2003
<아동의 건강과 영양>. 김주성. (주)학문사. 2002
<영.유아를 위한 영양 건강 교육>. 이명희외. 교육과학사. 2002
<유아 건강 교육>. 조경자외. 학지사. 2004
사랑스런 영훈이 집
http://blog.naver.com/saemmit_kr.do?Redirect=Log&logNo=20006245331
다이어트 넷
http://www.dietnet.or.kr/Fnutrition/Fnutrition-7.htm
직장 보육시설 지원센터
http://www.escac.or.kr/dataRoom/teacher/list.asp?mode=read&uid=7&page=1
행복한 유아세상 우리아이
http://www.urii.com
2. 아동에 관한 위생.
(1)손씻기
손을 씻어야 할때는 다음과 같다.
① 기관에 도착하자마자
② 음식물을 먹기 전이나 먹은 직후
③ 화장실에 다녀온 후
④ 놀이터에서 놀다 들어온 후
⑤ 강아지나 고양이 등 애완동물을 만지고 난 후
⑥ 집에 돌아왔을 때
(2)가정으로부터 지참한 음식이나 도시락의 관리
① 유아가 지참한 도시락은 이름을 붙이도록 하고 어떤 음식을 지참했는가를 파악한다.
② 유아들이 각자 집에서 가져온 음식물을 함부로 서로 나누어 먹지 않도록 한다.
③ 가정에서 단체로 준비한 음식을 모든 유아들에게 급식할 경우 준비된 음식은 영양적인 측면에서 적절하고, 식품위생에 문제가 없도록 사전에 관리한다. 특히 유아의 생일 음식 이나 학부모가 당번으로 돌아가며 간식이나 급식 반찬을 준비해 올 경우 주의해야 하며, 이때에는 교사의 적절한 지도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④ 유아 개인이 지참하는 도시락이나 간식의 내용물이 너무 빈약하거나 과다하여 영양적인 결함이 있거나 식습관 형성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거나, 식품 구성과 위생에 문제가 있는 음식을 간식이나 도시락으로 계속하여 지참할 경우 교사는 부모에게 적절한 안내를 보내도록 한다.
(3) 영아 급식시 주의해야 할 사항
① 각 어린이의 가정에서 모유나 조제분유를 담아 보낼 경우 병에 반드시 영아의 이름과 날짜를 기입하도록 한다. 병이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모유의 경우 유즙을 통해서 병에 HIV 바이러스의 감염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② 부모의 특별한 요구 사항이 없을 때는 일반적인 급유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얼린 형태의 유즙은 냉동 보관하거나 냉수에 담궈 보관한다.
③ 유즙을 데워서 먹일 경우 되도록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의 사용은 피하고 중탕으로 가열 수 잘 흔들어 온도를 확인하고 먹이도록 한다. 방심하면 유즙으로 인한 화상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④ 사용한 우유병과 기타 부속 기구는 깨끗이 씻은 후, 5분 이상 끓는 물에서 열탕 소독하도록 한다.
3. 교직원 및 방문객 위생 관리
(1) 손씻기
손씻기는 음식을 먹기전 유아들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교사들이나 급식업무를 담당하는 모두에게 해당하는 것이다.
(2) 용모, 복장 등의 준수사항
*복장
① 위생복(위생모)의 색상은 더러움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흰색으로 한다. 위생 복을 입은 채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
② 앞치마는 조리용, 배식용, 세척용으로 구분하여 착용한다.
③ 위생모는 머리카락이 모자 바깥으로 나오지 않도록 머리를 뒤로 넘겨 확실하게 착용하 고 긴머리의 경우는 반드시 묶는다,
④ 음식의 배식 시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한 세균오염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위생 마스크를 착용한다.
⑤ 장갑은 생식품 취급용과 조리된 식품 취급용으로 구분하고, 매일 전용 소독조 에 담궈 소독한 후 사용토록 한다.
⑥ 위생화는 신고 벗기에 편리하고 발이 물에 젖지 않으며 바닥이 미끄러지지 않 는 모양과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⑦ 위생화를 신고 외부로 나가거나, 화장실 출입을 금한다.
(3) 일일 건강상태 확인
① 매일 아침조회 시 등 조리작업 전에 영양사는 조리사의 건강상태를 확인한다.
② 설사 발열 복통 구토 증상이 있는 자와 손, 얼굴에 상처나 종기가 있는 자는 식중독 이 우려되므로 조리작업에 직접 참여시키지 않으며, 오염구역에서의 청 소작업을 실시하는 등 가급적 조리업무를 담당하지 않도록 업무를 조 정한다.(비상구 급함 비치할 것)
③ 일일 건강상태를 확인한 결과는 일일위생점검일지에 기록한다.
(4) 건강검진 실시
① 조리사는 년 2회이상 건강검진을 받아야 한다.
② 원장은 건강검진결과표를 주방 입구 벽면에 게시한다.
③ 일시 고용자는 특히 근무시작 전 건강상태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5) 방문객 관리
① 조리실 입구에 방문객 전용 위생복, 위생모, 위생화를 비치하고 청결하게 관리한다.
② 이를 착용하지 아니한 자를 조리실에 출입하게 하여서는 안된다.
③ 조리실 외부와의 출입구에 신발소독조를 둔다.
④ 신발 소독조의 소독액은 락스희석액이나 역성비누를 사용한다.
⑤ 소독액의 적정농도 유지를 위해 매일 오전 소독액을 재충전한다.
4. 환경에 관한 위생.
(1) 잔반관리(음식물 쓰레기)
*잔반 발생량 및 처리현황을 알 수 있도록 일지를 작성하여 관리해야 한다.
(2) 세제류 관리
① 식품과 동일장소에 보관금지 및 식품과 접척되지 않도록 별도 관리하고 위험 표지판 을 부착하여야 한다.
② 위험 독성 세제류의 보관, 사용에 대한 조리원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약품화상 및 식품의 약품오염 사례교육)
(3) 폐 식용유 관리
별도 관리일지를 작성하여 처리현황 및 처리근거를 비치하고 있어야 한다.
(4) 쓰레기 관리
① 쓰레기는 종류별 분리수거를 실시한다.
② 해충, 동물(개,고양이 등)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청결하고 견고하게 관리한다.
+참고 문헌
<유아 건강 교육>. 정미라. 양서원. 1999.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임미혜. 동문사. 2000
<직장 보육 시설의 유아 영양 위생 관리>. 사하 삼성 어린이집
<유아 영양과 건강). 정연강. 양서원. 2003
<아동의 건강과 영양>. 김주성. (주)학문사. 2002
<영.유아를 위한 영양 건강 교육>. 이명희외. 교육과학사. 2002
<유아 건강 교육>. 조경자외. 학지사. 2004
사랑스런 영훈이 집
http://blog.naver.com/saemmit_kr.do?Redirect=Log&logNo=20006245331
다이어트 넷
http://www.dietnet.or.kr/Fnutrition/Fnutrition-7.htm
직장 보육시설 지원센터
http://www.escac.or.kr/dataRoom/teacher/list.asp?mode=read&uid=7&page=1
행복한 유아세상 우리아이
http://www.urii.com
추천자료
태내기부터영유아기 인간발달이론 및 사회복지실천에적용
영유아기 책읽기가 중요한 이유와 발달상 주의해야 할 점
태내기 영유아기 아동발달.ppt
[영유아기 언어발달] 영유아기 언어발달 과정, 영유아 언어교육 지침, 영유아 언어 영역, 연...
[영유아기 언어발달] 영유아기 언어발달 과정, 영유아 언어교육 지침, 영유아 언어 영역, 연...
영유아(만0~5세)의 일상생활 속 놀이에서 볼 수 있는 영유아기 수학적 지식의 사례를 3가지를...
영유아기의 과학적 탐구능력의 발달단계에 대해 살펴 보고, 사물의 변화에 관한 활동을 아동...
영유아기 언어지도의 중요성과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 작성.(학습자 의견과 사례를 꼭 넣으시오)
[정신건강론] 영유아기 정신건강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보고 영유아기에 흔한 정신건강 문제...
영유아기 애착의 중요성과 애착이 가지는 영향력에 대하여
단백질의 과잉 혹은 결핍이 영유아기 성장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이것의 바람직...
영유아기 지각발달(영유아의 시지각발달, 소리지각발달, 영유아기 지각발달의 특징), 영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