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 의
(1) 식물성 식이섬유
1) 수용성 식이섬유
2) 불용성 식이섬유
(2) 동물성 식이섬유
2. 식이섬유의 체내 기능
1) 비만 예방
2) 대장암 예방
3) 변비 예방
4) 당뇨병 예방
5)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6) 식이섬유와 장내세균
3. 식이섬유소와 건강
4. 고섬유소 식사의 문제점
(1) 식물성 식이섬유
1) 수용성 식이섬유
2) 불용성 식이섬유
(2) 동물성 식이섬유
2. 식이섬유의 체내 기능
1) 비만 예방
2) 대장암 예방
3) 변비 예방
4) 당뇨병 예방
5)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6) 식이섬유와 장내세균
3. 식이섬유소와 건강
4. 고섬유소 식사의 문제점
본문내용
만난(Gluco Mannan) 이라고 하는 식물성 섬유가 풍부하다. 또 칼슘, 나트륨, 칼륨, 인 등의 미네랄이 들어 있다. 동의보감에는 구약감자가 비만이나 변비, 정장 작용에 효과가 좋다고 기술돼 있으며,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황제의 비만 치료제로 쓰여 왔다. 일본의 대표적 장수마을인 오키나와에서는 곤약을 매 끼니마다 빼놓지 않을 정도로 즐겨 먹는다고 한다.
밥 한 공기(200g)가 300㎉, 고구마 한 개가 256㎉인데 반해, 곤약 200g은 48㎉에 불과하기 때문에 최근 다이어트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곤약 100g에 들어있는 식이섬유는 3.62g으로 같은 양의 귤(1g)이나 사과(1.3g)보다 훨씬 많다. 이 식이섬유는 위에서 소화,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배변을 촉진해 줄 뿐 아니라 콜레스테롤을 걸러내는 효과도 있다.
◎ 식이섬유가 적은 식품
- 백미, 정제밀가루, 껍질을 제거하고 정제한 곡류로 만든 음식이나 인스턴트 식품 (흰밥, 찹쌀, 국수, 흰식빵, 햄버거, 라면, 튀김, 두부, 순두부, 과일쥬스, 복숭아통조림등)
◎ 식이섬유가 많은 식품(과일, 곡식, 야채)
- 통곡식류 (현미, 율무, 보리, 콩, 옥수수, 귀리등), 버섯류, 구황작물, 차전자피, 쑥갓, 미나리, 상추, 부추 고사리,우엉, 샐러리, 숙주, 파슬리, 근대, 쑥, 무우말랭이, 씨래기나물, 양파, 양상추, 연근, 양배추, 토란, 당근, 밤, 호두, 잣, 다시마, 미역, 김, 파래, 톳, 한천, 함초
단, 김치, 열무, 콩나물 등에 있는 질긴 식이섬유는 불용성의 셀룰로즈로 거칠어서 = 위장을 자극하고, = 소화에 방해가 되며, =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적어 변비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4. 고섬유소 식사의 문제점
식이섬유는 비만과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영양소 필요량이 많거나 소화능력이 부적한 성장기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지나친 고섬유 식사를 하게 되면 다량의 수분섭취가 필요하게 되고, 칼슘, 아연, 철분 등의 중요한 무기질과 결합하여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 특히 노인의 경우 식이섬유소 섭취가 많을 경우 물을 자주많이 마셔야 한다.
<참고자료>
1. 21세기 영양과 건강 이야기. 최혜미, 2002
2. 신인류 다이어트. 박용우
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http://www.khidi.or.kr
4. 한국식품영양재단. http://www.nutritionkorea.com
밥 한 공기(200g)가 300㎉, 고구마 한 개가 256㎉인데 반해, 곤약 200g은 48㎉에 불과하기 때문에 최근 다이어트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곤약 100g에 들어있는 식이섬유는 3.62g으로 같은 양의 귤(1g)이나 사과(1.3g)보다 훨씬 많다. 이 식이섬유는 위에서 소화,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배변을 촉진해 줄 뿐 아니라 콜레스테롤을 걸러내는 효과도 있다.
◎ 식이섬유가 적은 식품
- 백미, 정제밀가루, 껍질을 제거하고 정제한 곡류로 만든 음식이나 인스턴트 식품 (흰밥, 찹쌀, 국수, 흰식빵, 햄버거, 라면, 튀김, 두부, 순두부, 과일쥬스, 복숭아통조림등)
◎ 식이섬유가 많은 식품(과일, 곡식, 야채)
- 통곡식류 (현미, 율무, 보리, 콩, 옥수수, 귀리등), 버섯류, 구황작물, 차전자피, 쑥갓, 미나리, 상추, 부추 고사리,우엉, 샐러리, 숙주, 파슬리, 근대, 쑥, 무우말랭이, 씨래기나물, 양파, 양상추, 연근, 양배추, 토란, 당근, 밤, 호두, 잣, 다시마, 미역, 김, 파래, 톳, 한천, 함초
단, 김치, 열무, 콩나물 등에 있는 질긴 식이섬유는 불용성의 셀룰로즈로 거칠어서 = 위장을 자극하고, = 소화에 방해가 되며, =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적어 변비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4. 고섬유소 식사의 문제점
식이섬유는 비만과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영양소 필요량이 많거나 소화능력이 부적한 성장기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지나친 고섬유 식사를 하게 되면 다량의 수분섭취가 필요하게 되고, 칼슘, 아연, 철분 등의 중요한 무기질과 결합하여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 특히 노인의 경우 식이섬유소 섭취가 많을 경우 물을 자주많이 마셔야 한다.
<참고자료>
1. 21세기 영양과 건강 이야기. 최혜미, 2002
2. 신인류 다이어트. 박용우
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http://www.khidi.or.kr
4. 한국식품영양재단. http://www.nutritionkorea.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