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가의 모든 것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가의 모든 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무속과 무가
1) 무당의 유형
2) 무속의례의 유형과 절차

2. 무가의 역사적 전개

3. 무가의 특징

4. 무가의 갈래
1) 교술무가
2) 서정무가
3) 서사무가
4) 희곡무가

5. 무가의 전승원리와 구연 방식
1) 무가의 전승원리
2) 무가의 구연 방식

6.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기하고 있다가 필요한 자리에서 재생하여 작시단위로 활용
*갈래에 따른 전승과정의 차이
(1)서정무가: 민요나 유행가 등이 그대로 들어가 구연하는데 별문제가 없고 저절로 익혀 특별한 학습이 필요 없음
(2)교술무가: 활용되는 작시단위가 대부분 무가에서 널리 활용되는 작시단위 들이고 관습에 따라 고정된 틀이 있어 반복된 학습을 통해 습득 되며 무당은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작시단위를 배치해서 무가를 엮어감.
(3)서사무가: 이야기 줄거리는 서사구조에 따라 기억하고 개별장면의 구체적 묘사나 표현은 익히고 있는 작시단위를 활용하여 엮어 가는 방법을 사용.
(4)희곡무가: 서사무가와 기본적으로 비슷하나 훨씬 현장 상황에 영향을 많이 받음.
-------------------------------------------------------------------------------------
2) 무가의 구연 방식
무가의 구연 방식은 그 분류기준을 무엇으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서서 하는 경우와 앉아서 하는 경우가 있고, 신단을 정면으로 바라보면서 구연하는 경우와 신단을 등지고 구경꾼들을 향해서 구연하는 경우가 있고, 무당 자신이 직접 반주를 하면서 구연하는 경우와 반주는 악사들이 하고 무당은 그 반주에 맞추어서 구연만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서사무가를 대상으로 판소리와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논한 연구결과가 있어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서사무가의 구연 방식은 구송창과 연희창으로 나눌 수 있는데, 구송창은 독경무의 앉은굿에서 하는 구연 방식이 그 전형이고, 연희창은 동해안의 세습무들의 구연 방식이 그 전형이라고 한다. 그리고 구송창이 비교적 신성성을 강하게 의식하는 데에 대해 연희창은 오락성을 강하게 의식한다. (p363)
무가는 신을 대상으로 구연되기 때문에 신단을 정면으로 바라보면서 구연하는 구송창 형태가 원초적인 구연 형태였다. 신단을 등지고 인간을 향해서 구연하는 연희창 형태는 신보다는 인간을 강하게 의식한 결과이며, 신성성보다는 인간의 흥미에 더 관심을 둔 구연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무가의 구연 방식이 구송창에서 연희창으로 이행된 과정을 통해서 무가의 제의적 기능이 퇴색되고 오락적 기능이 강화되는 과정을 읽어낼 수 있다.
-------------------------------------------------------------------------------------
구송창
(1)독경무의 앉은굿에서 구연하는 방식
(2)신단정면을 보고 구연
(3)원초적인 구연형태로 신성성 강하게 의식
연희창
(1)동해안의 세습무들의 구연방식
(2)신단을 등지고 인간을 향하여 구연
(3)신보다 인간을 강하게 의식하여 오락성 강하게 의식
---a 구송창에서 연희창으로 이행 되면서 무가의 제의적 기능이 퇴색되고 오락적 기능 강화됨.
-------------------------------------------------------------------------------------
6.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무가는 무속제의와 결합된 것이고, 무속제의는 주술성과 신성성을 바탕으로 한다. 그러나 무속의 관습에 따라 무속의례는 신과 인간 사이의 화합의 축제를 요구한다. 바로 이 점이 오락성이 개입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여건이 되고, 무가가 문학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무가는 많은 무당들에 의해서 오랜 세월 전승되는 동안에 그 예술성이 높아져서 오늘에 이르렀다. 매끄럽게 구연될 수 있도록 율격적으로 가다듬어지고, 같은 내용이라도 더 큰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적절한 표현을 마련했다. 더 쉽게 기억하고, 더 오랜 시간을 구연하기 위해서 적절한 작시단위를 개발했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사설을 엮어갈 수 있는 문학적 역량을 길렀다. 무가 사설 속에 들어 있는 많은 노래들이 판소리를 비롯한 다른 갈래들에 수용되었다는 사실은 무가 사설이 그만큼 문학적으로 뛰어나다는 뜻이기도 하다. 무가는 유려한 율조에 세련된 표현을 갖추고 있는 훌륭한 문학이다.
문학사적 의의를 보면 무가는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가지 악조건을 견뎌내고 현재도 꿋꿋하게 살아 있는 구비문학의 갈래이다. 이렇게 오랜 세월 동안 전승되면서 무가는 다른 갈래들과 끊임없는 갈래 교섭을 통해 우리 문학 발전에 기여해 왔다.
-------------------------------------------------------------------------------------
<무가의 문학성>
① 오락성
·무가는 무속제의와 결합된 것이고, 무속 제의는 주술성과 신성성을 바탕으로 한다. 무속의 관습에 따라 무속의례는 신과 인간 사이의 화합의 축제를 요구한다. 바로 이점이 오락성이 개입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인지의 발달과 함께 강화된 주술성과 신성성에 대한 회의(懷疑)는 오락성의 강화를 더 강하게 요구함.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주술성과 신성성을 바탕으로 신을 대상으로 구연되던 무가는 점점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형태로 변모했고, 그에 맞추어 오락성과 예술성이 점점 강화되었을 것이다. 이것이 세습무가 존속할 수 있었던 이유다.
② 예술성
·율격적으로 가다듬어지고, 같은 내용이라도 더 큰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적절한 표현을 마련함-무가의 사설에 비유와 대구가 많은 것은 이 때문
·쉽게 기억하고 오랜 시간을 구연하기 위해 적절한 작시단위 개발, 이것을 활용해 사설을 엮어갈 수 있는 문학적 역량을 기름
·무가의 사설 속에 다른 갈래들이 수용됨- 문학적으로 뛰어나다는 뜻
무가: 유려한 율조에 세련된 표현을 갖춘 문학
<무가의 문학사적 의의>
·가장 오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도 살아있는 구비문학의 갈래.
·다른 갈래들(예: 민요, 판소리, 시조, 한시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무가 자체의 문학적 자산을 풍성하게 하면서 판소리, 민요, 민속극 등에 자양분을 제공
-------------------------------------------------------------------------------------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4.12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