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담 송남수와 대전의 경관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송담 송남수와 대전의 경관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송담 송남수의 경관시
1. 송담의 삶과 문학
2. 송담의 경관시 개관
(1) 절우당 16영과 10영
(2) 읍호정 12경
(3) 피운암 8경시
(4) 그 밖의 경관시들
3. 송담 경관시의 내용과 표현

Ⅲ. 대전의 경관시와 송담
1. 대전 경관시의 자료
2. 대전 명소의 시적 표상

Ⅳ. 결론

본문내용

文城返照 (남준식)
⑤ 鷄岳夕照 (권이진)
⑥ 鷄山雲 (남준식)
d. 사찰과 암자 e. 하천
① 高寺尋僧 (송남수) ① 楓溪觀魚 (송남수) ⑨ 雙川宿鷺(송몽인)
② 高山曉鍾 (송몽인) ② 月浦泛舟 (송남수) ⑩ 甲川漁火(송시열)
③ 花菴曉鍾 (송시열) ③ 碧落觀魚 (송남수) ⑪ 前溪漁火(송시열)
④ 蓬菴疎鍾ㆍ佛潭賞蓮 (권 감) ④ 雙溪垂釣 (송남수) ⑫ 柳浦春漁 (권 감)
⑤ 飛菴暮鍾 (송교순) ⑤ 船巖漁火 (송남수) ⑬ 石溪鳴灘 (권 감)
⑥ 高山曉鍾 (남준식) ⑥ 十里長川 (송남수) ⑭ 川漁火 (권이진)
⑦ 甲川落匯 (송몽인) ⑮ 梧川漁火 (송교순)
⑧ 楚江漁火 (송몽인) 長川漁火 (남준식)
Ⅳ. 결 론
지금까지 송담 송남수의 경관시를 새롭게 조명해 보려는 의도를 가지고 살펴보았다. 송담 송남수는 대전에서 태어나 처음으로 대전을 소재로 대전 경관시를 지었고, 그것도 여러 편을 지은 시인이다. 송담에 이르러 8경시의 표현 방식을 연작형식으로 활용하는 경관시 형태가 대전에 처음 등장하였던 사실을 높게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그의 경관시 작시 태도를 보면 그가 기존의 것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제재를 찾는 한편, 명소를 스스로 만들어가는 적극성을 보였다.
송담이라는 걸출한 경관 시인이 400여 년 전 이곳에서 배출됨으로써 대전의 경관시 전통이 수립될 수 있었으며, 대전을 새롭고 아름답게 가꾸며 살아가야 하는 오늘과 미래의 대전 시민들에게 좋은 본보기를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논문평
1. 송담 송남수라는 시인이 대전의 경관시의 전통을 수립한 개척자라는 사실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 논문을 통해 알게 되었고, 고전문학 작품 속에 나타나는 대전의 모습을 모색하는 작업이 참신하다고 느꼈다.
2. 우리가 살고 있는 고장을 대상으로 한 고장사람의 작품을 통해 친숙함과 동시에 대전인으로서의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3. 송담 송남수의 작품 뿐만 아니라 한시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해 이 논문에 실린 제목만으로는 송담의 구체적인 작품 세계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다는 것이 아쉬웠다.
4. 기타
① 제ⅡⅢ장에서 다음 예시의 단어를 표기할 때 괄호 속에 한자를 넣었더라면 더 이해가 쉬웠을 것이라 생각된다.
예) 13쪽 - 기문, 제영시, 17쪽 - 누정시
② 10쪽의 읍호정 12경에서 20영과 20경이 넘나들고 있어 한시에 문외한인 독자로 하여금 다른 장르의 작품인 것처럼 혼동을 준다. 나중에 17쪽에서야 혼용되는 이유를 간단히 밝히고 있지만, 10쪽에서 미리 각주처리 등을 통해 설명을 해 주었으면 이해하기가 쉬웠을 것이다.
③ 10쪽에서 문집에 실린 5언 율시 4수는 10영시로, 7언 절구 4수는 16영시에 소속된 작품이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부분이 있는데, 결론 부분에서는 70세 전후한 시기에 절우당 10영과 16영을 지었다는 단정적인 표현을 쓰고 있다.
④ 24쪽에서 오기인지 다른 작품인지 구분이 안 가는 인용이 있다.
▶ 유호정 12영에서는 ‘선암어화(船巖漁火)’…→읍호정 12영
▶ 우암의 「쌍매당 8경」에…→우암의「삼매당 8경」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4.1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4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