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별 문학 이론 - 시(詩 - 시의 정의와 특성, 시의 요소와 갈래, 시의 운율, 시의 언어와 표현 기교, 시의 심상, 시와 문예 사조, 한국 현대시의 흐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르별 문학 이론 - 시(詩 - 시의 정의와 특성, 시의 요소와 갈래, 시의 운율, 시의 언어와 표현 기교, 시의 심상, 시와 문예 사조, 한국 현대시의 흐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의 정의

2. 시의 특성

3. 시의 요소(要素)

4. 시의 갈래

5. 시의 운율(韻律)

6. 시의 언어(詩語)

7. 시의 표현 기교

8. 시의 심상(心象, image)

9. 시와 문예 사조

10. 한국 현대시의 흐름

본문내용

10. 한국 현대시의 흐름
: 19세기 말 일본의 침략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나타난 우리 나라의 현대시는 새로운 서구의 문물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부른 의병가사, 창가, 개화 가사 등을 출발점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작품을 형태면에서 전통적인 운문 양식을 이어 받고 있다.
(1) 현대 문학 제1기의 현대시(1908~31운동)
① 특징
(ㄱ) 최남선의 신체시(新體詩) 해에게서 소년에게(1908)로 한국 현대시의 기점을 이루었다.
(ㄴ) 신체시가 형태면에서 정형성을 탈피하려 했으나 여전히 전통적 시가 형태를 벗어나지 못했던 것에 반해, 1910년대의 시는 정형성을 과감히 탈피하였다.
(ㄷ) 문예지 창간 : 소년(1908, 최초의 종합월간지), 청춘(1914), 창조(1919, 최초의 문예 동인지), 태서 문예 신보(1918, 외국 문학의 번역소개)
② 주요 시인과 작품
(ㄱ) 육당 최남선 : 해에게서 소년에게, 구작 삼편(舊作三篇), 태백산 시집
(ㄴ) 김억 : 프랑스 상징시 소개. 봄은 간다, 무덤, 봄, 오뇌의 무도(최초의 번역 시집) 등
(ㄷ) 황석우 : 봄, 은자(隱者)의 노래등
(ㄹ) 주요한 : 불놀이(창조, 1919)
(2) 현대 문학 제2기의 현대시(1920년대의 문학)
① 특징
(ㄱ) 1910년대의 자유시를 계승하여 그 형식을 확립
(ㄴ) 동인지(同人誌)의 활동이 활발함 : 개벽(1920, 계급주의시), 폐허(1920), 장미촌(1921, 최초의 시 전문지), 백조(1922, 낭만주의시), 금성(1923, 번역문학소개), 영대(1924, 창조의 후신), 조선문단(1924, 민족주의시), 해외문학(1926, 번역문학소개), 문예공론(1929) 등
(ㄷ) 31운동의 실패로 인해 좌절과 절망에 빠진 시민들이 어두운 시를 썼다.(감상적인 경향)
(ㄹ) 목적시를 쓰는 신경향파의 문학이 대두되었다.
(ㅁ) 민족주의파에 의해 시조 부흥 운동이 전개되었다.
② 주요 시인과 작품
(ㄱ) 홍사용 : 나는 왕이로소이다 등
(ㄴ) 이상화 : 나의 침실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등
(ㄷ) 김소월 : 김억의 영향을 받음. 산유화, 진달래꽃, 산 등
(ㄹ) 한용운 : 승려이며 독립운동가임. 님의 침묵, 나룻배와 행인 등
(ㅁ) 김동환 : 삼천리 문학(1929)발간, 국경의 밤, 눈이 내리느니 등
(ㅂ) 번영로 : 논개, 조선의 마음 등
(3) 현대 문학의 제3시기의 현대시(1930년대 ~ 일제 말기의 문학)
① 특징
(ㄱ) 목적 문학에 반발하여 시문학파 시인들을 중심으로 순수 문학이 이루어졌다.
(ㄴ) 모더니즘〔주지파〕의 경향이 등장했다.
(ㄷ) 인생파〔생명파〕가 서정주, 유치환에 의해 전개되었다.
(ㄹ) 일제의 탄압에 대하여 이육사, 윤동주 등은 시로써 항거하였다.
(ㅁ) 문장(文章)(1939)지로 추천을 통하여 박두진, 박목월, 조지훈, 박남수, 김종환 등이 시인으로 등단하였다.
(ㅂ) 주요 시지(詩誌) : 시문학(1930 : 전통파), 삼사 문학(1934 : 현대파), 시인 부락(1936 : 인생파) 등
② 주요 시인과 작품
(ㄱ) 김영랑 : 시문학파. 모란이 피기까지는, 내 마음 아실 이 등
(ㄴ) 신석정 : 시문학파. 슬픈 구도(構圖)등
(ㄷ) 김광균 : 모더니즘 실천의 대표적 시인(회화성 중시). 와사등, 외인촌
(ㄹ) 서정주 : 생명파. 화사, 문둥이, 귀촉도, 동천 등
(ㅁ) 유치환 : 생명파. 깃발, 바위, 울릉도, 일월 등
(ㅂ) 이육사 : 자오선 동인. 남성적인 대결 정신과 강인한 대륙적 풍모를 보임. 광야, 황혼, 절정, 육사 시집(1946 : 유고집) 등
(ㅅ) 윤동주 : 섬세한 시정, 순교자적 자세, 자아에 대한 내적 응시와 분열로 보임. 서시, 별헤는 밤, 달을 쏘다, 산울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48 : 유고집) 등
(ㅇ) 이 상 : 구인회 동인. 초현실주의 작가. 오감도, 거울 등
(4) 현대 문학의 제4기의 현대시(광복이후의 문학 ~ 1950년대)
① 특징
(ㄱ) 청록파와 생명파를 중심으로 전통적 서정의 세계를 계승심화시켰다.〔청록집(1946) 발간〕
(ㄴ) 정인보, 김상옥 등을 중심으로 민족주의적 시가 쓰여졌다.
(ㄷ) 김경린, 박인환, 김수영 등 후반기동인들이 등장하여 주지시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였다.
(ㄹ) 문명과 도시와 사회적 윤리 정서의 현대적 감각화 : 박인환, 조병화 등
(ㅁ) 지적문명 비판적인 현실에 대한 역설야유 : 전봉건, 송욱 등
(ㅂ) 전통적 율격의 현대적 감각화 : 이원섭, 이동주, 박재삼 등
(ㅅ) 서구시 방법에 의한 새로운 서정 : 김춘수, 김수영 등
② 주요 시인과 작품
(ㄱ) 박목월 : 청록파〔자연파〕. 동양적인 선(仙)의 세계를 추구함. 청노루, 불국사 등
(ㄴ) 박두진 : 청록파. 크리스트 교 신상을 바탕으로 한 자연 친화를 보임. 요지송, 향현, 해 등
(ㄷ) 조지훈 : 청록파. 선(禪)과 지사적 기풍을 견지함. 고풍 의상, 승무, 봉황수 등
(ㄹ) 이동주 : 강강술래 등
※ 보충 정리 : 한국 현대시의 주제
1. 1910년대 : 민중을 계몽하고, 민족 의식을 고취하는 애국주의적 경향의 교훈시가 주류를 이루었다.
2. 1920년대 : 전반기의 시에서는 1910년대의 정신을 거부했지만, 31 운동 이후의 절망감과 세기말적 풍조의 유입 등으로 인해 주관적 감상주의(感傷主義)에 빠지고 말았다. 후반기에 이르러 시어에 대한 자각이 뚜렷해지는 등 현대시의 진정함 기점이 마련되었다.
3. 1930년대 : 시문학파는 시어에 대한 자각을 구체화시켜 심화된 정감을 한국적인 운율로 재구성함으로써 순수 서정시의 세계를 이룩했다. 모더니즘 시인들은 도시와 근대적 풍경 속에서 시의 주제를 찾기에 힘썼으며, 기계 문명과 도시 생활의 영향 속에서 사물과 세계를 보는 새로운 시각과 방법론을 갖게 되었다. 모더니즘에 대한 반동으로 인간적인 문제와 생명의 탐구에 주력한 생명파 시인들, 시간을 초월하는 생명의 고향을 추구하기 위해 자연을 찾아 나선 청록파 시인들이 나타났다.
4. 1940년대 : 전반기에는 일제의 압제에 대한 저항 의식을 드러낸 시가 쓰여졌고, 후반기에는 모더니즘 시 운동이 전개되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3.24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93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