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인터넷 여론의 유형과 특성
1. 인터넷 여론의 유형과 실태
2. 인터넷 여론의 특성
1) 전파의 기제
2) 수용자의 특성
3) 매체의 특성과 전파율
Ⅱ. 인터넷 집합행동의 유형과 특성
1. 인터넷 집합행동의 유형과 실태
2. 인터넷 집합행동의 특성
1) 집합행동을 위한 참여자의 동원
2) 집합행동의 채널 특성
1. 인터넷 여론의 유형과 실태
2. 인터넷 여론의 특성
1) 전파의 기제
2) 수용자의 특성
3) 매체의 특성과 전파율
Ⅱ. 인터넷 집합행동의 유형과 특성
1. 인터넷 집합행동의 유형과 실태
2. 인터넷 집합행동의 특성
1) 집합행동을 위한 참여자의 동원
2) 집합행동의 채널 특성
본문내용
집행동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인터넷은 개인들이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시공간적 제약을 적게 받으면서 관심과 이해를 공유하는 장이기 때문에 집합행동을 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과 환경을 제공한다. 모든 집합행동에서 일차적인 과제가 되는 관심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결집은, 기본적으로 사람들의 연결망이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에서 비교적 쉽게 해결된다.
사이버 공간은 개방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어떤 집합행동이 성공적으로 되는 경우 그 결과는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런 측면에서 인터넷의 집합행동은 일종의 공공재(public goods)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집합행동의 과제는 참여자를 동원하고 무임 승차자를 줄이는 문제가 중요해진다. 자원동원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에 따르면 집합행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일정 정도의 사람들을 동원하여 소위 임계대중(critical mass)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시공간적 제약의 완화, 익명성과 탈개인화, 사람들의 관계의 망이라는 인터넷의 조건은 참여자의 동원을 용이하게 하지만 이것만으로 집합행동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충분한 사람들이 참여하여 성공적인 결과가 예상된다는 것을 잠재적인 참여자들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참여자 수가 적어 성공여부가 불투명한 집합해동에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참여를 꺼릴 것이기 때문이다. 사이버 공간의 기록성과 양방향성은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해준다. 전자적 기록을 통해 참여자의 수와 범위를 알 수 있고 자신이 참여한 결과도 바로 드러나기 때문에 참여를 위한 동기부여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
2) 집합행동의 채널 특성
인터넷에서 집합행동은 주로 공개적인 채널을 통해 표출된다. 집합행동과 관련된 메시지는 내용이 공개적일 뿐만 아니라 형식도 메신저나 채팅을 통해 전달되기에는 비교적 긴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교적 간단한 유언비어나 도회전설은 공개적인 게시판뿐만 아니라 체인레터나 사적인 전자우편 등과 같은 비공개적 채널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
인터넷의 익명성은 집합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공개적인 채널에서 익명성의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난다. 인터넷의 익명성은 사람들이 정치적 보복이나 경제적 불이익을 받지 않으면서 집합행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해 준다. 반면 익명성에 수반되는 탈개인화 효과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식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집합행동의 규모를 키우거나 과격화시키는 경향도 있다.
인터넷에서의 여론형성과 전파 과정에서 정보원의 개방이 소수집단이나 약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터넷에서의 집합행동은 그 전에는 제대로 표출될 수 없었던 개인들과 소수집단의 이해를 대변해 줄 수 있다. 또한 여론의 형성과 전파과정에서 정보의 내용에 대한 문지기의 결여가 다수에게 표현의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정보의 전반적인 질과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측면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집합행동에서의 문지기 결여는 지나치게 다양한 주장과 요구가 손쉽게 분출됨으로써 사회적인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다.
사이버 공간은 개방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어떤 집합행동이 성공적으로 되는 경우 그 결과는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런 측면에서 인터넷의 집합행동은 일종의 공공재(public goods)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집합행동의 과제는 참여자를 동원하고 무임 승차자를 줄이는 문제가 중요해진다. 자원동원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에 따르면 집합행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일정 정도의 사람들을 동원하여 소위 임계대중(critical mass)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시공간적 제약의 완화, 익명성과 탈개인화, 사람들의 관계의 망이라는 인터넷의 조건은 참여자의 동원을 용이하게 하지만 이것만으로 집합행동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충분한 사람들이 참여하여 성공적인 결과가 예상된다는 것을 잠재적인 참여자들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참여자 수가 적어 성공여부가 불투명한 집합해동에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참여를 꺼릴 것이기 때문이다. 사이버 공간의 기록성과 양방향성은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해준다. 전자적 기록을 통해 참여자의 수와 범위를 알 수 있고 자신이 참여한 결과도 바로 드러나기 때문에 참여를 위한 동기부여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
2) 집합행동의 채널 특성
인터넷에서 집합행동은 주로 공개적인 채널을 통해 표출된다. 집합행동과 관련된 메시지는 내용이 공개적일 뿐만 아니라 형식도 메신저나 채팅을 통해 전달되기에는 비교적 긴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교적 간단한 유언비어나 도회전설은 공개적인 게시판뿐만 아니라 체인레터나 사적인 전자우편 등과 같은 비공개적 채널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
인터넷의 익명성은 집합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공개적인 채널에서 익명성의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난다. 인터넷의 익명성은 사람들이 정치적 보복이나 경제적 불이익을 받지 않으면서 집합행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해 준다. 반면 익명성에 수반되는 탈개인화 효과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식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집합행동의 규모를 키우거나 과격화시키는 경향도 있다.
인터넷에서의 여론형성과 전파 과정에서 정보원의 개방이 소수집단이나 약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터넷에서의 집합행동은 그 전에는 제대로 표출될 수 없었던 개인들과 소수집단의 이해를 대변해 줄 수 있다. 또한 여론의 형성과 전파과정에서 정보의 내용에 대한 문지기의 결여가 다수에게 표현의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정보의 전반적인 질과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측면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집합행동에서의 문지기 결여는 지나치게 다양한 주장과 요구가 손쉽게 분출됨으로써 사회적인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