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완용에 대한 미화
1.이완용의 부(富)와 사생활에 대한 미화
2.이완용은 지당대신이 아니다?
3.일진회와의 공방에 대한 이완용의 진의(眞意)
4.이완용은 충신이다?
5.이완용과 독립협회
Ⅲ. 저자의 친일 사대주의적 사관
1.우리의 역사는 외세 추종적 역사의 연속?
2.기록문화가 부족한 우리 역사?
3.할복하면 애국자?
Ⅳ. 결 론※
참고문헌
Ⅱ. 이완용에 대한 미화
1.이완용의 부(富)와 사생활에 대한 미화
2.이완용은 지당대신이 아니다?
3.일진회와의 공방에 대한 이완용의 진의(眞意)
4.이완용은 충신이다?
5.이완용과 독립협회
Ⅲ. 저자의 친일 사대주의적 사관
1.우리의 역사는 외세 추종적 역사의 연속?
2.기록문화가 부족한 우리 역사?
3.할복하면 애국자?
Ⅳ.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없다고 하는 것이 올바른 판단이 아니다. 그렇게 본다면 당시 죽지 않고 그 후 까지 독립운동을 한 김구 등 많은 애국지사들은 무엇으로 평가해야 한단 말인가? 계속 나오는 말이지만 참으로 편협한 시각이 아닐 수 없다.
Ⅳ. 결 론
책을 읽기 시작해서 덮을 때 까지 참으로 많은 울분을 느꼈다. 나라가 망하게 된 상황과 또 이완용이라는 인물이 탄생하게 된 역사도 역사이거니와 그러한 인물을 재평가하고 우리의 앞날을 위해 진정한 자기반성을 통해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책의 내용이 참 개탄할 지경이다.
물론 저자가 말하려는 민족비극의 모든 책임을 이완용에게만 묻지 말고 진정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다른 매국노들에게도 공정한 역사의 심판을 내려야 한다는 주장에는 공감한다. 하지만 그것을 말하는 과정에서 위에서 지적한 듯이 수많은 부분에서 공감할 수 없는 내용들이었고 오히려 이완용을 미화하려는 듯한 느낌과 저자 자신이 친일 사대주의에 빠져 있지 않나하는 강한 의구심이 들었다. 심지어 이완용은 훌륭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끊임없이 독자에게 강조한다는 느낌마저 들었다. 한국 사회를 비판하기에 앞서 저자 자기 자신의 비판이 필요할 것이다. 역사가 중요한 이유는 역사로부터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교훈을 얻기 때문이라 할 것인데, 그 전제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사실인식과 평가일 것이다. 그러나 윤덕한의 "애국과 매국의 두 얼굴 이완용 평전"은 객관적임을 지나쳐 한 쪽 방향으로 경도되어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참 고 문 헌
한명근, 통감부 시기 이완용 평전, 국학자료원, 2000年
Ⅳ. 결 론
책을 읽기 시작해서 덮을 때 까지 참으로 많은 울분을 느꼈다. 나라가 망하게 된 상황과 또 이완용이라는 인물이 탄생하게 된 역사도 역사이거니와 그러한 인물을 재평가하고 우리의 앞날을 위해 진정한 자기반성을 통해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책의 내용이 참 개탄할 지경이다.
물론 저자가 말하려는 민족비극의 모든 책임을 이완용에게만 묻지 말고 진정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다른 매국노들에게도 공정한 역사의 심판을 내려야 한다는 주장에는 공감한다. 하지만 그것을 말하는 과정에서 위에서 지적한 듯이 수많은 부분에서 공감할 수 없는 내용들이었고 오히려 이완용을 미화하려는 듯한 느낌과 저자 자신이 친일 사대주의에 빠져 있지 않나하는 강한 의구심이 들었다. 심지어 이완용은 훌륭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끊임없이 독자에게 강조한다는 느낌마저 들었다. 한국 사회를 비판하기에 앞서 저자 자기 자신의 비판이 필요할 것이다. 역사가 중요한 이유는 역사로부터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교훈을 얻기 때문이라 할 것인데, 그 전제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사실인식과 평가일 것이다. 그러나 윤덕한의 "애국과 매국의 두 얼굴 이완용 평전"은 객관적임을 지나쳐 한 쪽 방향으로 경도되어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참 고 문 헌
한명근, 통감부 시기 이완용 평전, 국학자료원, 2000年
추천자료
매국노의 대명사 이완용
이완용 다시보기
[일제시대][친일파][친일파 의열투쟁]일제시대 친일파의 배경과 활동 및 친일파 의열투쟁 고...
[친일파][친일논리][친일파 청산][친일파 처단][이완용][송병준][일진회][김활란][모윤숙][의...
이완용 논문(Anti 이완용)
근현대사_보고서
[평가학점 A 제로] 감상문) 길들이기와 편가르기를 넘어 `한국 근대 100년
[근현대사, 근대 현대사]근현대사(근대 현대사) 인물 이범석, 근현대사(근대 현대사) 인물 이...
[일제강점기]일제강점기(식민지시대, 일제시기)의 방송도입, 무역변화, 일제강점기(식민지시...
약산 김원봉, 강제 연행, 징용 및 징병 등으로 인한 재일 한국인
동아시아근현대사2권(독후감)
근현대사 - 일본의 역사왜곡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해서
근현대사의 쟁점 일제 식민지정책
(세계의역사 공통) 베트남 전쟁에 관한 인터넷 자료를 10건 이상 확보하여 정독한 후, 베트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