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序 說
2. 本 論
(1) 조선시대의 ‘교육’의 개념
(2) 조선시대의 교육자
3. 結 論
2. 本 論
(1) 조선시대의 ‘교육’의 개념
(2) 조선시대의 교육자
3. 結 論
본문내용
대학에 다수의 학생들을 지학시켜 보다 안정된 직장을 찾도록 해주는 구실로, 교육 자체가 목적이 수단시 되어버린 사회문화적 환경이 가장 큰 문제이다. 사람의 인격적 정신적인 완성도 보다는 학벌이 중시되고, 학벌에 앞서서 경제적 배경이 중시되는 풍조 자체가 이러한 폐단들은 만들어 가고 있다. 더불어 자녀들의 진학을 위한 사교육비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사회풍조를 잘 반영하고 있다. 최근 황우석 등 각 분야의 여러 인제들이 대한민국의 위상을 세계로 떨치면서 인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함에도 정작 그러한 인재들을 배출하기 위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 공과대학 경시풍조와 더불어 인문계열에 대한 과잉열기를 보아도 ‘인재’를 키우기 보다는 ‘먹고살만한 사람들’을 만들어 가는 데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하다 보니 인재를 만들어가는 핵심에 있는 교육자들도 인재를 만들기 보다는 진학을 위주로한 수업에 치중하게 되고 천편일률적으로 같은 내용으로 같은 수준의 입시를 가르칠 뿐이다. 오늘날 ‘인재’라는 것이 어쩌면 좋은 대학을 들어갈 수 있는 조건을 가진 ‘수험생’ 내지는 많은 재화를 벌어들일 수 있는 ‘사업가’를 지칭하는 지도 모르겠다. 학교를 운영하는 자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좋은 ‘맞춤형 인재’를 많이 배출해내는 교육자가 훌륭한 교육자로 인정받고, 값어치 있는 교육을 하는 자도 맞춤형 인재의 배출에 실패하면 능력 없는 교육자로 전락해버린다. 오늘날 교육의 참된 의미를 되찾기 위해서는 선조들의 훌륭한 정신과 제도를 본받아서, 가르침에도 차등을 두어 가르침에 뛰어난 자는 더욱더 대우해주어 보다 좋은 가르침을 베풀 수 있도록 배려해주고, 가르침에 뛰어나지 못하거나 가르침을 게을리 하는 자는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가르침에서 배제하거나 스스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사회적인 교육풍토가 학벌위주 입시위주가 아닌 진정한 인재를 만들어 가고 다방면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가야 하겠다. 옛 선조들이 보여 주었던 교육이란 것이 오늘날에 비하여 오히려 체계적이고 진보하였다는 생각이 들고, 이러한 선조들의 가르침을 고스란히 물려받아 발전시키지는 못할지언정 그 고유한 의미와 방법이 점점 퇴색되는 가는 현실이 참으로 안타깝다.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이라는 말은 그냥 책속에서 읽고 암기하여 시험답안지에 쓰라고 있는 말이 아니다. 선조들의 뛰어남은 배워 그것을 더욱 빛나게 하는 것이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사명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조선시대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책정리
'조선시대의 농민'에 관한 보고서
[조선시대][조선][공예][회화][성리학][양명학][농민통제][신분제도]조선시대(조선) 공예, 조...
언간(諺簡)으로 알아본 조선시대 생활사
[조선]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4부 학당, 조선시대 관학 교...
[교육사상가]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이(성리학), 조선시...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향교,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 조선시...
[조선시대][조선시대 문학][조선시대 회화][조선시대 건축][조선시대 공예][조선시대 음악][...
[조선시대 미술][조선시대 그림][조선시대 서예][조선시대 풍속화]조선시대 미술의 의의, 조...
[조선시대 문학][여성가사][시조][한문단편][청구야담]조선시대 문학의 특징, 조선시대 문학 ...
[사회복지발달과정] 우리나라 사회복지발달과정에서의 조선시대 구제사업에 대해 서술하시오.
[기녀(기생), 기녀(기생) 유래, 기녀(기생) 기원, 기녀(기생) 치장과 생계, 기녀(기생) 사회...
무원록을 통해 살펴본 조선시대 과학수사
전통문화의 성 [조선시대 춘화 형성배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