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물이란
2. 물의 화학적 분류
3. 물의 성질 및 특성
4. 자정작용
2. 물의 화학적 분류
3. 물의 성질 및 특성
4. 자정작용
본문내용
풍부한 자원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를 물의 행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주공간에서 지구를 내려다 보면 파란색이 가장 많다. 그것은 물이 많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지구가 생겨났을 때의 물이 한 방울도 더 늘거나 줄어들지 않았다고 믿고 있다. 지구에 있는 물의 양은 13억 8천5백만㎦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이 중 바닷물이 97%인 13억 5 천만㎦이고 나머지 3%인 3천5백만㎦이 민물로 존재한다.
민물 중 69% 정도인 2천4백만㎦은 빙산, 빙하 형태이고 지하수는 29%인 1천만㎦ 정도이며 나 머지 2%인 1백만㎦가 민물호수나 늪, 강, 하천 등의 지표수가 대기층에 있다. 이 2%의 물 가운데 21% 정도가 아시아주에, 26% 정도가 미국, 캐나다 등의 북미주에, 28% 정도가 아프리카주에 있으며 나머지 25%의 물은 이 3대주를 제외한 곳에 있다. 하천이나 강에 있는 물의 양은 1,200㎦로서 지구 총수자원의 0.0001%이므로 전체로 보아 매우 적은 양이다. 그러나 수자원 이용측면에서는 이것이 가장 귀중하다.
<자료:「자연의 물 인간의 물」 1994,최영박>
☞ 물 1㎦ = 10억t, 물 1㎥ = 1t = 1,000l, 물 1㎤ = 1cc = 1g
민물 중 69% 정도인 2천4백만㎦은 빙산, 빙하 형태이고 지하수는 29%인 1천만㎦ 정도이며 나 머지 2%인 1백만㎦가 민물호수나 늪, 강, 하천 등의 지표수가 대기층에 있다. 이 2%의 물 가운데 21% 정도가 아시아주에, 26% 정도가 미국, 캐나다 등의 북미주에, 28% 정도가 아프리카주에 있으며 나머지 25%의 물은 이 3대주를 제외한 곳에 있다. 하천이나 강에 있는 물의 양은 1,200㎦로서 지구 총수자원의 0.0001%이므로 전체로 보아 매우 적은 양이다. 그러나 수자원 이용측면에서는 이것이 가장 귀중하다.
<자료:「자연의 물 인간의 물」 1994,최영박>
☞ 물 1㎦ = 10억t, 물 1㎥ = 1t = 1,000l, 물 1㎤ = 1cc = 1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