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파트의 뒷산을 산책코스로 이용하여 아이들에게 또 하나의 실외놀이를 제공해 주고 있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공동으로 사용하는 중앙 거실에 유아의 특성상 구석진 곳을 좋아하는 것을 고려하여 혼자만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놓은 것에 감탄을 받게 되었다.
누구나 그런 생각은 할 수 있지만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일은 아니기 때문에 정말 유아를 위한 세심한 배려를 곳곳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들간의 환경을 관찰함에 있어서 참관을 하는 날이 특기교육이 있는 날이어서 지하 강당에서 수업을 하고 있었으므로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원장선생님의 말씀으로 인해 수업시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관찰할 수가 없었고, 산책을 갔다 들어오는 아이들과 선생님이 있었는데 활동실로 들어가면서 아이들이 평소와 다른 행동을 했는지 교사가 ‘애들아 선생님들이 너희들이 얼마나 잘 하는지 구경왔어, 그러니까 선생님 말씀 잘 들어야 돼. 얘들이 평소랑 왜 다른 행동을 하지?’라는 말을 했을 때, 유아들은 우리들에게 별 관심을 보이지 않은 것 같은데 교사가 오히려 더 관심을 보이는 것 같아서 지난주 강의시간에 본 video 자료에 의하면 ‘유능한 교사의 행동으로서 적절한가?’라는 의구심과 그런 상황에서 ‘내 자신이라면 어떻게 아이들에게 설명했을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다.
서초구에서 수녀회에 위탁하여 운영하고 있는「서초 성모어린이집」은 유아들의 교육환경 면에서 최상의 교육기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말을 교대 역에서 학우들의 이야기를 통해 들었다.
280여명의 유아들의 교육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인적자원인 교사의 노력과 애정이 얼마나 중요한 지에 대해 참관 수업을 통해 느낄 수 있었고, 각 교사 한 명 한 명이 유아중심의 교육환경을 제공해 주겠다는 노력이 실천으로 행해질 때 우리의 유아들은 자신이 자라는 가정과 별개의 개념의 공간(환경)으로 인식하여 생길 수 있는 불안감 등 저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취하여 보다 자유롭게 공간(유아교육기관)을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러한 면을 고려함에 있어 교사가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의 그 역할은 유아에게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는 촉매제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기에 교사의 책임은 더욱 막중하다 할 것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방관하는 자세에서 벗어나 소신(철학)을 가지고 유아중심의 교육기관을 구성하는 것이 유아중심의 교육을 행하는 관건일 것이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공동으로 사용하는 중앙 거실에 유아의 특성상 구석진 곳을 좋아하는 것을 고려하여 혼자만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놓은 것에 감탄을 받게 되었다.
누구나 그런 생각은 할 수 있지만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일은 아니기 때문에 정말 유아를 위한 세심한 배려를 곳곳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들간의 환경을 관찰함에 있어서 참관을 하는 날이 특기교육이 있는 날이어서 지하 강당에서 수업을 하고 있었으므로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원장선생님의 말씀으로 인해 수업시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관찰할 수가 없었고, 산책을 갔다 들어오는 아이들과 선생님이 있었는데 활동실로 들어가면서 아이들이 평소와 다른 행동을 했는지 교사가 ‘애들아 선생님들이 너희들이 얼마나 잘 하는지 구경왔어, 그러니까 선생님 말씀 잘 들어야 돼. 얘들이 평소랑 왜 다른 행동을 하지?’라는 말을 했을 때, 유아들은 우리들에게 별 관심을 보이지 않은 것 같은데 교사가 오히려 더 관심을 보이는 것 같아서 지난주 강의시간에 본 video 자료에 의하면 ‘유능한 교사의 행동으로서 적절한가?’라는 의구심과 그런 상황에서 ‘내 자신이라면 어떻게 아이들에게 설명했을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다.
서초구에서 수녀회에 위탁하여 운영하고 있는「서초 성모어린이집」은 유아들의 교육환경 면에서 최상의 교육기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말을 교대 역에서 학우들의 이야기를 통해 들었다.
280여명의 유아들의 교육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인적자원인 교사의 노력과 애정이 얼마나 중요한 지에 대해 참관 수업을 통해 느낄 수 있었고, 각 교사 한 명 한 명이 유아중심의 교육환경을 제공해 주겠다는 노력이 실천으로 행해질 때 우리의 유아들은 자신이 자라는 가정과 별개의 개념의 공간(환경)으로 인식하여 생길 수 있는 불안감 등 저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취하여 보다 자유롭게 공간(유아교육기관)을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러한 면을 고려함에 있어 교사가 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의 그 역할은 유아에게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는 촉매제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기에 교사의 책임은 더욱 막중하다 할 것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방관하는 자세에서 벗어나 소신(철학)을 가지고 유아중심의 교육기관을 구성하는 것이 유아중심의 교육을 행하는 관건일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