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노인의 치매의 유병률
2. 치매의 원인
3. 알쯔하이머병의 위험요인과 원인
4. 혈관성치매의 위험요인과 원인
5. 치매의 임상 양상
6. 치매의 진단
7. 치료
8. 결론
2. 치매의 원인
3. 알쯔하이머병의 위험요인과 원인
4. 혈관성치매의 위험요인과 원인
5. 치매의 임상 양상
6. 치매의 진단
7. 치료
8. 결론
본문내용
과 평가를 위하여 많은 척도들이 개발되어 있다. 특히 행동심리증상을 평가하기 위한 대표적인 척도로 Behave-AD(Reisberg 등, 1996)와 Neuropsychiatric Inventory(NPI:
Cumming 등, 1994)를 들 수 있으며 초조 증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Cohen-Mansfield Agitation Inventory, 우울증을 평가하기 위하여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Alexopoulos 등, 1988)등이 널이 사용되고 있다.
7. 치료
치료가 가능한 원인을 발견하였을 경우 근본적인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우선이다. 혈관성 치매의 경우에는 위험요인을 통제하여야 한다. 그 외에 지지적 내과적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환자와 가족들을 대하여 정서적으로 지지하여야 한다.
약물 치료에는 인지 기능을 회복시키는 약물과 정신 증상을 가라앉히는 약물로 대별할 수 있다.
(1) 인지 기능에 관한 약물
많은 약물들이 인지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알쯔하이머병에서 낮아진 아세틸콜린을 증강시켜 기억력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콜린성 제재가 시도되었다. 그 중에서도 tetrahydrominoacridine(Tacrine)이라는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가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어 현재 임상에서 사용 중이다. 그러나 Tacrine은 작용시간이 짧고 간독성이 심하기 때문에 Aricept(donepezil), Exelon(rivastigmine), Reminyl(Galantamine)과 같은 새로운 acetylcholin- esterase inhibitor가 개발되어 사용중이다(표7). 이러한 그 외에도 뇌대사 촉진제, 칼슘이온 채널 차단제 등이 실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비스테로이드계의 소염제와 항상화제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표8). 최근의 경향은 마일로이드 단백질의 과다 생성을 억제하고 침착을 막기 위한 약물을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중이다. 혈관성 치매 환자에게는 뇌혈관에서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는 항혈소판제재와 뇌대사 촉진제들이 처방된다.
표7. Cholinesterase Inhibitors
tetrahydroaminoacridine
tacrine
Cognex
80-160㎎/d
benzylliperidine
donepezil
Aricept
5-10㎎/d
carbamates
rivastigmine
Exelon
5-12㎎/d
organophosphrus
metrifonate
Promem
36-60㎎/d
tertiary alkaloids
galantamine
Reminyl
24-32㎎/d
표8. 현재 개발 중인 항치매 약물
소염제
Cox-1/Cox-2
inhibitors
NMDA modulator
Memantine
항상화제
Idebenone
Nicotinic receptor
modulator
GTS-21
Glial modulator
Propentofylline
Nootropics
Neotrofin(AIT092)
(2) 정신증상에 관한 약물
알쯔하이머병은 여러 가지 정신증상 및 행동 증상을 일으킨다. 실제로 환자의 가족이나 보호자를 괴롭히는 것을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 기능의 감퇴보다도 망상, 환각, 배회 및 방황, 공격적 행동과 같은 정신 증상들이다. 혈관성치매나 파킨슨병에 의한 치매는 우울증을 동반하는 수가 많다. 이러한 정신 증상이나 행동의 장애의 많은 부분들이 향정신성 약물로 조절될 수 있다
1) 항정신병 약물
항정신병 약물은 주로 환자가 망상이나 환각과 같은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거나 방황과 배회, 공격적이고 적대적 행동을 보일 때 사용된다. 저역가의 항정신병 약물은 저혈압과 항콜린성 부작용 등을 수반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피하고 haloperidol과 같은 고역가의 항정신병 약물이나 최근에 개발되어 사용되는 risperidone과 같은 약물을 소량 투여한다.
2) 항불안제
환자가 불안, 초조를 보이면 benzodiazepine계통의 항불안제를 사용한다. 이 중에서도 반감기가 짧은 약물을 선택하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항우울제
많은 알쯔하이머병 환자에게 우울증을 수반하고 있고 항우울제를 투여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항우울제로서는 삼환계 항우울제가 대표적이지만 노인에게는 부작용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Trazodone이나 최근에 개발된 specific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RI)가 처방된다.
4) 수면제
알쯔하이머병 환자에게 주간리듬에 장애가 와서 밤에 잠을 못 이루고 여러 가지 정신 증상이나 행동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수면제를 사용하여 환자가 편안한 잠을 이루도록 도와줄 수 있다.
(3) 치매 환자의 일반적인 치료 원칙
치매 환자들은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하여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가능한 한 장기요양시설에 입원하기보다는 집에서 치료하는 것이 좋다.
2) 환자를 가능한 한 자유스러운 분위기에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환자의 주변은 단순하고 변함이 없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4) 규칙적이고 체계적인 생활 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5) 환자에게 활동을 권장하되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6) 항시 환자의 안전을 고려한다.
7) 치매 환자의 가족들은 충분한 휴식을 취하여야 한다. 환자를 주간 간호프로그램에 참석시키거나 휴식 간호 시설에 얼마간 맡겨 잠시 부담감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 좋다.
8) 가족들이 서로 환자의 간호와 관리에 대한 책임을 분담하여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하여야 한다.
9)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기면 치매를 전문의로 하는 정신과 의사와 상담을 통하여 즉시 풀도록 한다.
8. 결론
치매는 인지기능의 저하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행동 심리 증상을 나타내 가족들이나 보호자들에게 심각한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행동 심리 증상들은 향정신성 약물을 복용함으로써 현저히 경감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행동 심리 증상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인지 기능뿐만 아니라 행동 심리 증상에도 효과를 나타내는 항치매 약물의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Cumming 등, 1994)를 들 수 있으며 초조 증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Cohen-Mansfield Agitation Inventory, 우울증을 평가하기 위하여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Alexopoulos 등, 1988)등이 널이 사용되고 있다.
7. 치료
치료가 가능한 원인을 발견하였을 경우 근본적인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우선이다. 혈관성 치매의 경우에는 위험요인을 통제하여야 한다. 그 외에 지지적 내과적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환자와 가족들을 대하여 정서적으로 지지하여야 한다.
약물 치료에는 인지 기능을 회복시키는 약물과 정신 증상을 가라앉히는 약물로 대별할 수 있다.
(1) 인지 기능에 관한 약물
많은 약물들이 인지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알쯔하이머병에서 낮아진 아세틸콜린을 증강시켜 기억력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콜린성 제재가 시도되었다. 그 중에서도 tetrahydrominoacridine(Tacrine)이라는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가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어 현재 임상에서 사용 중이다. 그러나 Tacrine은 작용시간이 짧고 간독성이 심하기 때문에 Aricept(donepezil), Exelon(rivastigmine), Reminyl(Galantamine)과 같은 새로운 acetylcholin- esterase inhibitor가 개발되어 사용중이다(표7). 이러한 그 외에도 뇌대사 촉진제, 칼슘이온 채널 차단제 등이 실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비스테로이드계의 소염제와 항상화제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표8). 최근의 경향은 마일로이드 단백질의 과다 생성을 억제하고 침착을 막기 위한 약물을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중이다. 혈관성 치매 환자에게는 뇌혈관에서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는 항혈소판제재와 뇌대사 촉진제들이 처방된다.
표7. Cholinesterase Inhibitors
tetrahydroaminoacridine
tacrine
Cognex
80-160㎎/d
benzylliperidine
donepezil
Aricept
5-10㎎/d
carbamates
rivastigmine
Exelon
5-12㎎/d
organophosphrus
metrifonate
Promem
36-60㎎/d
tertiary alkaloids
galantamine
Reminyl
24-32㎎/d
표8. 현재 개발 중인 항치매 약물
소염제
Cox-1/Cox-2
inhibitors
NMDA modulator
Memantine
항상화제
Idebenone
Nicotinic receptor
modulator
GTS-21
Glial modulator
Propentofylline
Nootropics
Neotrofin(AIT092)
(2) 정신증상에 관한 약물
알쯔하이머병은 여러 가지 정신증상 및 행동 증상을 일으킨다. 실제로 환자의 가족이나 보호자를 괴롭히는 것을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 기능의 감퇴보다도 망상, 환각, 배회 및 방황, 공격적 행동과 같은 정신 증상들이다. 혈관성치매나 파킨슨병에 의한 치매는 우울증을 동반하는 수가 많다. 이러한 정신 증상이나 행동의 장애의 많은 부분들이 향정신성 약물로 조절될 수 있다
1) 항정신병 약물
항정신병 약물은 주로 환자가 망상이나 환각과 같은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거나 방황과 배회, 공격적이고 적대적 행동을 보일 때 사용된다. 저역가의 항정신병 약물은 저혈압과 항콜린성 부작용 등을 수반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피하고 haloperidol과 같은 고역가의 항정신병 약물이나 최근에 개발되어 사용되는 risperidone과 같은 약물을 소량 투여한다.
2) 항불안제
환자가 불안, 초조를 보이면 benzodiazepine계통의 항불안제를 사용한다. 이 중에서도 반감기가 짧은 약물을 선택하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항우울제
많은 알쯔하이머병 환자에게 우울증을 수반하고 있고 항우울제를 투여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항우울제로서는 삼환계 항우울제가 대표적이지만 노인에게는 부작용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Trazodone이나 최근에 개발된 specific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RI)가 처방된다.
4) 수면제
알쯔하이머병 환자에게 주간리듬에 장애가 와서 밤에 잠을 못 이루고 여러 가지 정신 증상이나 행동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수면제를 사용하여 환자가 편안한 잠을 이루도록 도와줄 수 있다.
(3) 치매 환자의 일반적인 치료 원칙
치매 환자들은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하여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가능한 한 장기요양시설에 입원하기보다는 집에서 치료하는 것이 좋다.
2) 환자를 가능한 한 자유스러운 분위기에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환자의 주변은 단순하고 변함이 없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4) 규칙적이고 체계적인 생활 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5) 환자에게 활동을 권장하되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6) 항시 환자의 안전을 고려한다.
7) 치매 환자의 가족들은 충분한 휴식을 취하여야 한다. 환자를 주간 간호프로그램에 참석시키거나 휴식 간호 시설에 얼마간 맡겨 잠시 부담감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 좋다.
8) 가족들이 서로 환자의 간호와 관리에 대한 책임을 분담하여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하여야 한다.
9)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기면 치매를 전문의로 하는 정신과 의사와 상담을 통하여 즉시 풀도록 한다.
8. 결론
치매는 인지기능의 저하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행동 심리 증상을 나타내 가족들이나 보호자들에게 심각한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행동 심리 증상들은 향정신성 약물을 복용함으로써 현저히 경감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행동 심리 증상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인지 기능뿐만 아니라 행동 심리 증상에도 효과를 나타내는 항치매 약물의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추천자료
치매환자에 대한 손마사지 효과 연구 +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회상요법의 효과 + 손&#8...
치매노인 및 재가치매 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조사
치매케이스
[치매가족 부양부담과 지원]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및 스트레스 예방과 관리, 지원방안
[치매노인과 가족관계] 치매성 노인의 심리 및 대응방법
[심전도검사][뇌혈류검사][위내시경검사][방사선검사][요추검사][운동부하검사][치매검사][심...
[노인성질환, 피부질환, 퇴행성관절염, 피부암, 치매, 뇌졸중, 노인]노인성질환과 피부질환, ...
[노화][노화와 유전][노화와 치매][노화와 텔로미어][노화와 성욕구]노화의 원인, 노화의 이...
[사회복지] 치매에 관한 내용과 사회복지사가 치매 환자를 위해 해야 할 역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치매가족을 위한 개입 - 사회복지사로서 치매노인 보호자들의 부담을 ...
[치매와 언어장애] 치매환자의 언어장애
치매 어르신 케어 및 치매 예방법
노인, 지역 간호실습 알츠하이머 치매 케이스스터디 자료입니다. (치매간호과정)
치매의 예방 및 치료, 치매환자의 간호와 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