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 목적
■ 이론적 배경
■ 제한
Ⅱ. 본론
■ Process의 정의
■ Vragent에서 각 단계별 문제점 제기와 개선 방안
■ Link
Ⅲ. 결 론
■ 가정
■ 한계점
■ 목적
■ 이론적 배경
■ 제한
Ⅱ. 본론
■ Process의 정의
■ Vragent에서 각 단계별 문제점 제기와 개선 방안
■ Link
Ⅲ. 결 론
■ 가정
■ 한계점
본문내용
분에서 새 창이 필요할 것이다.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이유 이외에, 세부적인 정보를 원한다는 것은, 다시 말해 고객이 그 컨텐츠에 상대적으로 높은 관심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객의 의식을 환기시켜 주며, 보다 자세하게 정보 검색에 빠져들 수 있도록 새 창을 띄워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푸른 색 동그라미를 친 부분은, 해당 컨텐츠에 깊은 관심을 보일 소비자가 클릭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세부적인 사항을 검색한 후, 이에 대한 질문, 또는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것이며 이는 분명 Detail부분에서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중복해서 사용할 뚜렷한 이유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삭제하는 것이 일관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본다.
□ 클릭 수의 감소
클릭 수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프로세스가 원활하지 못하며,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번거로움을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반드시 클릭이 필요한 부분이 대부분이지만 다음과 같은 예에서 클릭은 매우 불필요한 요소라고 분석된다.
Calendar 부분을 클릭해야만 상세한 날짜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달력의 경우, 고객에게 클릭을 요구할 만큼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즉, 아래에 클릭을 요구하는 다른 정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는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클릭은 상당히 불필요한 절차가 된다. 따라서 마우스를 아이콘 위에 가져갈 때, 자동으로 달력이 표시되는 정도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Ⅲ. 결 론
고객 만족은 회사의 흥망에 있어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고객 만족을 위해 기업은 제품과 서비스, A/S, 경영 전략 등을 통합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일정한 규모의 투자와 기간이 필요로 한다. Vragent 의 경우, 이러한 관점에서 원천적으로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아주 작은, 그리고 사이트의 정체성을 보존하는 수준에서 사이트 내에서의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포커스를 두었고, 그 중 실현 가능한 것들을 제시하였다.
본 보고서에서는 사이트 내에서 소비자들의 원활한 프로세스를 위한 방법들을 강구하였다. 이에 대한 가정과 그를 뒷받침하는 근거를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가정 1 :
Rental 사이트를 이용하려고 하는 소비자들은 "보다 싼 값으로 적당한 숙소를 구하려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이들은 자신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Quality를 요구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Property 관리에 전념하기보다 사이트 내에서 고객 친숙도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 가정 2 :
소비자들이 사이트를 쉽게 이용하면 사이트에 대한 친숙도가 높아질 것이며, 이는 계약률, 재방문률의 증가로 나타날 것이다.
■ 가정 1에 대한 근거 :
앞서 제시한 표에 따르면, 고객들은 가격에 가장 민감한 반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재로 고객들로부터의 항의는 거의 없으며 이는 당 사이트 뿐만 아니라 다른 Rental 사이트에서도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다. 긍정적인 반응이 훨씬 많다.
■ 가정 2에 대한 근거 :
Flow에 대한 논문(Novak, Hoffman)
하지만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 한계점 1 :
특정한 이론적 근거 없이 강의 시간에 배운 내용들과 팀 내에서의 논의만을 통해 프로세스의 단계, 그리고 링크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설득력이 부족하다.
■ 한계점 2 :
최대한 객관적으로 분석하려 했으나 여러 부분에서 주관성이 많이 개입되었다.
■ 한계점 3 :
기술적인 근거가 부족하다. 메뉴 상자, 새 창 띄우기와 같은 경우, 그것을 뒷받침할 만 한 기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없을 뿐더러 가능한가의 여부 역시 판단할 수 없었다.
상대적으로 부족한 이론적 토대 객관적인 증거의 제시가 본 보고서의 가장 큰 결점이라고 본다. 그렇지만 강의 시간 습득한 지식과 그 중 본 보고서에서 접목시킬만한 것을 충분한 토의를 거쳐 적용하였으며 그 부분에 대한 출처를 밝히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가능한 한 소비자의 관점에서 당 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접근하였으며, 그렇게 발견한 많은 문제점들 중 개선 가능한, 또한 그 중에서도 본 보고서의 주제에 가장 근접하는 것들에 대해 현실적인 솔루션들을 제공하는 데에 주력하였다.
지금껏 언급된 방안들은 고객의 원활한 프로세스(5단계에 근거한)를 가능케 함으로써 사이트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그로 인한 계약률과 재방문률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성, 고객과의 상호 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고객 지향적인 방안들이 더욱 강구되어야 하며 이는 상당한 자원을 필요로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 + 논문 자료들
□ 「The Influence of Goal-Directed and Experiential Activities on Online
Flow Experiences」 T. Novak et al. 2003
□ 「Internet Advertising : Is Anybody Watching?」 X. Dreze et al. 2003
□ 「Signaling The Trustworthiness of Small Online Retailers」 S. Wang et al. 2004
■ ‘온라인 시대의 소비자 행동’ 박종원 B.E.S.T. 2003
■ Vragent.com http://www.vragent.com/rentals
■ Applied Travel Intelligence 'PhoCusWright' http://www.phocuswright.com/
■ 다나와 http://www.danawa.com/
■ 리치기피트 http://www.rich-gift.com/
■ 하나은행 http://www.hanabank.co.kr/
■ 네이버 지식In http://www.naver.com/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0101&docid=493742
또한 푸른 색 동그라미를 친 부분은, 해당 컨텐츠에 깊은 관심을 보일 소비자가 클릭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세부적인 사항을 검색한 후, 이에 대한 질문, 또는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것이며 이는 분명 Detail부분에서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중복해서 사용할 뚜렷한 이유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삭제하는 것이 일관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본다.
□ 클릭 수의 감소
클릭 수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프로세스가 원활하지 못하며,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번거로움을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반드시 클릭이 필요한 부분이 대부분이지만 다음과 같은 예에서 클릭은 매우 불필요한 요소라고 분석된다.
Calendar 부분을 클릭해야만 상세한 날짜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달력의 경우, 고객에게 클릭을 요구할 만큼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즉, 아래에 클릭을 요구하는 다른 정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는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클릭은 상당히 불필요한 절차가 된다. 따라서 마우스를 아이콘 위에 가져갈 때, 자동으로 달력이 표시되는 정도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Ⅲ. 결 론
고객 만족은 회사의 흥망에 있어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고객 만족을 위해 기업은 제품과 서비스, A/S, 경영 전략 등을 통합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일정한 규모의 투자와 기간이 필요로 한다. Vragent 의 경우, 이러한 관점에서 원천적으로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아주 작은, 그리고 사이트의 정체성을 보존하는 수준에서 사이트 내에서의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포커스를 두었고, 그 중 실현 가능한 것들을 제시하였다.
본 보고서에서는 사이트 내에서 소비자들의 원활한 프로세스를 위한 방법들을 강구하였다. 이에 대한 가정과 그를 뒷받침하는 근거를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가정 1 :
Rental 사이트를 이용하려고 하는 소비자들은 "보다 싼 값으로 적당한 숙소를 구하려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이들은 자신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Quality를 요구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Property 관리에 전념하기보다 사이트 내에서 고객 친숙도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 가정 2 :
소비자들이 사이트를 쉽게 이용하면 사이트에 대한 친숙도가 높아질 것이며, 이는 계약률, 재방문률의 증가로 나타날 것이다.
■ 가정 1에 대한 근거 :
앞서 제시한 표에 따르면, 고객들은 가격에 가장 민감한 반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재로 고객들로부터의 항의는 거의 없으며 이는 당 사이트 뿐만 아니라 다른 Rental 사이트에서도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다. 긍정적인 반응이 훨씬 많다.
■ 가정 2에 대한 근거 :
Flow에 대한 논문(Novak, Hoffman)
하지만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 한계점 1 :
특정한 이론적 근거 없이 강의 시간에 배운 내용들과 팀 내에서의 논의만을 통해 프로세스의 단계, 그리고 링크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설득력이 부족하다.
■ 한계점 2 :
최대한 객관적으로 분석하려 했으나 여러 부분에서 주관성이 많이 개입되었다.
■ 한계점 3 :
기술적인 근거가 부족하다. 메뉴 상자, 새 창 띄우기와 같은 경우, 그것을 뒷받침할 만 한 기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없을 뿐더러 가능한가의 여부 역시 판단할 수 없었다.
상대적으로 부족한 이론적 토대 객관적인 증거의 제시가 본 보고서의 가장 큰 결점이라고 본다. 그렇지만 강의 시간 습득한 지식과 그 중 본 보고서에서 접목시킬만한 것을 충분한 토의를 거쳐 적용하였으며 그 부분에 대한 출처를 밝히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가능한 한 소비자의 관점에서 당 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접근하였으며, 그렇게 발견한 많은 문제점들 중 개선 가능한, 또한 그 중에서도 본 보고서의 주제에 가장 근접하는 것들에 대해 현실적인 솔루션들을 제공하는 데에 주력하였다.
지금껏 언급된 방안들은 고객의 원활한 프로세스(5단계에 근거한)를 가능케 함으로써 사이트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그로 인한 계약률과 재방문률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성, 고객과의 상호 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고객 지향적인 방안들이 더욱 강구되어야 하며 이는 상당한 자원을 필요로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 + 논문 자료들
□ 「The Influence of Goal-Directed and Experiential Activities on Online
Flow Experiences」 T. Novak et al. 2003
□ 「Internet Advertising : Is Anybody Watching?」 X. Dreze et al. 2003
□ 「Signaling The Trustworthiness of Small Online Retailers」 S. Wang et al. 2004
■ ‘온라인 시대의 소비자 행동’ 박종원 B.E.S.T. 2003
■ Vragent.com http://www.vragent.com/rentals
■ Applied Travel Intelligence 'PhoCusWright' http://www.phocuswright.com/
■ 다나와 http://www.danawa.com/
■ 리치기피트 http://www.rich-gift.com/
■ 하나은행 http://www.hanabank.co.kr/
■ 네이버 지식In http://www.naver.com/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0101&docid=49374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