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주의 비평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조주의 비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구조주의의 사상적 계보
1-1. 러시아 형식주의
1-2. 구조언어학
1-3. 구조인류학
1-4. 실존주의, 역사주의에 대한 반기
2. 구조주의와 성서해석
2-1. 구조주의의 언어기능
2-2. 구조주의적 성서해석의 특징
3. 그레마스의 기호사상
3-1. 그레마스의 사각형 모델
3-2. 그레마스의 행역자 모델

Ⅲ. 결론

Ⅳ. 구조주의 비평에 의한 호세아 1장의 재해석
1. 도입부
2. 전개부
⑴ 자격시련 ⑵ 본격시련 ⑶ 영광시련
3. 종결부

Ⅴ. 가인과 아벨 이야기(창세기 4장)의 구조와 의미: 구조주의적 해석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접근하지 못하도록 경고하는 위험 신호로서 이스라엘에서 나환자들에게 규정해 준 특별한 옷차림과 같은 것이었다. 살인자는 죽음의 전염병에 걸린 자요, 땅과 주민을 죽이는 유독성의 분위기에 포위된 자이기 때문에, 그 자신이 전염병을 몰고 다니는 자와 다를 바가 없다. 그가 들어와서 땅을 밟기만 해도 대지는 시들어 황폐해진다.
성경의 본문에서 피살자의 피가 의인화된 표현, 즉 "피가 땅에서 울부짖는다"(4:10b)는 표현만큼 살인에 대한 극적인 표현은 드물다. 살인자에 의해 흘리게 된 피가 땅을 적심으로써 발생하는 땅의 오염은 단순히 더럽혀짐이 아니라, 그 땅이 입을 크게 벌리고 부르짖는 것으로 의인화(擬人化)되어 있다. 의인화하여 표현하자면, 피살자의 피로 오염되고 살인자의 죄악으로 손상된 땅은 더 이상 살인자가 뿌린 씨앗으로부터 싹이 트고 열매 맺는 것을 거부할 작정이다. 뿐만 아니라 땅에서부터 인간을 쫓아내고, 황량한 불모의 사막으로 몰아내어 집도 없고 굶주린 유랑인이 되어 헤매게 만들 작정이다.
아마도 살인자가 지니고 다니는 표시는 비록 그것이 죽음에 대한 피의 보상은 아니라 하더라도, 피살자의 피값을 충분히 받았다는 증거물로서의 영향력은 충분히 있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피살자의 망령이 더 이상 그를 괴롭힐 권리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표시인 것이다. 불행하게도 살인자가 지니게 될 무서운 응보에 대한 공포감―죄를 지었기 때문에 벌을 받는다는 생각은 곧 죄를 지으면 벌을 받아야 한다는 것과 다르지 않다―을 진정시킬 수 있는 제사 의식은 고대사회에 없었다. 결국 하나님이 가인에게 주신 징표는 그를 죽은 자의 유령으로부터 해방시켜 주는 하나의 약속인 것이다. 완전한 사랑(약속)만이 두려움을 몰아낸다.
이러한 해석은 성경 본문의 가인 이야기를 명백한 모순에서부터 구조하는 장점이 있다: 통상적인 해석에 따르면 하나님이 가인에게 표를 주어 붙여 준 목적이 바로 그를 죽이려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그를 구출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창조 이야기에서 가인을 해칠 사람이 그의 부모를 제외하고 누가 더 있단 말인가?
) 이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⑴ 들짐승 혹은 아담과 상관없는 "아담 이전의 사람들(pre-Adamites)"(A. Dillmann), ⑵ 이미 존재하거나 후에 낳게 될 아담의 후손들 중의 하나라는 주장(Wesermann), ⑶ 아벨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꾀하는 아담의 다른 자손일 것이라는 견해(Wenham) 등으로 요약된다.
따라서 최초의 살인자 가인이 자신을 해칠 것을 두려워한 자는 살아있는 사람이 아니라, 이미 죽은 사람의 유령이었다고 가정함으로써 당시 사회 구조 속에서 제기될 수 있는 모순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Ⅵ. 참고문헌
강성열 외 2인. 설교자를 위한 성서해석학입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김준호 외. 구조주의. 서울: 고려원, 1992.
서인석. 성서와 언어과학. 서울: 성바오로출판사, 1984.
. "담론의 기호학적 분석과 성서연구." 호남신학대학교 해석학연구소 편. 성서 해석학 제2집. 한들, 1997.
소두영. 구조주의. 서울: 민음사, 1984.
이상섭. "러시아 형식주의 문학이론." 신비평과 형식주의. 서울: 고려원, 1991.
이형원. 구약성서비평학입문.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2.
장일선. 구약성서와 설교. 서울: 전망사, 1993.
전경갑.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인류학." 현대와 탈현대의 사회사상. 서울: 한길사, 1993.
정중호. "신명기 32:1-43과 호세아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구약논단1 (1995).
최기수. "구조비평을 통한 호세아 1장-3장 연구."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대학원, 2003.
최창모. "가인과 아벨 이야기(창세기 4장)의 구조와 의미: 구조주의적 해석." 신학사상 95 (1996.12).
하윤금. 그레마스의 기호학. 서울: 현대시상사, 1991.
앤 제퍼슨·데이비드 로비. 현대문학이론. 김정신 역. 서울: 문예출판사, 1991.
Anderson, G. W. "Hosea and Yahweh: God's Love Story." Review and Expositor 72. (Fall 1975).
Ferdinad de Saussure. 일반언어학 강의. 최승언 역. 서울: 민음사, 1990.
Greimas. A. J. 의미에 관하여. 김성도 역. 서울: 인간사랑, 1997.
Harris, R. Laird. Archer, Gleason L. & Waltke, Bruce K. " ." 구약원어신학사전. 번역위원회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86.
Hayes, J. H. and Hooker, P. K. 이스라엘과 유다의 역사. 정중호 역.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1.
Irvine, Stuart A. "The Threat of Jezreel(Hosea 1:4-5)." CBQ 57 (1995).
Kidner, Derek. "Sacrifice - Metaphors and Meaning." Tyndale Bulletin 33 (1982).
Kirk, G. S. Myth: Its Meaning and Fuctions in Ancient and Other Cultur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Leach, Edmund. Culture and Communic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Leach, Edmund. Structuralist Interpretations of Biblcal Myt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신인철 옮김. 성서의 구조 인류학. 서울: 한길사, 1996.
Levi-Strauss. C. 구조인류학. 김진욱 역. 서울: 종로서적, 1983.
Patte. D. 구조주의적 성서해석이란 무엇인가? 이승식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7.
Ricoeur, Paul. 악의 상징. 양명수 옮김. 서울: 문학과지성사, 1994.
Terence Hawkes. 구조주의와 기호학. 오원교 역. 서울: 신아사, 1982.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04.25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9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