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언
2. 본 문
1) 거시기생과 미시기생
2) 전염병으로 보는 역사
3) 근대성 비판
3. 결 어
# 참고문헌
2. 본 문
1) 거시기생과 미시기생
2) 전염병으로 보는 역사
3) 근대성 비판
3. 결 어
# 참고문헌
본문내용
초래하였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고도로 기계화되고 관료조직에 의해 운영되는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생산자와 소비자의 원만한 조정이 정착되지 않았으며 거시기생 차원에서의 관계가 제대로 자리잡지 못한 것처럼 미시기생의 차원에서도 지극히 안정적인 관계는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며, 인간과 질병의 관계는 앞으로도 큰 변화가 없이 지속될 것이다.
3. 결 어
지금까지 전염병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흔히 병균이 많다는 것은 비문명적인 것이며 많은 질병들이 문명의 발전이 가장 더딘 아프리카에서 시작되었다는 식의 도식에서 벗어나 이 책에서는 병균의 보유가 문명의 상징이라고 밝히고 있다. 세계의 사람들이 점차 많은 교류를 하고 근대의 시기로 넘어오면서 인간은 끊임없이 더 많은 수의 병균을 몸 속에 받아들여 내성을 키워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가장 많은 병균을 보유한 지역이 오히려 가장 안정화된 도시라는 법칙을 세울 수 있었다.
또한 근대에 들어오면서 의학자들의 많은 노력에 힘입어 예전과 같은 참혹한 전염병의 전파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도구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먹이사슬의 변화를 시도한 인류는 이후 항상 생태계의 변화와 통제를 시도하였으나 그러한 계획은 언제나 예측하지 못한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켰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결코 쉽지 않으리라는 결론을 내려본다.
▲참고문헌
- 월리엄 맥릴 지음, 허정 옮김, 『전염병과 인류의 역사』, 한울, 1998
- 주경철, 『역사의 기억, 역사의 상상』, 문학과 지성사, 1999
3. 결 어
지금까지 전염병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흔히 병균이 많다는 것은 비문명적인 것이며 많은 질병들이 문명의 발전이 가장 더딘 아프리카에서 시작되었다는 식의 도식에서 벗어나 이 책에서는 병균의 보유가 문명의 상징이라고 밝히고 있다. 세계의 사람들이 점차 많은 교류를 하고 근대의 시기로 넘어오면서 인간은 끊임없이 더 많은 수의 병균을 몸 속에 받아들여 내성을 키워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가장 많은 병균을 보유한 지역이 오히려 가장 안정화된 도시라는 법칙을 세울 수 있었다.
또한 근대에 들어오면서 의학자들의 많은 노력에 힘입어 예전과 같은 참혹한 전염병의 전파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도구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먹이사슬의 변화를 시도한 인류는 이후 항상 생태계의 변화와 통제를 시도하였으나 그러한 계획은 언제나 예측하지 못한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켰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결코 쉽지 않으리라는 결론을 내려본다.
▲참고문헌
- 월리엄 맥릴 지음, 허정 옮김, 『전염병과 인류의 역사』, 한울, 1998
- 주경철, 『역사의 기억, 역사의 상상』, 문학과 지성사, 1999
추천자료
아동건강교육 :) 전염병
보건소에서 관리하는 전염병
법정전염병 결핵
1교시 <의료관계법규> - 의료법,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전염병 예방법, 지역보건법
영유아기 전염병과 예방접종
한국건축의 역사 12장 도시 변화와 건축의 근대성 모색
[간호학] 미생물학 요약 및 문제 - 05. 숙주와 정상상재균총의 관계(정상상재균총의 중요성, ...
에스파냐(스페인)의 식민지 정복 (잉카제국, 아스테크 제국, 전염병)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영유아의 건강 - 건강의 개념, 영유아의 건강관찰 및 진단, ...
2015년 2학기 소비자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메르스, 전염병을 통해 본 보건문제와 대책)
[식품위생과 보건] 식품위생의 정의, 식품과 전염병, 식품과 기생충질환
[감염성질환] 감염성 질환관리 - 감염성 질병의 발병, 질병발생의 요인, 숙주의 저항성(선천...
영화감상문 - 아웃브레이크(outbreak)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 역학, 전염병, 메르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