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에서 관리하는 전염병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검사 - HBs Ag 양성
ㆍ관리방안 - 급성간염 : 안정, 고영양 식이 등
- 만성간염 : 안정, 식이요법, 인터페론 항바이러스제 치료 등
- B형 간염 백신 접종 : 모든 영유아
- 성인 예방접종 : 고위험군에게 접종
·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가족
· 혈액제제를 자주 수혈받아야 되는 환자
·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 주사용 약물 중독자
· 의료기관 종사자, 수용시설의 수용자 및 근무자
9) 풍진
ㆍ병원체 - 풍진은 풍진 바이러스(rubella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ㆍ증상 - 성인에서는 미열, 두통, 권태감, 비염이나 결막염 등의 전구 증상이 먼저 나타나고 이후 1-5일 뒤에 피부발진이 나타납니다. 피부발진은 좁쌀 같은 모양으로 얼굴에서부터 시작해서 수 시간 내에 온몸으로 퍼집니다. 어린이에게서는 전구 증상 없이 바로 발진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대개의 경우 자연 치유되는 질환입니다.
ㆍ전파경로 - 감염자의 비인두 분비액의 비말(공기)이나 직접 접촉에 의해 감염됩니다.
ㆍ진단검사 - 가장 흔하게 하는 진단적 검사는 혈액 내에 항체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그 외에도 비강 흡인물, 혈액, 뇌척수액, 소변 등에서 직접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도 있습니다.
ㆍ관리방안 - 중요한 것은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예방접종을 하는 것입니다.
이전에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다면 예방접종을 해야합니다. 가임기의 여성이 예방접종을 할 경우에는 예방접종 후 28일이 경과할 때까지는 임신을 피하도록 해야합니다. 이전에 풍진을 앓은 적이 있다면 예방접종은 할 필요가 없습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3.28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3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