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건강교육 :) 전염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6시간.
징후를 보이면 격리.
항생제 치료.
음식 조심, 손 씻기.
③ 접촉성 (직 · 간접) 전염병
전염성
질병
징후와 증세
감염인자
전이 방법
잠복기
전염 기간
조치 방법
결막염
눈의 흰자위가 충혈되며 붓고 가려움증과 함께 눈꼽이 낌.
박테리아
or
바이러스
직접적인 분비물 접촉
보균자의 물건을 통해
1~3일
활동성 감염체를 통해.
일주일에서 2주 3주 정도까지.
항생제 치료 후 24시간 격리. 자주 손을 씻고 장난감 소독 필요.
세포확장
바이러스
2세 이하 유아에게 자각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많음.
2세이상의 경우, 목이 붓고 아프며 쉽게 지치고 고열이 발생.
바이러스
침, 혈약, 소변, 모유,태내 감염.
채액을 통해 전염.
대략 4~8주
여러 달 병원체가 침과 소변에 존재할수 있으며, 감염 될수 있음.
격리시킬 필요는 없으며 기저귀를 간 후 항상 손을 씻고 소변과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함. 유아와 직접적으로 입을 맞춘다거나 수저와 식기 등을 같이 사용하는 것을 필해야 함.
손, 발, 입 주변의 질병
10세 이하 유아의 입술, 혹은 그 주위가 부르틈, 물집, 열 오름 손발 발진.
바이러스
침, 콧물, 배설물 등을 통해 감염.
3~6일
7~10일
7~8일간 아픈 유아를 격리시킬 것, 자주 씻고 특히 기저귀를 갈아 줄 때 청결한 것을 사용 할 것.
바이러스성 단순 포진
얼굴, 입술 그리고 다른 부위에도 하얗고 맑은 물집이 생기며, 수일 내로 딱지가 생기고 가라 앉음
바이러스
타액, 손, 성적 접촉
2주 이상
회복까지 7주간 바이러스가 침에 존재
특별한 치료법 없음.
자주 씻음.
보육기관에서 격리시킬 필요 없음.
농가진
얼굴, 귀, 코주위에 각질이 일고 습진과 같은 상황을 유발하는 피부 감염. 유아들 사이에 흔히 있을 수 있음.
박테리아
상처에서 직접 전이되는 것과 의복, 세수 수건을 통해 전이되는 간접 방법.
2~5일
10일까지도
가능
상처 난 부분이 다 나을 때까지 전이됨.
24~48시간 동안
항상제 치료를 받음
때까지 단체에서 제외시됨. 치료될 때까지 상처 부위를 밴드로 싸 줄것.
머릿니
육안으로 머릿니를 거의 볼수 없음.
하얀 서캐는 머리카락에서 볼 수 있음.
가장 흔한 증상은 머리 부분 특히나 귀나 목주변에 나타남.
머릿니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이나 개인 소지품, 즉 모사 빗, 의복을 통해 감염.
머릿니는 카펫, 가구, 자동차 시트, 의복 속에서 2~3주 기생
1주일간의 부화를 거쳐
8~10일간 성숙
머릿니는 알을 완전히 없애기 전까지는 감염된 사람에게 계속 남아 있음.
치료가 완치될 때까지 단체에서 제외. 처방받은 샴푸나 린스로 머리를 감아 머릿니의 알이 없어지게 함.
동전
버짐
머리, 피부, 손톱 등에 감염. 납작하고 퍼져 있는 동그런 모양의 동전 버짐이 생겨남.
발에 발생했을 경우 무좀임. 감염 된 손톱은 변색되고 부서지거나 분필가루처럼 하얗게 되어 부서짐.
곰팡이균
감염된 사람, 소지품, 샤워, 수영장, 의자를 통한 직 · 간접적인 감염. 개와 고양이도 감염될 수 있고 유아나 성인에게 감염시킬 수 있음.
4~10일
(무좀의 경우 알려지지 않음)
병균이 존재하는 한 잠복해 있음.
체육관, 수영장 등의 장소에서 타인과의 접촉을 피하도록 함.
살균 연고로 치료 후 단체로 돌아올 수 있음. 수영장이나 샤워장은 살균제로 철저히 깨끗하게 소독해야 함.

손가락, 소목, 팔꿈치, 정강이, 엉덩이에 살짝 패이거나 긴 선모양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
가려움이 매우 심함.
기생충
감염된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
4일 ~ 2주
전염되는 것이 아님.
매 8~10년마다 예방 접종을 해야 철저하게 예방해야 함.
④ 배설물과 구강으로 전이 되는 전염 병
전염성
질병
징후와 증세
감염인자
전이 방법
잠복기
전염 기간
조치 방법
이 질
갑작스런 구토 발생.
설사, 고열, 두통, 복부 통증, 대변에 피, 고름 또는 점액이 섞여있으며 어린 유아에게 치명적이 될 수 있음.
박테리아
배설물을 통한 변과 구강 전이, 또는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한 간접 전이.
1~7일
다양, 4주 이상 지속하거나, 매개체의 상태에 따라 더 이상 지속할 수 있다.
급성일 경우 유아를 격리.
대장균
설사 종종 혈변
박테리아
오염된 음식, 더러운 손을 통해 확산.
3~4일
10일 이상 지속 될 수도 있음.
설사의 지속기간 때문에 보통 여러 날 걸림.
설사가 멈출 때까지 유아 격리.
특히 화장실 갔다 온 후와 음식 준비 전에 깨끗이 손 씻는 습관.
뇌염
갑작스런 두통 발생, 고열, 경련, 구토, 목과 등 뻣뻣, 떨림, 의식 불명.
바이러스
모기에 물리거나 진드기에 의해 전이.
5~15일
사람은 전염하지 않음.
모기 번식 지역에 스프레이 방충제 사용.
공공교육
지아디아시스
증상이 거의 없음.
전형적 증상.
만성설사, 복부 경련, 복부 팽창, 창백,
체중감소, 피로
지아디아
기생충알
감염된 배설물과의 접촉을 통해서
평균 7~10일
5~25일 걸릴 수도 있음.
기생충이 대변 속에 존재하는 동안임.
설사가 끝날 때까지 격리, 화장실 사용 후, 음식 준비 전과 먹기 전에 손 씻기, 화장실 위생 상태 유지.
요충
직장 주변이 가렵기 때문에 과민하게 됨.
유아들 사이에 흔한 질병으로 특별히 증상이 없는 유아도 있음.
기생충
요염된 손을 통해서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염. 간접적으로는 오염된 음식, 의복, 수영장을 통해 전염.
기생충의 수명 기간 3~6주.
다시 감염 될 수 있음.
2~8주 혹은 감염균이 남아있는 한 계속 됨.
감염된 유아는 나을때 까지 단체 활동에서 제외.
감염되거나 감염되지 않은 가족 모두 한꺼번에 치료 받아야 함.
살모넬라
복통, 경련, 갑작스런 열, 심한 설사 (피가 나올 수도 있음), 메스꺼움, 구토가 5~7일간 지속됨.
박테리아
더러운 손, 오염된 음식, 감염된 동물.
12~36시간
급성 발병.
몇 달간 박테리아가 남아 있을 수 있음.
발병 원인을 파악.
설사를 하는 유아와 어른을 제외시켰다가 증상이 멎을 때 참여 시킴.
★ 참 고 자 료 ★
네이버 백과사전 :) www.naver.com
다음 백과사전 :) www.daum.net
영·유아를 위한 건강·안전·영양 :) 정민사 이기현 이상은 역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1.09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42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