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제국의동부지중해교역과투쟁,그리고교역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스만제국의동부지중해교역과투쟁,그리고교역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셀주크 투르크 시기

Ⅲ. 동부 지중해 진출과 해적들의 전성기

Ⅳ. 오스만 제국 시대의 동부 지중해
- 오스만 제국의 해상권 장악
- 오스만 제국의 해상권부흥
- 오스만 제국의 해상권몰락

Ⅴ. 지중해 지역의 교역품

Ⅵ. 결론

본문내용

의 위치였는데, 당시 로마에서 노예들은 가정교사부터 공공기관의 하급관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일을 하였다. 또한 고대 중국에서는 노예들을 거세하여 궁정에서 일을 하도록 했는데, 이것이 환관의 기원이 되었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지극히 이례적인 일이었고, 대다수의 노예들은 단순 노동력만을 제공하였다.
▲물론 노동력 뿐만 아니라 성적인 충족을 위해 노예매매를 했을 것이다.
노예의 또 다른 역할로는 전략적 가치를 들 수 있는데, 경쟁 상대인 국가의 구성원들을 강제로 잡아가서 그 사회의 노동력을 급격히 낮추어 그 국가에 대한 우위를 확보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런 방법은 고대국가에서 인구의 수가 곧 국력과 직결되었기에 굉장한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를테면 오스만투르크는 예니체리 라는 노예로 채워진 정예군단을 조직했는데, 크리스트교 출신의 노예들의 자식들을 용모와 재능으로 가려내어 어려서부터 전투병으로 훈련시켰다. 보다 정예화 하기위해 결혼을 금지시키기까지 한 예니체리 군단은 술탄의 호위대로 있다가 전투의 막바지에 나서서 적을 확실히 제압하는 역할을 했고 후방에서 겁을 먹고 후퇴하는 병사들을 죽여서 사기를 진작시키는 역할도 하였다.
노예무역은 이슬람세계에선 굉장히 보편적인 것 이었다. 노예무역은 20세기 중반 까지도 지속되었다. 또한 모리타니아 같은 일부 이슬람 지역은 현재도 노예제도가 암암리에 거행된다고 한다. 원래 이슬람 세계에서 노예란 존재 할 수 없었다. 이슬람세계에선 모든 인간이 평등하고 자유롭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슬람 국가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무슬림이건 기독교인이건 일련에 사건이 있다 하더라도 노예가 될 수 없었다. 자유민이 노예로 되는 경우는 지하드라 불리는 성전에서 붙잡힌 포로가 전리품으로서 인정되어 노예로서의 삶을 지냈다. 하지만 노예가 성전만을 통해 지속적인 공급이 어렵고 사회적인 수요 또한 이러한 노예 시장을 부추기게 되었다. 그렇다고 이슬람 내에서 새로운 노예를 만들기도 힘들뿐더러 구하기도 힘들었다. 따라서 새로운 노예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비 이슬람권 국가에서 노예를 데려와야 했는데, 그를 위한 노예 무역이 새로이 시작 되었다. 노예는 주로 유럽, 유라시아 스텝, 아프리카에서 유입되었다.
유럽
- 우리 익히 들어 알고있는 노예‘slave’의 어원은 슬라브 민족인데 이들은 아랍권이나 다른 유럽 지방 노예의 대부분을 차지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발칸으로 진출한 오스만 제국은 슬라브의 노예들을 공급 받았다. 또한 해적들로부터 노예를 공급받기도 했는데 특히 이들은 오스만 제국의 궁정으로 팔리는 서유럽 노예들의 값이 다른 지역의 노예보다 높았기 때문에 해적들의 표적이 되었다.
유라시아스텝
- 이곳에서 유입되는 노예는 터키인들이었다. 이슬람 초기부터 흑해 북부에서 중국과 몽골에 이르는 지역까지 노예들을 잡아 이슬람으로 넘겼다. 특히 이곳 이슬람 동부지방은 백인노예들이 주축을 이루었다. 이곳의 노예들은 주로 군사적 전략적인 목적으로 쓰였다. 위에서도 설명했지만 노예의 목적은 노동력만이 아니다. 이슬람 세력이 점차 확장되면서 이곳도 이슬람화가 되었다. 따라서 노예공급은 중단되었고, 그루지아, 카프카스 등지로 공급로는 이동했다. 하지만 이곳도 19C 에 러시아의 정복으로 폐쇄되었다.
아프리카
- 아프리카의 노예는 이슬람의 군대가 아프리카로까지 진출하게 되면서 이뤄지게 되었다. 아프리카의 노예들은 주로 노동력으로 많이 활용 되었는데 농업, 산업, 교역 등 여러 가지 방면으로 이용되었다. 이들은 동 아프리카 해로나 지중해를 통해 공급되었다.
결론
동부 지중해를 둘러싸고 1세기 이상이나 오스만 제국을 정점으로 중동무역이 지속되었다는 사실을 볼 때 중세 전성기 이슬람 중동지역의 무역은 부, 규모, 그 조직력 등 어느 면에서 에서 보나 유럽을 앞질렀다. 교역 품이나 자금력 뿐 아니라 커다란 무역연계망을 따져 볼 때도 유럽의 상위에 있었다.
미국의 저명한 중동전문가 버나드 루이스의 지적처럼 오스만 제국의 경제력 쇠퇴이유를 해군력의 미비와 해양에서의 소극적 정책에 돌리는 사실을 수긍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적어도 16세기 까지 지중해는 오스만 내해(內海)로 간주될 정도로 막강한 군사력과 활발한 해상무역으로 오스만이 주도하여 번성시켜 왔기 때문이다.
특히 터키가 차지하고 있는 동부 지중해는 비잔틴을 이어서 셀주크 투르크, 오스만 제국이 차례로 장악함으로써 동방의 물자와 사상이 유럽으로 전해지는 중요한 경로가 되었다. 또한 동시에 신라와 중국을 출발한 육상 실크로드가 마감되고 다시 해로(海路)를 통해 유럽과 아프리카로 교역 망이 연결되는 중간적 문화통로였다. 즉 동방의 진귀한 교역품들과 문화가 전해지고 산업혁명 이후에는 유럽의 상품과 기술이 반대로 동방에 퍼져가는 중간 길목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유야 어찌되었든 결국 동부 지중해의 주도권은 17세기 이후부터 유럽에게 넘어갔다. 그것은 오스만의 실수였다. 제국의 절정기를 경험한 후 권력에 대한 안주의 태도에서 나오는 긴장감의 상실이 내부의 침체와 부패를 가속화 시켰던 것이다.
교역과 생산을 등한시하고 국가의 장악과 권력 투쟁에 힘을 소진하는 군부 엘리트들은 지중해의 중요성을 이어갈 여력이 없었던 것이었다.
결국 지중해 해상무역은 효율적인 교역 방식을 가진 이탈리아 도시들에게 넘어갔다. 설탕과 커피와같은 품목을 제외하고는 공급 가능한 잉여 수출품도 오스만에게는 없었다.
그러나 한편 서유럽의 기술, 재정, 무역의 성장은 서구 무역상들에게 오스만 제국 치하의 중동시장을 장악 할 수 있는 훨씬 폭넓은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결국 세 대륙의 영토를 다스리고 광활한 지중해를 지배한 오스만 제국은 상인들을 앞세운 유럽으로부터 아주 평화롭게 장악 당하였다.
참고문헌목록
터키사 - 이희수
지중해연구소 제4권
터키 해협제도 연구 - 서재만
해적의 역사 -앵커스 커스텀
터키 해협의 국제항행상 지위 변천 -이희철
중동연구 제 16권 제 1호 - 서재만
두산백과사전
인사이드 터키
네이버 백과사전
http://www.uncharted.com.ne.kr
http://blog.naver.com/yourjedai/60008011980
  • 가격4,000
  • 페이지수62페이지
  • 등록일2006.05.02
  • 저작시기200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