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전자파란 무엇인가?
3. 전자파에 얼마나 노출되어 있는가 ?
4. 우리 일상생활에서의 전자파
5. 전자파가 인체에 끼치는 영향(유해성)
♦ 전자파와 암
♦ 전자파와 백내장
♦ 전자파와 이상출산
♦ VDT 증후군
♦ 전자파와 자살의 관계
6. 해외정책과 우리나라 정책
♦ 국제 보호 동향
♦ 국내 보호 현황
7. 전자파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
<가전제품 전자파 방출량과 사용 지침>
8. 결론
2. 전자파란 무엇인가?
3. 전자파에 얼마나 노출되어 있는가 ?
4. 우리 일상생활에서의 전자파
5. 전자파가 인체에 끼치는 영향(유해성)
♦ 전자파와 암
♦ 전자파와 백내장
♦ 전자파와 이상출산
♦ VDT 증후군
♦ 전자파와 자살의 관계
6. 해외정책과 우리나라 정책
♦ 국제 보호 동향
♦ 국내 보호 현황
7. 전자파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
<가전제품 전자파 방출량과 사용 지침>
8. 결론
본문내용
열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스탠드의 경우 전자파가 방출되는 양이 적다고 하더라도 주로 머리 쪽에 켜두기 때문에 그 영향을 무시 할 수 없다 따라서 스탠드로터 최소한 30cm 이상 떨어져 사용하는 것이 좋다.
TV와 컴퓨터 - TV는 최소한 1.5m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 시청하고 컴퓨터는 모니터로부터 최소한 60 cm 이상 떨어져 사용해야 한다. 수분이 있는 물질은 전도성이 있어서 전기장의 일부를 흡수하기 때문에 TV와 컴퓨터 주변에 잎이 많은 활엽수나 수분함량이 많은 식물을 높아 두는 것이 어느 정도 전자파 흡수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전기 담요 - 전기담요나 장판 등 열선을 이용하는 제품은 두께 5cm 정도의 두꺼운 요를 깔면 전자파가 감소된다. 그리고 잠자기 전에 예열을 해놓은 뒤 잘 때는 반드시 플러그를 빼둔다.
전기면도기와 헤어드라이기 - 전기면도기와 헤어드라이기는 얼굴과 머리에 밀착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시간을 줄이는 것이 상책이다.
국립환경 연구원 (2005, 04, 03)
<가전제품 전자파 방출량과 사용 지침>
가전제품
방출량(mG)
안전거리(m)
권고 사항
전자레인지
76.9
2.0
위험, 어린이 접근 금지
헤어 드라이기
64.7
0.1
전자파 영향 매우 높음
진공 청소기
52.7
1.0
방출량 높아 어린이 접근 금지
TV
22.6
1.5
화면 클수록 방출량 많음
전기장판
13.8
-
어린이, 임산부 사용금지
컴퓨터
8.1
0.6
임신 3개월까지 사용 자제
세탁기
6.9
1.0
작동 중 멀리 떨어질 것
냉장고
3.3
0.5
오른쪽 압축기 부근 접근 자제
오디오
2.8
1.0
침실 쪽에 두지 말 것
에어컨
2.2
2.0
비교적 위험도 낮음
책상 스탠드
1.8
0.6
머리 부근 사용으로 해로움
선풍기
1.8
0.5
비교적 위험도 낮음
전기 면도기
1.0
-
건전지용 전기면도기 권장
김치냉장고
0.9
0.5
8. 결론 (앞으로의 과제)
전자계 관련 연구결과가 인체에 유해하다고 확실하게 결론을 지을 수 없기 때문에 전자계 관련 규제 기준을 설정할 단계가 아니고 연구를 계속 할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상당 수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는 실험 혹은 경험의 결과로써 얻은 결과일 뿐 명확히 어떤 경로로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 지 밝혀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 상황에서 막연히 외국에서 혹은 일부 선진국에서 규제를 어떤 식으로 하기에 우리도 규제를 해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갖기 힘들다. 무엇 보다 우선적으로 전자파가 과연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명하고 설득력있는 연구 결과가 필요하다. 아직 까지 우리나라의 전자파에 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전파법이 계정되어 전자파 강도나 흡수율에 대한 기준이 마련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기관 마다 상이한 실험 결과를 발표한다. 이를 통해 무엇보다 전자파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자파의 위험성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고 해서 전자파의 노출은 안전하다고 하는 주장은 옳지 않다. 세계 곳곳의 실험에서 전자파로 인한 피해 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전자파의 노출에 대해 무관심해서도 안 된다. 핸드폰에만 국한 되어 있는 전자파 방출량을 모든 가전제품으로 확대 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이런 전자파 발생률 표시제를 강제하여 전자제품이 방출하는 전자파를 소비자가 전자제품 선택 시 고려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리고 실험 단계에서 조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명확한 기준을 세우고, 공인 기관을 설립해야한다. 또한 막연하게 혹은 난해한 수치로 전자파 방출량을 표시하기 보다는 전자제품이 방출하는 전자파의 양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어떠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지 쉽고 명료하게 밝혀 국민들의 이해를 도와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자파가 단기간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고 무시하지 말고 스스로가 전자파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줄이도록 노력해야 한다.
전자파의 개념과 인체에 끼치는 영향(유해성) 연구
1. 서론
2. 전자파란 무엇인가?
3. 전자파에 얼마나 노출되어 있는가 ?
4. 우리 일상생활에서의 전자파
5. 전자파가 인체에 끼치는 영향(유해성)
전자파와 암
전자파와 백내장
전자파와 이상출산
VDT 증후군
전자파와 자살의 관계
6. 해외정책과 우리나라 정책
국제 보호 동향
국내 보호 현황
7. 전자파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
<가전제품 전자파 방출량과 사용 지침>
8. 결론
TV와 컴퓨터 - TV는 최소한 1.5m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 시청하고 컴퓨터는 모니터로부터 최소한 60 cm 이상 떨어져 사용해야 한다. 수분이 있는 물질은 전도성이 있어서 전기장의 일부를 흡수하기 때문에 TV와 컴퓨터 주변에 잎이 많은 활엽수나 수분함량이 많은 식물을 높아 두는 것이 어느 정도 전자파 흡수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전기 담요 - 전기담요나 장판 등 열선을 이용하는 제품은 두께 5cm 정도의 두꺼운 요를 깔면 전자파가 감소된다. 그리고 잠자기 전에 예열을 해놓은 뒤 잘 때는 반드시 플러그를 빼둔다.
전기면도기와 헤어드라이기 - 전기면도기와 헤어드라이기는 얼굴과 머리에 밀착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시간을 줄이는 것이 상책이다.
국립환경 연구원 (2005, 04, 03)
<가전제품 전자파 방출량과 사용 지침>
가전제품
방출량(mG)
안전거리(m)
권고 사항
전자레인지
76.9
2.0
위험, 어린이 접근 금지
헤어 드라이기
64.7
0.1
전자파 영향 매우 높음
진공 청소기
52.7
1.0
방출량 높아 어린이 접근 금지
TV
22.6
1.5
화면 클수록 방출량 많음
전기장판
13.8
-
어린이, 임산부 사용금지
컴퓨터
8.1
0.6
임신 3개월까지 사용 자제
세탁기
6.9
1.0
작동 중 멀리 떨어질 것
냉장고
3.3
0.5
오른쪽 압축기 부근 접근 자제
오디오
2.8
1.0
침실 쪽에 두지 말 것
에어컨
2.2
2.0
비교적 위험도 낮음
책상 스탠드
1.8
0.6
머리 부근 사용으로 해로움
선풍기
1.8
0.5
비교적 위험도 낮음
전기 면도기
1.0
-
건전지용 전기면도기 권장
김치냉장고
0.9
0.5
8. 결론 (앞으로의 과제)
전자계 관련 연구결과가 인체에 유해하다고 확실하게 결론을 지을 수 없기 때문에 전자계 관련 규제 기준을 설정할 단계가 아니고 연구를 계속 할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상당 수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는 실험 혹은 경험의 결과로써 얻은 결과일 뿐 명확히 어떤 경로로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 지 밝혀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 상황에서 막연히 외국에서 혹은 일부 선진국에서 규제를 어떤 식으로 하기에 우리도 규제를 해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갖기 힘들다. 무엇 보다 우선적으로 전자파가 과연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명하고 설득력있는 연구 결과가 필요하다. 아직 까지 우리나라의 전자파에 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전파법이 계정되어 전자파 강도나 흡수율에 대한 기준이 마련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기관 마다 상이한 실험 결과를 발표한다. 이를 통해 무엇보다 전자파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자파의 위험성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고 해서 전자파의 노출은 안전하다고 하는 주장은 옳지 않다. 세계 곳곳의 실험에서 전자파로 인한 피해 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전자파의 노출에 대해 무관심해서도 안 된다. 핸드폰에만 국한 되어 있는 전자파 방출량을 모든 가전제품으로 확대 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이런 전자파 발생률 표시제를 강제하여 전자제품이 방출하는 전자파를 소비자가 전자제품 선택 시 고려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리고 실험 단계에서 조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명확한 기준을 세우고, 공인 기관을 설립해야한다. 또한 막연하게 혹은 난해한 수치로 전자파 방출량을 표시하기 보다는 전자제품이 방출하는 전자파의 양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어떠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지 쉽고 명료하게 밝혀 국민들의 이해를 도와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자파가 단기간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고 무시하지 말고 스스로가 전자파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줄이도록 노력해야 한다.
전자파의 개념과 인체에 끼치는 영향(유해성) 연구
1. 서론
2. 전자파란 무엇인가?
3. 전자파에 얼마나 노출되어 있는가 ?
4. 우리 일상생활에서의 전자파
5. 전자파가 인체에 끼치는 영향(유해성)
전자파와 암
전자파와 백내장
전자파와 이상출산
VDT 증후군
전자파와 자살의 관계
6. 해외정책과 우리나라 정책
국제 보호 동향
국내 보호 현황
7. 전자파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
<가전제품 전자파 방출량과 사용 지침>
8. 결론
추천자료
암의 발생원인과 치료방법
적외선센서의 종류와 기능
강의: 나의 동양고전독법을 읽고..;
전송매체에 네트워크형태에 관하여
정보 통신 기술 - 전송매체
VDT증후군
전기회로_시험회로_연구_실험_보고서
공학입문설계 발명품설계 레포트
K.I.C.A,KICA마케팅전략,KICA기업분석,고데기시장,헤어고데기
일반물리학 - 전자기파에 대해서
[천연물 화학] 천연물 화학에서의 13C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 핵 자기 공명)
[e-비즈니스 공통] OSI 7 Layer 모델의 각 프로토콜 계층의 명칭을 기술, 그 역할에 대하여 ...
12 포토인터럽트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경보회로 설계 (예비레포트)
실험(5) 1조 기말과제 PPT(최종) - PFC 역률보상회로.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