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니스 공통] OSI 7 Layer 모델의 각 프로토콜 계층의 명칭을 기술, 그 역할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 (OSI 7 Laye)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비즈니스 공통] OSI 7 Layer 모델의 각 프로토콜 계층의 명칭을 기술, 그 역할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 (OSI 7 Lay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컴퓨터 통신 프로토콜 중에서 실제로 사용된 적은 없으나, 규범적으로 프로토콜의 역할과 기능을 잘 설명한 모형으로 OSI 7 Layer 모델이 있다. OSI 7 Layer 모델의 각 프로토콜 계층의 명칭을 기술하고, 그 역할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시오. (20점)
1) 물리 계층의 역할
2)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
3)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4) 전송 계층의 역할
5) 세션 계층의 역할
6) 표현 계층의 역할
7) 응용 계층의 역할

2. 아래 각 용어들에 대하여 약자를 풀어 쓰시오. (10점)
1) MAC (multiple analog components)
2)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3)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4) IoT (internet of things)
5)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서비스 요소 계층 (Service Element Level), 서비스 요소들의 조합을 통해 서비스를 정의하는 서비스 계층 (Service Level)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층 간의 연결을 통해 IoT 서비스를 정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주변 상황 및 환경도 정의할 수 있다. 각 계층별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물리적 세계 계층 (Physical World Level)
IoT 서비스 개념 모델의 최하위 계층인 물리적 세계 계층은 실제 세계에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와 같은 장치들의 기능이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2) 리소스 계층 (Resource Level)
물리적 세계의 장치의 기능이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리소스 계층에서 추상화되어 독립적인 리소스 개념으로 존재한다. 만약 장치가 여러 가지 기능과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면 리소스 계층에서 그 수만큼 추상화된 리소스들 (r1-r5)이 있다.
(3) 가상 세계 계층 (Virtual World Level)
리소스 계층에서 추상화된 리소스 들은 가상 세계에서 가상 오브젝트(VO: Virtual Object)와 복합 가상 오브젝트 (CVO: Composite Virtual Object)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상 오브젝트 1 (Virtual Object 1)은 물리적 세계 계층의 장치 2 (Device 2)를 구성하는 동일한 리소스들의 조합으로 표현하며 복합 가상 오브젝트 1 (Composite Virtual Object 1)은 사용자가 원하는 리소스들 (r1, r3, r4)을 조합하여 표현한다.

(4) 서비스 요소 계층 (Service Element Level)
서비스 요소 계층에서는 IoT 서비스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인 서비스 조건(Service Condition)과 서비스 동작 (Service Behavior)을 정의한다. 서비스 조건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정의하며 서비스 동작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행위 자체를 정의한다.

(5) 서비스 계층 (Service Level)
서비스 계층에서 IoT 서비스는 서비스 요소들의 조합으로 정의한다.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조건과 서비스 동작을 포함한다. 이렇게 정의된 서비스는 분해하거나 조합하여 다양하게 서비스를 재 정의할 수 있다.
5)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Network)은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음성 위주의 공중 전화망 집합을 의미하며, 상용망과 국가소유망 모두를 포함한다. PSTN은 전화를 발명한 벨(Alexander Graham Bell)의 시대로부터 계속해서 발전해온 회선 교환방식 전화망의 집합체이며, 오늘날의 PSTN은 전화국에서 사용자까지의 종단 링크 부분을 제외하고는 기술적으로 거의 디지털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PSTN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모뎀이 필요하며, ‘MODEM’이란 이름은 원래 변조와 복조의 합성어(MOdulation + DEModulation)로부터 만들어졌다. 우선 컴퓨터의 데이터를 전화선에 싣기 위해서는 DATA를 Serial화 하여야 하며, 이 역할을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기능을 통해 구현한다. 하지만 UART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서 전송선로에서 상당한 신호감쇄를 발생케 하여, 원거리 통신을 위해서는 Analog 신호로 변환하여야 하는데 변조가 이에 해당한다. 변조에는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 진폭변조(Amplitude Modulation) 위상편이변조(Phase Modulation)가 있는데 컴퓨터 통신에 쓰이는 모뎀은 주파수 변조를 사용한다. 이렇게 변조된 신호는 복조(Demodulation)를 통해 원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이 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OSI 7 Layer 모델의 각 프로토콜 계층의 명칭을 기술하고, 그 역할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 아래 각 용어들에 대하여 약자를 풀어 서술해 보았다. 경보시스템이란, 기 설정된 경보 및 예외적 비상상황 발생 시, 상황인지에 대한 정보가 신속히 서비스 가입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현된 시스템으로, 선로 유무에 따라 유선 및 무선 경보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유선 경보시스템은 주택 방범시스템 및 화재 감시시스템, 입 출입경보시스템 등, 정보를 유선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칭하며, 무선경보시스템은 무선비상벨, 호출기, 차량경보기 등 정보 전달을 위한 추가적 선로 작업을 요하지 않는 설비를 칭한다. 최근 신설되는 주택은 이더넷 망이나, 인터폰 설비를 이용한 다양한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건축 당시에 통신설비를 포함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기축설비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 선로를 구성해야 하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기축설비에 대한 경보시스템 구성 시, 추가적인 선로공사 비용 및 선로 이용료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선로를 이용한 외부 네트웍 서비스망을 구성하며, 환경, 칩입, 화재, 재물소실, 건강관리등, 경보용 제품과 저전력 저단가로 손쉽게 연동이 가능한 지그비(Zigbee)무선 칩을 가정내의 경보발생 및 경보 수집장치로 활용한다. 지그비로 수집된 경보데이터는 PSTN 모뎀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이만영 외, 전자상거래 보안기술, 생능출판사, 2002.
KARANJIT S.SIYAN, 성안당 TCP/IP 완전정복, 성안당, 1998.
정운철 외, 무선센서네트워크 MAC 표준기술 동향, 2010.
정운철 외, 무선센서네트워크 전송 기술 표준화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010.
표철식, 사물인터넷 기술 동향, 한국전자파학회 전자파기술, 2014.
배성용, 인터넷 전화(VoIP)시험 기술, 대한전자공학회지, 2004.
서영선 외, WBAN을 위한 MAC 프로토콜 기술 동향, OSIA Satandards Technology Review, 2009.

키워드

  • 가격3,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3.20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1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