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Tyler 교육과정 이론의 형성배경
2.1.1 진보주의적 배경
2.2.2 경험중심 교육과정
2.2 Tyler 교육과정 이론의 특징
2.2.1 교육목표의 설정
2.2.2 학습경험의 선정
2.2.3 학습경험의 조직
2.2.4 학습결과의 평가
3. 1 Tyler Rationale의 장단점
3.1.1 Tyler 교육과정의 장점과 그에 대한 생각
3.1.2 Tyler의 교육과정의 단점과 그에 대한 생각
3. 실제 교수
<참고문헌>
2. 본론
2.1 Tyler 교육과정 이론의 형성배경
2.1.1 진보주의적 배경
2.2.2 경험중심 교육과정
2.2 Tyler 교육과정 이론의 특징
2.2.1 교육목표의 설정
2.2.2 학습경험의 선정
2.2.3 학습경험의 조직
2.2.4 학습결과의 평가
3. 1 Tyler Rationale의 장단점
3.1.1 Tyler 교육과정의 장점과 그에 대한 생각
3.1.2 Tyler의 교육과정의 단점과 그에 대한 생각
3. 실제 교수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타나는 여러 상황과 활동들이 바로 교육적 활동인 것이다. 교육적 관계 속에서는 절대성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니체가 말했듯이 ‘서로가 서로를 고양시켜 줄 수 있는 관계’인 것이다. 물론, ‘스승’과 ‘제자’가 보는 세상은 다르겠지만, ‘제자’는 더 넓고 더 높은 인식의 고양감을 맛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자신의 정열을 바쳐야 할 것이다. 이렇듯 교육은 엄청난 시간을 갖고 삶을 바꿔나가는 과정인 것이다.
학교교육에서는 교육을 좀 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행하기 위해 학문의 범위를 규정하고, 단락화시키고, 교수 목표를 세우며 교과수업계획을 세우고, 학생들을 가르친다. 스승인 교사는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편들을 사용하게 된다.
Tyler에 의하면 교육목표는 내용과 행동 두 가지 요소가 포함되도록 진술되어야 한다. 내용만으로 교육목표를 진술하면 그러한 내용으로 학생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나타내지 못하며, 행동만으로 교육목표를 진술하면, 그러한 행동이 어떤 내용이나 생활면에 통용되는 것인가를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목표 진술이 되지 못한다고 하였다. 또한 교육목표는 교사가 수행해야 할 일을 나타내는 교사의 활동 형태로 진술되거나, 주제, 이념, 법칙에 대해서 진술되거나 일반적인 행동형으로 진술되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왜냐하면, 교육목표는 학습자가 수행해야 할 행동을 나타내는 형태로 진술되어야 하는데, 이 세 가지는 학생의 행동을 표현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 요소가 포함된 수업목표의 예시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yler의 수업목표 진술 방법
내 용
행 동
산성 용액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직육면체의 겨냥도를
그릴 수 있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까닭을
설명할 수 있다.
타일러(R. W. Tyler)는 행동적 교육목표를 진술하는데 3가지 특징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내용과 행동이 포함된 수업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내용의 분류가 체계적으로 되어 있어야 하는데 가능하면 계열성이나 난이성을 고려하여 분류되어야 한다. 교사의 아이디어에 의해 작성될 수도 있고, 교과서 단원 중 소제목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셋째, 행동의 분류는 내용의 분류보다는 좀더 전문성이 요구된다.
이 세 작업이 끝나면, 곧 이원목표 분류표를 그릴 수 있다. 이 이원목표 분류표에서는, 흔히 행동의 차원을 가로로 나열하고, 내용의 차원을 세로로 열거한다. 그리고 각 행동(B)과 각 내용영역(C)을 교차시키면 B×C 또는 7개의 행동·내용 세목으로 구성되는 행렬표를 얻을 수 있다. 행렬표 속의 각 세목에 해당하는 목표가 있는 경우에는, 그 세목에 적당한 표시(예컨대, ×)를 해 둔다. 이런 표시를 해 나가다 보면, 어떤 세목은 공란으로 남을 수 있다. 그것은 해당 내용에 관한 해당 행동이, 그 교과나 수업 단원의 수업목표가 아님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이상호(2002), “학교교육과정 편성의 절차 및 방법 분석”, 한국교원대교육대학원
Ralph W.Tyler(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진영은 역(1996), “Tyler의 교육과정과 수업지도의 기본원리”, 양서원, 119pg
이상호(2002), “학교교육과정 편성의 절차 및 방법 분석”, 한국교원대교육대학원
이종승(1988), “교육과정과 수업의 원리”, 교육과학사
조화섭(2004), “조화섭 교육학 (上)”, 교육마을, 480
황현경(2001), “Ralph W.Tyler의 교육과정 이론의 기독교 교육학적 적용: D.C Wyckoff를 중심으로”, 고신대대학원
Ralph W.Tyler(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진영은 역(1996), “Tyler의 교육과정과 수업지도의 기본원리”, 양서원, 73-76
[교육과정이론]타일러(Tyler)의 교육과정이론의 형성과정과 특징, 장단점
1. 서론
2. 본론
2.1 Tyler 교육과정 이론의 형성배경
2.1.1 진보주의적 배경
2.2.2 경험중심 교육과정
2.2 Tyler 교육과정 이론의 특징
2.2.1 교육목표의 설정
2.2.2 학습경험의 선정
2.2.3 학습경험의 조직
2.2.4 학습결과의 평가
3. 1 Tyler Rationale의 장단점
3.1.1 Tyler 교육과정의 장점과 그에 대한 생각
3.1.2 Tyler의 교육과정의 단점과 그에 대한 생각
4. 실제 교수
<참고문헌>
학교교육에서는 교육을 좀 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행하기 위해 학문의 범위를 규정하고, 단락화시키고, 교수 목표를 세우며 교과수업계획을 세우고, 학생들을 가르친다. 스승인 교사는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편들을 사용하게 된다.
Tyler에 의하면 교육목표는 내용과 행동 두 가지 요소가 포함되도록 진술되어야 한다. 내용만으로 교육목표를 진술하면 그러한 내용으로 학생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나타내지 못하며, 행동만으로 교육목표를 진술하면, 그러한 행동이 어떤 내용이나 생활면에 통용되는 것인가를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목표 진술이 되지 못한다고 하였다. 또한 교육목표는 교사가 수행해야 할 일을 나타내는 교사의 활동 형태로 진술되거나, 주제, 이념, 법칙에 대해서 진술되거나 일반적인 행동형으로 진술되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왜냐하면, 교육목표는 학습자가 수행해야 할 행동을 나타내는 형태로 진술되어야 하는데, 이 세 가지는 학생의 행동을 표현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 요소가 포함된 수업목표의 예시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yler의 수업목표 진술 방법
내 용
행 동
산성 용액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직육면체의 겨냥도를
그릴 수 있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까닭을
설명할 수 있다.
타일러(R. W. Tyler)는 행동적 교육목표를 진술하는데 3가지 특징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내용과 행동이 포함된 수업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내용의 분류가 체계적으로 되어 있어야 하는데 가능하면 계열성이나 난이성을 고려하여 분류되어야 한다. 교사의 아이디어에 의해 작성될 수도 있고, 교과서 단원 중 소제목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셋째, 행동의 분류는 내용의 분류보다는 좀더 전문성이 요구된다.
이 세 작업이 끝나면, 곧 이원목표 분류표를 그릴 수 있다. 이 이원목표 분류표에서는, 흔히 행동의 차원을 가로로 나열하고, 내용의 차원을 세로로 열거한다. 그리고 각 행동(B)과 각 내용영역(C)을 교차시키면 B×C 또는 7개의 행동·내용 세목으로 구성되는 행렬표를 얻을 수 있다. 행렬표 속의 각 세목에 해당하는 목표가 있는 경우에는, 그 세목에 적당한 표시(예컨대, ×)를 해 둔다. 이런 표시를 해 나가다 보면, 어떤 세목은 공란으로 남을 수 있다. 그것은 해당 내용에 관한 해당 행동이, 그 교과나 수업 단원의 수업목표가 아님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이상호(2002), “학교교육과정 편성의 절차 및 방법 분석”, 한국교원대교육대학원
Ralph W.Tyler(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진영은 역(1996), “Tyler의 교육과정과 수업지도의 기본원리”, 양서원, 119pg
이상호(2002), “학교교육과정 편성의 절차 및 방법 분석”, 한국교원대교육대학원
이종승(1988), “교육과정과 수업의 원리”, 교육과학사
조화섭(2004), “조화섭 교육학 (上)”, 교육마을, 480
황현경(2001), “Ralph W.Tyler의 교육과정 이론의 기독교 교육학적 적용: D.C Wyckoff를 중심으로”, 고신대대학원
Ralph W.Tyler(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진영은 역(1996), “Tyler의 교육과정과 수업지도의 기본원리”, 양서원, 73-76
[교육과정이론]타일러(Tyler)의 교육과정이론의 형성과정과 특징, 장단점
1. 서론
2. 본론
2.1 Tyler 교육과정 이론의 형성배경
2.1.1 진보주의적 배경
2.2.2 경험중심 교육과정
2.2 Tyler 교육과정 이론의 특징
2.2.1 교육목표의 설정
2.2.2 학습경험의 선정
2.2.3 학습경험의 조직
2.2.4 학습결과의 평가
3. 1 Tyler Rationale의 장단점
3.1.1 Tyler 교육과정의 장점과 그에 대한 생각
3.1.2 Tyler의 교육과정의 단점과 그에 대한 생각
4. 실제 교수
<참고문헌>
추천자료
[특수교육,장애인교육]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특성, 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전달, 제7...
국어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 정의와 배경, 국어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선행...
수학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정의와 유형, 수학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교...
분야별 영재의 특성, 분야별 영재교육과정의 필요성, 영재교육과정, 물리분야와 화학분야 영...
[수학교육][수준별학습]수학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개념과 도입, 수학 수준별교육과...
[초등교육]초등학교 6학년 가치관과 교육과정편성,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 교육과정, 초등학...
한문(한문과)교육과정의 성격, 한문(한문과)교육과정의 목표, 한문(한문과)교육과정의 개정 ...
국어(국어과)교육과정의 특징과 성격, 국어(국어과)교육과정의 목표, 국어(국어과)교육과정의...
체육(체육과)교육과정의 목표와 성격, 체육(체육과)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체육(체육과)교육...
수준별학습(수업, 수준별교육과정) 개념과 종류, 수준별학습(수업, 수준별교육과정) 이론적 ...
[학급경영][학급교육과정][교육과정]학급경영의 개념, 학급경영의 목표, 학급경영의 주요활동...
도덕(도덕과)교육과정의 특성과 목표, 도덕(도덕과)교육과정의 개정배경, 도덕(도덕과)교육과...
[교육敎育학개론]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이해 -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등장배경과 성격, 인간중...
사범대 및 교대 교육학 시험, 초중등 임용시험에 최적화 된 교육학 서브노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