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여성의 월경주기
-여성의 월경주기
-월경주기에 나타나는 호르몬의 상태에 의한 변화
-호르몬의 변화 과정
2.자궁주기
1) 형태상의 변화
2) 기능상의 변화
-배란주기
-여성의 월경주기
-월경주기에 나타나는 호르몬의 상태에 의한 변화
-호르몬의 변화 과정
2.자궁주기
1) 형태상의 변화
2) 기능상의 변화
-배란주기
본문내용
성주기 - 배란주기와 내분비기능
간뇌-뇌하수체-난소계의 내분비조절에 의하여 연출되는데, 각 호르몬의 분비
태는 래디오임뮤노애쎄이법의 출현으로 지극히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배란에 대한 내분비조절기구는 각종 무배란 상태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또 배란을 유발 혹은 억제시키는데 중요한 기초지식이 되고 있다.
* 배란주기
사춘기 이후가 되면 좌우 난소의 백막하 피질속에 있는 1개의 원시난포가 발육을 개시하여 발육난포로 자란다.
이 때 그의 과립막세포를 현저하게 증식하고 일부는 융해 소실되어 난포강을 형성한다.
난포강내에는 과립막세포의 융해액인 난포액이 충만하게 된다.
난포막은 더욱 두꺼워지고 주위로부터 혈액이 유입되어 발육난포는 더욱 팽대하여 결국은 직경 1-2cm정도의 육안적으로도 식별할 수 있는 크기가 된다.
이 시기가 되면 난자도 발육의 정점에 달하여 직경 0.2mm의 고유한 형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난포를 성숙난포 혹은 그라프난포(graafian folicle)라고 부른다.
이 때 난소의 백막, 피질 및 난포외막은 난포액의 압력에 의하여 점점 얇아져서 난포파정공을 형성하여 파정을 준비한다.
파정 준비가 끝난 성숙난포는 난포액이 더욱 증가하여 내압이 높아지면 드디어 난포파정공이 터지면서 난자가 난포액과 함게 난소밖으로 배출된다.
이를 배란이라 한다.
배란된 난자는 난관채에 의하여 난관내로 빨려 들어간다.
배란은 보통 28-32일을 주기로 좌우의 난소에서 교대로 일어나며, 한번의 배란이 이루어질 때마다 보통은 1개씩의 난자가 배출된다.
배란된 난자의 생존능력은 24시간정도이고 수정능력은 5-6시간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란된 성숙난포의 내강에는 주위로부터 혈액이 주입되어 붉은 색을 나타내는데 이를 赤體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곳에는 점차 루테인이라는 담황색의 색소를 원형질 속에 함유한 루테인(lutein)세포가 발생하여 황체를 형성한다.
황체는 progesterone이라는 황체호르몬을 생산하는 내분비선이다.
배란된 난자가 수정이 되지 않으면 黃體는 점차 퇴행하여 白體라는 흔적을 남기는데 이런 황체를 월경황체라 부른다.
만약 임신이 성립되면 황체는 더욱 증식하여 난소의 약 1/3까지 점유하며 그 활동도 왕성하게 된다.
이 때의 황체를 임신황체라 하는데 임신황체는 임신 13주경에 정점에 달하며, 그 후로는 점차 약화되다가 임신말기에 소실된다.
간뇌-뇌하수체-난소계의 내분비조절에 의하여 연출되는데, 각 호르몬의 분비
태는 래디오임뮤노애쎄이법의 출현으로 지극히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배란에 대한 내분비조절기구는 각종 무배란 상태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또 배란을 유발 혹은 억제시키는데 중요한 기초지식이 되고 있다.
* 배란주기
사춘기 이후가 되면 좌우 난소의 백막하 피질속에 있는 1개의 원시난포가 발육을 개시하여 발육난포로 자란다.
이 때 그의 과립막세포를 현저하게 증식하고 일부는 융해 소실되어 난포강을 형성한다.
난포강내에는 과립막세포의 융해액인 난포액이 충만하게 된다.
난포막은 더욱 두꺼워지고 주위로부터 혈액이 유입되어 발육난포는 더욱 팽대하여 결국은 직경 1-2cm정도의 육안적으로도 식별할 수 있는 크기가 된다.
이 시기가 되면 난자도 발육의 정점에 달하여 직경 0.2mm의 고유한 형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난포를 성숙난포 혹은 그라프난포(graafian folicle)라고 부른다.
이 때 난소의 백막, 피질 및 난포외막은 난포액의 압력에 의하여 점점 얇아져서 난포파정공을 형성하여 파정을 준비한다.
파정 준비가 끝난 성숙난포는 난포액이 더욱 증가하여 내압이 높아지면 드디어 난포파정공이 터지면서 난자가 난포액과 함게 난소밖으로 배출된다.
이를 배란이라 한다.
배란된 난자는 난관채에 의하여 난관내로 빨려 들어간다.
배란은 보통 28-32일을 주기로 좌우의 난소에서 교대로 일어나며, 한번의 배란이 이루어질 때마다 보통은 1개씩의 난자가 배출된다.
배란된 난자의 생존능력은 24시간정도이고 수정능력은 5-6시간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란된 성숙난포의 내강에는 주위로부터 혈액이 주입되어 붉은 색을 나타내는데 이를 赤體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곳에는 점차 루테인이라는 담황색의 색소를 원형질 속에 함유한 루테인(lutein)세포가 발생하여 황체를 형성한다.
황체는 progesterone이라는 황체호르몬을 생산하는 내분비선이다.
배란된 난자가 수정이 되지 않으면 黃體는 점차 퇴행하여 白體라는 흔적을 남기는데 이런 황체를 월경황체라 부른다.
만약 임신이 성립되면 황체는 더욱 증식하여 난소의 약 1/3까지 점유하며 그 활동도 왕성하게 된다.
이 때의 황체를 임신황체라 하는데 임신황체는 임신 13주경에 정점에 달하며, 그 후로는 점차 약화되다가 임신말기에 소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