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1. 1차 유치원 교육과정(1969.2.19 문교부령 제 207호)
2.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1998. 6 .30 교육부 고시 제1998-10호)
1. 1차 유치원 교육과정(1969.2.19 문교부령 제 207호)
2.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1998. 6 .30 교육부 고시 제1998-10호)
본문내용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는 유능한 한국인의 육성
유치원의 교육목적(교육법 제146조, 제 147조)을 달성하는 것
교육목표
1.건강 및 안전교육
2.기초적 생활습관획득
3.자연현상 관찰.
과학적이고 민주적인 사고력배양
4.듣기와 말하기 바로 하기
5.심미적 태도와
창조성 기르기
1.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경험을 가진다.
2. 기본생활 습관을 기르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는 태도를 가진다.
3.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경험을 가진다.
4. 바르게 언어를 사용하는 경험을 가진다.
5. 일상생활의 문제데 대하여 스스로 궁리하는 태도를 가진다.
교육과정의
영역
1.건강 2.사회 3.자연 4.언어 5.예능
1.건강 2.사회 3.표현 4.언어 5.탐구
연간
교육일수
연간 200일 이상
연간 180일 이상
일일
교육시간
하루 3시간 교육기준
기후, 계절, 발달정도, 학습경험, 교육내용의 성질을 감안하여 시간단위 조절
하루 180분 기준
유아의 연령과 발달수준 등 환경을 고려하여 조정가능
평가
지역성을 반영하여 교육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평가할 것을 명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명시 안함
영역별 목표와 내용을 준거로 유아의 성취정도 평가
관찰, 일화기록, 면담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결과는 문장으로 기술 및 활용을 명시
학습형태
생활중심, 경험중심, 흥미중심
흥미중심, 통합교육, 균형있는 활동, 놀이중심, 개별화 교수
특징
전인교육의 강조
사회·정서발달의 강조
5개 생활영역으로 구성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임을 명시
5개 생활영역으로 편성
3,4,5세 유아의 특성화 차이의 모호성 탈피, 수준별 적절성 도모, Ⅰ,Ⅱ 수준으로 내용제시
교육운영 시간의 다양화
교육과정 전 영역에서 기본생활 습관 및 협동하는 태도를 육성할 수 있는 교육내용 제시
감성계발, 정보능력 함양, 전통 문화에 대한 교육 강화
지도상의 유의점 및 운영 지침
5개영역의 통합적 지도. 생활경험 중심
다양한 활동. 융통성
있는 시간 운영 유아의 흥미중심. 가정과의 협력. 교재 교구 등의 물적 환경 정비.
안정된 분위기. 도덕성의 내면화. 상상력과 창조성 육성. 바람직한 인간 관계. 안전교육. 애국심의 생활화. 지도 과정이나 결과의 부단한 반성, 평가로 개선발전
1.운영
시.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작성. 유치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2.방법
통합적 운영. 다양한 활동계획. 각종 활동의 균형. 흥미영역의 적절한 구성. 구체적 자료의 활용 교육활동의 다양화
3.평가
영역별 목표에 준한 평가, 운영, 환경. 교수법 유아에 대한 평가.
평가결과의 활용
참고 문헌
백청일(2000), 백청일의 유아교육과정, 도서출판 열린교육
방인옥 외 3인(1999), 유아교육과정, 정민사
곽노의 외 17인(2000), 유아교육과정, 문음사
유봉호 외 1인(1993), 교육과정교육평가, 교학연구사
· 김영희 외 2인(2002), 유아교육과정, 동문사
·이정환(1999), 유아교육 교수학습방법, 교문사
·교육인적자원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유치원의 교육목적(교육법 제146조, 제 147조)을 달성하는 것
교육목표
1.건강 및 안전교육
2.기초적 생활습관획득
3.자연현상 관찰.
과학적이고 민주적인 사고력배양
4.듣기와 말하기 바로 하기
5.심미적 태도와
창조성 기르기
1.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경험을 가진다.
2. 기본생활 습관을 기르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는 태도를 가진다.
3.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경험을 가진다.
4. 바르게 언어를 사용하는 경험을 가진다.
5. 일상생활의 문제데 대하여 스스로 궁리하는 태도를 가진다.
교육과정의
영역
1.건강 2.사회 3.자연 4.언어 5.예능
1.건강 2.사회 3.표현 4.언어 5.탐구
연간
교육일수
연간 200일 이상
연간 180일 이상
일일
교육시간
하루 3시간 교육기준
기후, 계절, 발달정도, 학습경험, 교육내용의 성질을 감안하여 시간단위 조절
하루 180분 기준
유아의 연령과 발달수준 등 환경을 고려하여 조정가능
평가
지역성을 반영하여 교육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평가할 것을 명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명시 안함
영역별 목표와 내용을 준거로 유아의 성취정도 평가
관찰, 일화기록, 면담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결과는 문장으로 기술 및 활용을 명시
학습형태
생활중심, 경험중심, 흥미중심
흥미중심, 통합교육, 균형있는 활동, 놀이중심, 개별화 교수
특징
전인교육의 강조
사회·정서발달의 강조
5개 생활영역으로 구성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임을 명시
5개 생활영역으로 편성
3,4,5세 유아의 특성화 차이의 모호성 탈피, 수준별 적절성 도모, Ⅰ,Ⅱ 수준으로 내용제시
교육운영 시간의 다양화
교육과정 전 영역에서 기본생활 습관 및 협동하는 태도를 육성할 수 있는 교육내용 제시
감성계발, 정보능력 함양, 전통 문화에 대한 교육 강화
지도상의 유의점 및 운영 지침
5개영역의 통합적 지도. 생활경험 중심
다양한 활동. 융통성
있는 시간 운영 유아의 흥미중심. 가정과의 협력. 교재 교구 등의 물적 환경 정비.
안정된 분위기. 도덕성의 내면화. 상상력과 창조성 육성. 바람직한 인간 관계. 안전교육. 애국심의 생활화. 지도 과정이나 결과의 부단한 반성, 평가로 개선발전
1.운영
시.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작성. 유치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2.방법
통합적 운영. 다양한 활동계획. 각종 활동의 균형. 흥미영역의 적절한 구성. 구체적 자료의 활용 교육활동의 다양화
3.평가
영역별 목표에 준한 평가, 운영, 환경. 교수법 유아에 대한 평가.
평가결과의 활용
참고 문헌
백청일(2000), 백청일의 유아교육과정, 도서출판 열린교육
방인옥 외 3인(1999), 유아교육과정, 정민사
곽노의 외 17인(2000), 유아교육과정, 문음사
유봉호 외 1인(1993), 교육과정교육평가, 교학연구사
· 김영희 외 2인(2002), 유아교육과정, 동문사
·이정환(1999), 유아교육 교수학습방법, 교문사
·교육인적자원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유아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통합적 유아교육과정의 구성
유아교육과정의 운영
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 목적과 변천과정, 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 기본방향과 ...
[유아교육과정] 사회적기초
유아교육과정의 변천사
삶의 맥락에서의 유아교육과정 탐구
보살핌의 텍스트로서의 유아교육과정 이해
[유아교육사와 보육] 한국 유아교육과 북한의 유아교육의 이해 (남북한 유아교육) - 유아교육...
[유아교육사와 보육] 아시아의 유아교육(중국과 일본) - 중국의 유아교육과 일본의 유아교육 ...
유아교육과정(표준보육과정 누리과정) -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의 제정배경과 내용구성 &am...
[유아교육과 공통] 2. 교과중심 및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인간중심 및 경험중심 교육과정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