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법의종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수법의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습 단계를 조정하는 가운데 사고의 유연성이 길러진다.
8) 체험적 학습 기회를 제공하며, 현상이나 사물을 직접 관찰하는 일차적 경험을 제공한다.
4.3 프로젝트 접근법의 절차
학습과정
학습 활동
준비
프로젝트 학습을 하기로 결정함. 주제를 잠정적 결정함. 교사의 잠정적 주제 작성하기, 자원목록 잠정적으로 작성하기
주제 결정
주제 확정하기, 학생의 주제 관련 경험 끌어내기, 학생과 함께 주제 작성하기
활동 계획
학습할 소주제 결정하기, 학습 활동 팀 구성하기, 질문 목록 작성하기, 학습 활동 계획하기, 자원 확보하고 비치하기, 가정 통신문 보내기
탐구 및 표현
탐구
문헌조사, 문헌 자료 활용하기, 현장조사, 현장 활동하기, 견학활동, 현상 실험 실습하기, 자원인사 면접 등
협의
토의하기
표현
표현방식 : 언어적/수학적/소리/그림/입체/신체
마무리
전시 및 발표
문집, 그림, 구성물, 멀티미디어 자료
반성하기
개인 및 집단 반성하기
평가하기
작품 분석, 일화기록, 체크리스트, 면접, 가정조사서, 사회성 측정법
5. 시범-실습
5.1 시범-실습의 의미
시범은 새로운 기능이나 절차를 가르치는 방법으로 교사가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학습자는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을 획득하게 된다. 실습은 시범을 통해 익힌 것을 교사의 통제 하게 직접 연습하고 적용해 보는 방법이다.
이론적 토대 : 사회적 인지 이론의 관찰학습 방법, 행동주의적 학습 이론에서 반복 연습과 피드백 방법
5.2 시범-실습의 실제
(1) 시범-실습의 필요성
첫째, 학생들에게 실생활의 경험을 밀접하게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교수 방법론에 다양성을 제공한다.
셋째, 수업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교사는 학습자의 요구에 적합한 내용의 프레젠테이션을 짧은 시간 내에 변경할 수 있다.
(2) 시범-실습의 내용의 수준
제 1수준 : 반복적으로 수행되고 자동화된 기능.
제 2수준 : 복잡하지만 알고리즘이 있는 과정을 회상하고 그와 연관된 행동을 수행하는 것.
제 3수준 : 문제 상황에 적합한 수행 계획을 세우기 위해 지각된 정보를 분석하고 적절한 행동을 결정하기 전에 대안을 검토하는 기능.
(3) 시범-실습의 적용
수업 전 준비사항
학습 목표 세분화. 선정된 내용 분석, 시간계획마련, 교실의 자리배치. 수업을 위한 수업 보조 자료의 확보를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하기.
5.3 학습 지원 전략
첫째, 학습 과제의 수준에 따라 필수적인 지식만을 제공한다.
둘째, 개별적인 과제보다는 통합된 전체 과제를 통하여 기술 간의 통합성을 안내한다.
셋째, 경쟁의 요소는 인지적인 학습 목표의 달성뿐만 아니라 심체 적 활동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피드백이 완전한 정보를 전달할 때 학습은 더 효과적으로 증진된다.
다섯째,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섯째, 학습 내용이 고차원적일수록 잘못 수행된 과제의 결과를 통하여 논의하고 수정하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일곱째, 다른 교수 방법과 병행하여 적용한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5.11
  • 저작시기2006.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9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