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숙학원)를 유지하면서 그 동안 생활을 반성하면서 차근차근 다시 계획을 잡고 공부했으면 더욱더 시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었을 텐데 라는 후회가 밀려왔다. 어떤 생각이나 이념이든 처음 계획한대로 되지 않을 때가 더 많다. 우리는 처음 계획한대로 일이 진행되고 있지 않다고 그때마다 진보적으로 일을 갈아엎고 다시 시작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주저앉을 수는 없다. 보수적인 성격으로 차근차근 일을 해결해 나가는 지혜가 바로 여기서 필요하다.
진정한 의미의 보수는 기존의 기득권을 유지하려고 애쓰는 무기력한 수구세력이 아니고 우리나라에서 흔히들 말하는 우익 또한 아니다. 우익과 좌익은 각 시대 상황에 따라서 바뀌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그간 보수주의라는 단어가 변질된 의미로 쓰여서 일반사람들에게는 부정적인 단어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보수의 이념을 부정적으로 인식되게 만든 건 정치면에서다. 한나라당에 이념은 줄곧 보수주의라고 했는데 난 그 당의 이념이 왜 보수주의 인지 모르겠다. 30년 동안 좌익과 우익을 갈라서 마녀사냥으로 정당의 권력을 지켜온 그들에게 보수라는 이념은 너무 과분하다.
이 시대의 국민들은 지금 변화를 요구 하고 있다. 그래서 사상처음으로 강한 변화를 주장하던 민주노동당이 원내에 진입하였다. 그 만큼 정치적 변화가 필요한 시기다. 여기서 기존 정당들은 지금 까지 외치던 보수주의라는 단어를 다시 한번 돌이켜 봤으면 한다. 정체되어 한없이 부패한 보수주의가 될 것인가? 아니면 국민의 요구에 따라 정도를 지키면 변화를 추구하는 진정한 의미의 보수주의가 될 것인가 대해서 말이다.
진정한 의미의 보수는 기존의 기득권을 유지하려고 애쓰는 무기력한 수구세력이 아니고 우리나라에서 흔히들 말하는 우익 또한 아니다. 우익과 좌익은 각 시대 상황에 따라서 바뀌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그간 보수주의라는 단어가 변질된 의미로 쓰여서 일반사람들에게는 부정적인 단어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보수의 이념을 부정적으로 인식되게 만든 건 정치면에서다. 한나라당에 이념은 줄곧 보수주의라고 했는데 난 그 당의 이념이 왜 보수주의 인지 모르겠다. 30년 동안 좌익과 우익을 갈라서 마녀사냥으로 정당의 권력을 지켜온 그들에게 보수라는 이념은 너무 과분하다.
이 시대의 국민들은 지금 변화를 요구 하고 있다. 그래서 사상처음으로 강한 변화를 주장하던 민주노동당이 원내에 진입하였다. 그 만큼 정치적 변화가 필요한 시기다. 여기서 기존 정당들은 지금 까지 외치던 보수주의라는 단어를 다시 한번 돌이켜 봤으면 한다. 정체되어 한없이 부패한 보수주의가 될 것인가? 아니면 국민의 요구에 따라 정도를 지키면 변화를 추구하는 진정한 의미의 보수주의가 될 것인가 대해서 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