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학습 목표 : 쓸모와 아름다움을 생각하며 포장지와 포장 용기를 만들 수 있다.
* 내용 분석 ① 포장지 꾸미기 → ② 포장 용기 만들기
① 꾸밀 무늬를 생각하고 평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무늬를 꾸며서 포장지를 만들어 보는 활동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만든 포장지를 통해서 다양한 물건을 포장해 보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② 담길 물건의 용도를 생각하여 포장 용기를 만들어 보는 활동이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실용성을 생각하여 계획적으로 구상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 서로의 작품 감상하기
* 학습 목표 : 서로의 작품을 소중하게 여기는 태도를 가진다.
* 내용 분석 ① 포장의 적절성 파악하기 → ② 쓰임새의 적절성 파악하기
다양한 방법으로 꾸며진 포장지를 적절하게 포장했는지를 파악하고, 담길 물건과 포장 용기가 적절하게 어울리는지를 중점에 두고 파악하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10. 판본체, 궁체로 쓰기
☞ 판본체, 궁체의 점획의 변화를 알고 바른 자세로 정성껏 써 봅시다.
○ 판본체로 ‘벼루 연적’, ‘푸른산 흰구름’ 쓰기
* 학습 목표 : 판본체의 자형을 알고, 서제를 어울리게 배자하여 쓸 수 있다.
* 내용 분석 ① 점획의 간격을 생각하며 쓰기 → ② 글자 중심과 배자 생각하며 쓰기
① ‘벼루 연적’ 쓰기는 점획의 간격과 길이를 생각하며 어울리게 써보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글자의 모양과 짜임새를 이해하고 각 자음과 모음별로 어떠한 형태로 쓸 것인지에 대하여 ‘점획의 간격’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② ‘푸른산 흰구름’ 쓰기는 글자의 중심과 배자를 생각하며 어울리게 써보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필법을 생각하며 글자의 중심과 간격에 초점을 두어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 판본체와 궁체에 관하여 알아보기
* 학습 목표 : 판본체와 궁체의 붓 사용이나 자형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 내용 분석 : 판본체와 궁체 글자 모양의 비교
판본체 집자와 궁체 집자 ‘나무’ 글씨를 비교함을 통해서 이전에 배운 판본체와 다음에 배울 궁체에 관해서 연계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필법의 차이를 알고 바른 필법을 지니도록 하는 자세를 강조하고 있다.
◐ 궁체로 ‘나무’, ‘어머니’ 쓰기
* 학습 목표 : 궁체의 기본획을 익혀 ‘나무’와 ‘어머니’를 정자로 쓸 수 있다.
* 내용 분석 ① ‘나무’ 쓰기 → ② ‘어머니’ 쓰기
① 모음의 기본획과 ㄴ, ㅏ, ㅁ, ㅜ를 배우는 것에 초점을 두고 학습하되, 특히 모음의 가로획과 세로획이 어떻게 쓰는지를 중점으로 가르치고 있다.
② 앞에서 배운 가로획과 세로획을 바탕으로 오른쪽 세로획을 맞추어 정렬하여 써보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곧은 글자에서 더 나아가 ‘ㅇ’을 써보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 이름쓰기
* 학습 목표 : 수묵으로 그림을 그리고, 알맞은 글과 이름을 어울리는 위치에 쓸 수 있다.
* 내용 분석 ① 참고 작품 감상하기 → ② 그림 그리고 이름 쓰기
① [육곡조협도]에 나타난 붓의 터치와 먹의 양에 따른 번짐의 정도를 주의깊게 살펴보고,
② 실제로 수묵을 이용한 담채화를 그려보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그림 옆에 이름을 써 봄으로써 그림의 알맞은 위치에 어울리는 크기로 쓸 수 있는 것을 학습한다.
◑ 서로의 작품 감상하기
* 학습 목표 : 바른 자세로 정신을 집중하여 정성껏 붓글씨를 쓰는 태도를 가진다.
* 내용 분석 : 궁체와 판본체, 그림과 이름을 써보는 활동이 총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11. 우리 마을
☞ 생활을 아름답고 편리하게 해 주는 우리 마을의 시설물을 계획하여 만들어 봅시다.
○ 우리 마을의 시설물 살펴보기
* 학습 목표 : 생활 속에서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장소와 시설의 아름다움과 기능에 관하여 이해한다.
* 내용 분석 ① 시설물 살펴보기 → ② 아름다움과 기능 이해하기
①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마을에서 쓸모와 아름다움을 살린 시설물을 찾아보는 활동을 하고 있다. 공중 전화 부스, 자전거 보관소는 주변과 조화를 잘 이루는 장소로 제시되어 있다.
② 그 중에 환기통과 가로등은 주변과의 조화를 이루면서도 아름다움의 기능을 하고 있는 시설물들로 예를 들어서 그 특징에 관하여 이야기해 봄으로써 기능을 알아보도록 하고 있다.
◐ 시설물 만들기
* 학습 목표 : 아름다움과 기능성, 참신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료와 용구로 꾸밀 수 있다.
* 내용 분석 : 우리 마을에 필요한 시설물을 계획하여 편리하고 아름답게 만들어 봅시다.
- 시설물이 놓일 장소를 생각하며 만들어 봅시다.
⇒ 시계탑1,2 / 음수대 / 가로등 / 자전거 보관소 / 버스 정류장 / 쓰레기통
시설물을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아름다움과 기능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한다.
◑ 서로의 작품 감상하기
* 학습 목표 : 생활 속의 환경이나 시설을 애호하고 개선하는 태도를 가진다.
* 내용 분석
- 서로의 작품을 보고, 시설물의 쓸모와 아름다움에 관하여 이야기해 봅시다.
⇒ 벤치 / 다리 / 전통미를 살린 우리 마을
12.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의 특징을 비교하여 감상해 봅시다.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에 관하여 알아보기
* 학습 목표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의 미술품을 비교하여 감상하고 그 특징을 찾아 이야기할 수 있다.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품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할 수 있다.
* 내용 분석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품의 주제, 표현 재료와 방법을 비교하여 봅시다.
⇒ 농촌의 만추 / 생빅트아르 산 /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 / 생각하는 사람 / 분청 사기
삼채 용이병 / 흑회식 도자기 / 숭례문 / 콜로세움 / 천단 기념전
여러 가지 미술품에서 느낄 수 있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찾아 이야기한다.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에 관한 자료 전시하기
* 학습 목표 :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바르게 이용하고 미술품을 아끼고 보호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내용 분석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에 관하여 조사한 자료를 전시하고 감상해 봅시다.
⇒ 자료 전시장을 순서에 따라 꾸미고, 감상해보도록 한다.
* 내용 분석 ① 포장지 꾸미기 → ② 포장 용기 만들기
① 꾸밀 무늬를 생각하고 평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무늬를 꾸며서 포장지를 만들어 보는 활동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만든 포장지를 통해서 다양한 물건을 포장해 보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② 담길 물건의 용도를 생각하여 포장 용기를 만들어 보는 활동이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실용성을 생각하여 계획적으로 구상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 서로의 작품 감상하기
* 학습 목표 : 서로의 작품을 소중하게 여기는 태도를 가진다.
* 내용 분석 ① 포장의 적절성 파악하기 → ② 쓰임새의 적절성 파악하기
다양한 방법으로 꾸며진 포장지를 적절하게 포장했는지를 파악하고, 담길 물건과 포장 용기가 적절하게 어울리는지를 중점에 두고 파악하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10. 판본체, 궁체로 쓰기
☞ 판본체, 궁체의 점획의 변화를 알고 바른 자세로 정성껏 써 봅시다.
○ 판본체로 ‘벼루 연적’, ‘푸른산 흰구름’ 쓰기
* 학습 목표 : 판본체의 자형을 알고, 서제를 어울리게 배자하여 쓸 수 있다.
* 내용 분석 ① 점획의 간격을 생각하며 쓰기 → ② 글자 중심과 배자 생각하며 쓰기
① ‘벼루 연적’ 쓰기는 점획의 간격과 길이를 생각하며 어울리게 써보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글자의 모양과 짜임새를 이해하고 각 자음과 모음별로 어떠한 형태로 쓸 것인지에 대하여 ‘점획의 간격’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② ‘푸른산 흰구름’ 쓰기는 글자의 중심과 배자를 생각하며 어울리게 써보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필법을 생각하며 글자의 중심과 간격에 초점을 두어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 판본체와 궁체에 관하여 알아보기
* 학습 목표 : 판본체와 궁체의 붓 사용이나 자형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 내용 분석 : 판본체와 궁체 글자 모양의 비교
판본체 집자와 궁체 집자 ‘나무’ 글씨를 비교함을 통해서 이전에 배운 판본체와 다음에 배울 궁체에 관해서 연계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필법의 차이를 알고 바른 필법을 지니도록 하는 자세를 강조하고 있다.
◐ 궁체로 ‘나무’, ‘어머니’ 쓰기
* 학습 목표 : 궁체의 기본획을 익혀 ‘나무’와 ‘어머니’를 정자로 쓸 수 있다.
* 내용 분석 ① ‘나무’ 쓰기 → ② ‘어머니’ 쓰기
① 모음의 기본획과 ㄴ, ㅏ, ㅁ, ㅜ를 배우는 것에 초점을 두고 학습하되, 특히 모음의 가로획과 세로획이 어떻게 쓰는지를 중점으로 가르치고 있다.
② 앞에서 배운 가로획과 세로획을 바탕으로 오른쪽 세로획을 맞추어 정렬하여 써보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곧은 글자에서 더 나아가 ‘ㅇ’을 써보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 이름쓰기
* 학습 목표 : 수묵으로 그림을 그리고, 알맞은 글과 이름을 어울리는 위치에 쓸 수 있다.
* 내용 분석 ① 참고 작품 감상하기 → ② 그림 그리고 이름 쓰기
① [육곡조협도]에 나타난 붓의 터치와 먹의 양에 따른 번짐의 정도를 주의깊게 살펴보고,
② 실제로 수묵을 이용한 담채화를 그려보는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그림 옆에 이름을 써 봄으로써 그림의 알맞은 위치에 어울리는 크기로 쓸 수 있는 것을 학습한다.
◑ 서로의 작품 감상하기
* 학습 목표 : 바른 자세로 정신을 집중하여 정성껏 붓글씨를 쓰는 태도를 가진다.
* 내용 분석 : 궁체와 판본체, 그림과 이름을 써보는 활동이 총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11. 우리 마을
☞ 생활을 아름답고 편리하게 해 주는 우리 마을의 시설물을 계획하여 만들어 봅시다.
○ 우리 마을의 시설물 살펴보기
* 학습 목표 : 생활 속에서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장소와 시설의 아름다움과 기능에 관하여 이해한다.
* 내용 분석 ① 시설물 살펴보기 → ② 아름다움과 기능 이해하기
①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마을에서 쓸모와 아름다움을 살린 시설물을 찾아보는 활동을 하고 있다. 공중 전화 부스, 자전거 보관소는 주변과 조화를 잘 이루는 장소로 제시되어 있다.
② 그 중에 환기통과 가로등은 주변과의 조화를 이루면서도 아름다움의 기능을 하고 있는 시설물들로 예를 들어서 그 특징에 관하여 이야기해 봄으로써 기능을 알아보도록 하고 있다.
◐ 시설물 만들기
* 학습 목표 : 아름다움과 기능성, 참신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료와 용구로 꾸밀 수 있다.
* 내용 분석 : 우리 마을에 필요한 시설물을 계획하여 편리하고 아름답게 만들어 봅시다.
- 시설물이 놓일 장소를 생각하며 만들어 봅시다.
⇒ 시계탑1,2 / 음수대 / 가로등 / 자전거 보관소 / 버스 정류장 / 쓰레기통
시설물을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아름다움과 기능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한다.
◑ 서로의 작품 감상하기
* 학습 목표 : 생활 속의 환경이나 시설을 애호하고 개선하는 태도를 가진다.
* 내용 분석
- 서로의 작품을 보고, 시설물의 쓸모와 아름다움에 관하여 이야기해 봅시다.
⇒ 벤치 / 다리 / 전통미를 살린 우리 마을
12.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의 특징을 비교하여 감상해 봅시다.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에 관하여 알아보기
* 학습 목표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의 미술품을 비교하여 감상하고 그 특징을 찾아 이야기할 수 있다.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품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할 수 있다.
* 내용 분석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품의 주제, 표현 재료와 방법을 비교하여 봅시다.
⇒ 농촌의 만추 / 생빅트아르 산 /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 / 생각하는 사람 / 분청 사기
삼채 용이병 / 흑회식 도자기 / 숭례문 / 콜로세움 / 천단 기념전
여러 가지 미술품에서 느낄 수 있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찾아 이야기한다.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에 관한 자료 전시하기
* 학습 목표 :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바르게 이용하고 미술품을 아끼고 보호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내용 분석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에 관하여 조사한 자료를 전시하고 감상해 봅시다.
⇒ 자료 전시장을 순서에 따라 꾸미고, 감상해보도록 한다.
추천자료
국악교육(전통음악교육)의 중요성과 지도목표, 국악교육(전통음악교육)의 지도사례, 국악교육...
[교육평가]수행평가의 기본 방향과 수행평가의 효과 및 영어과(영어교과) 수행평가의 실제, ...
미국과 영국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싱가폴과 호주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캐...
수준별수업(수준별학습, 교육과정)의 종류와 의의, 수준별수업(수준별학습, 교육과정)의 운영...
초등학교3학년 체육과(체육교육) 목표, 초등학교4학년 체육과(체육교육) 목표, 초등학교5학년...
초등학교 4학년 영어과(영어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 초등학교 4학년 영어과(영어교육) 학습...
초등학교 6학년 영어과(영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6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실태, 초등학교 6...
초등학교 독서교육(독서지도)의 목표와 지도중점, 초등학교 독서교육(독서지도)의 프로그램과...
수묵화의 개념과 특징, 수묵화의 묵과 묘사, 수묵화교육(수묵화지도)의 학습목표와 학습매체,...
체육과(체육교육) 게임활동학습(게임활동수업)의 특징과 학년별 내용, 체육과(체육교육) 게임...
국어과 원고지사용법, 수학과 도형영역 수업자료(교육자료), 과학과 지구영역, 사회과 웹기반...
초등학교(초등교육)의 효경교육과 예절교육, 초등학교(초등교육)의 통일교육과 미디어교육, ...
에너지절약교육(에너지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에너지절약교육(에너지교육)의 실태, 에너지절...
[독일의 직업교육훈련제도][독일의 학교교육학][독일의 환경교육][독일의 정치교육][독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