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뇌 수술 후 간호
2. 유발 가능한 합병증
3. 유발 가능한 합병증에 대한 중재
2. 유발 가능한 합병증
3. 유발 가능한 합병증에 대한 중재
본문내용
① 항생제의 혈중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정확한 시간에 항생제를 투여한다.
② 체온을 수시로 혹은 계속적으로 측정하고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한다.
③ 적당한 체온조절기구(예 : 저체온 담요)를 이용한다.
(2)수분균형 유지
① 수액의 과다 주입을 예방한다. : 뇌부종을 악화시킬 수 있다.
② 섭취량과 배설량을 주의 깊게 모니터한다.
③ 중심정맥압을 자주 측정한다.
(3) 뇌관류의 증진.
① 의식상태, 활력징후, 신경계 상태를 자주 사정한다.
②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을 유지하여 불안해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③ 요추천자를 위한 준비와 필요시 천자를 반복한다. 흔히, 요추천자는 영상을 이용하는 검사에 선행된다.
④ 체온상승이나 의식상태의 저하, 발작발생, 호흡의 변화 등은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4) 통증 감소
① 처방에 의해 진통제를 사용한다. 약효와 반응을 사정한다. 마약류를 피하고 정신 상태를 사정한다.
② 광선 공포증이 있으면 방을 어둡게 한다.
③ 환자의 체위변경 시 머리와 목의 강직에 주의한다.
(5) 환자교육
① 환자와 가까이 접촉하는 사람에게 예방적 치료를 권장한다.
② 감염원을 완전하게 없애야 하므로 약물을 처방된 대로 정확하게 투여하도록 교육한다.
③ 추후관리를 권장하고 추후감염에 대해 즉시 치료받도록 한다.
참고인
· NS ICU 전담간호사 박선희 선생님
참고문헌
· 고일선 외(2004).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1. 현문사.
· 서문자 외(2004). 성인간호학. 수문사.
·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현문사.
· 한대희 외(1993). 신경학. 서울대학교출판부.
② 체온을 수시로 혹은 계속적으로 측정하고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한다.
③ 적당한 체온조절기구(예 : 저체온 담요)를 이용한다.
(2)수분균형 유지
① 수액의 과다 주입을 예방한다. : 뇌부종을 악화시킬 수 있다.
② 섭취량과 배설량을 주의 깊게 모니터한다.
③ 중심정맥압을 자주 측정한다.
(3) 뇌관류의 증진.
① 의식상태, 활력징후, 신경계 상태를 자주 사정한다.
②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을 유지하여 불안해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③ 요추천자를 위한 준비와 필요시 천자를 반복한다. 흔히, 요추천자는 영상을 이용하는 검사에 선행된다.
④ 체온상승이나 의식상태의 저하, 발작발생, 호흡의 변화 등은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4) 통증 감소
① 처방에 의해 진통제를 사용한다. 약효와 반응을 사정한다. 마약류를 피하고 정신 상태를 사정한다.
② 광선 공포증이 있으면 방을 어둡게 한다.
③ 환자의 체위변경 시 머리와 목의 강직에 주의한다.
(5) 환자교육
① 환자와 가까이 접촉하는 사람에게 예방적 치료를 권장한다.
② 감염원을 완전하게 없애야 하므로 약물을 처방된 대로 정확하게 투여하도록 교육한다.
③ 추후관리를 권장하고 추후감염에 대해 즉시 치료받도록 한다.
참고인
· NS ICU 전담간호사 박선희 선생님
참고문헌
· 고일선 외(2004).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1. 현문사.
· 서문자 외(2004). 성인간호학. 수문사.
·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현문사.
· 한대희 외(1993). 신경학. 서울대학교출판부.
키워드
추천자료
ICU case study
뇌졸중 (stroke)과 심근경색증 (myocardial infarction)
중화자실 case (SAH)
뇌졸중에 대한 의료사회사업론 레포트(사례관리 포함)
[뇌졸중] 의료사회복지론 - 뇌졸중
[중풍][뇌졸중]중풍(뇌졸중)의 원인과 위험인자, 중풍(뇌졸중)의 종류, 중풍(뇌졸중)의 증상,...
SAH 케이스 스터디
sah 케이스 스터디
신경외과 중환자실 케이스
뇌졸중과 식사요법
실습케이스case-뇌동맥류cerebral aneurysm
경두개 도플러검사 (transcranial doppler : TCD)
[동서협진과 CASE] 외상성 SAH에 의한 교통성 수두증 환자 1례
[동서협진과 CASE] 우반신 소력감을 호소하는 여환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