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체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일체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삼일체질의 정의

2. 삼일체질의 진단법
★.삼일체질 진단법에 있어서 유의할 점
★.복진(부위를 눌러 증상을 알아봄)의 요령
★.신실증(腎實證)
★.삼일체질 복진도(신실증)
★.양실증(陽實證)
★.삼일체질 복진도(양실증)
★.음실증(陰實證)
★.삼일체질 복진도(음실증)
★.복합체질(複合體質)
★.복합체질 복진도

본문내용

左腎實)
우측으로 양실의 반응이 나타나고, 좌측으로는 신실증의 반응이 나타나므로 우수 우측에서는 양실증의 처방에 따라서 치료를 하고, 좌수 좌측에서는 신실증의 처방에 따라서 치료를 한 다.
●.우양실 좌음실증
우측에서는 양실증의 반응이 나타나고 좌측에서는 음실증의 반응이 나타난다. 따라서 우수우측에서 양실증의 처방에 따라 치료를 하고, 좌수 우측에서는 음실증의 처방에 따라 치료를 한다.
우음실 좌신실증(右陰實 左腎實)
우측으로는 음실의 반응이 나타나고, 좌측으로는 신실증의 반응이 나타나므로 우수우측에서는 음실증의 처방에 따라서 치료를 하고, 좌수 좌측에서는 신실증의 처방에 따라서 치료를 한다.
●.좌음실 우신실증(左陰實 右腎實)
좌측에서는 음실증의 반응이 나타나고, 우측에서는 신실증의 방응이 나타나므로 좌수 좌측에서 음실증의 처방에 따라 치료를 하고, 우수우측에서는 신실증의 처방에 따라 치료를 한다.
●.좌양실 우음실증
좌측으로는 양실증의 반응이 나타나고 우측으로는 음실증의 반응이 나타나는 체질을 말한다. 좌수 좌측에서는 양실증의 치료를 하고, 우수우측에서 음실증의 치료를 한다.
대부분의 만성병 질환자가 복합체질이며 이러한 경우 식이요법이나 약물요법은 효과가 없다.
●.심장병환자
좌양실증 = 심승방 + 신정방
우신실증 = 심정방 + 신승방
●.간장병환자
우음실증 = 간정방 + 비승방
좌신실증 = 간승방 + 비정방
●.대장 질환자(변비)
우음실증 = 삼초정방 + 비승방
좌신실증 = 삼초승방 + 비정방
●.기관지 천식
좌양실증 = 폐정방 + 대장승방
우신실증 = 폐승방 + 대장정방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5.3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